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이념
세계관
형이상학
인생관
수사학
뉴스
"
철학
"(으)로 총 795건 검색되었습니다.
약하지만 센 힘 중력상수 G
과학동아
l
2015.03.05
사과든 모든 물질은 물리법칙 아래 평등하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사람들은 더 이상
철학
과 신학에 얽매이지 않고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보기 시작했다. 계몽주의를 대표하는 볼테르도 그들 중 하나였다. 정치적 사건으로 런던에 망명 중이던 그는 뉴턴의 새로운 과학을 접하고 푹 빠져 버린다. ... ...
빨간 약을 먹으면 양자세계가 사라질까?
2015.02.22
물리학자들에게 양자역학은 의심할 여지없이 잘 작동하고 있었고, 해석에 대한 이런
철학
적 문제는 과학의 영역이 아니라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다시 한번 말하면 “입 닥치고 계산이나 하라”는 것이다. EPR역설에 종지부를 찍은 존 스튜어트 벨 - 위키미디어 제공 모두가 봄의 논문을 무시했지만, ... ...
양자를 훔친 악동들
2015.02.15
지속되다가 상보성과 불확정성 원리라는 양자역학의 심장까지 이른다. 보어는
철학
자의 분위기가 강했다고 전해진다. 그래서인지 보어의 강연은 매우 애매모호한 것으로 유명했다. 1927년 9월 볼타 사망 100주년 기념학회에서 보어는 상보성과 불확정성 원리를 처음 소개했다. 그때 좌중에 앉아 ... ...
1990년 밸런타인데이, ‘보이저 1호’가 준 선물
2015.02.12
기타를 맡았던 케리 리브그렌(Kerry Livgren)이 만들었습니다. 그는 독서광이었는데요.
철학
은 물론 과학, SF에도 관심이 많았다고 합니다. 1992년 한 방송과의 인터뷰에서는 존경하는 인물로 아인슈타인을 꼽기도 했는데요. 케리 리브그렌과 앨버트 아인슈타인. 리브그렌은 아인슈타인에 대한 ... ...
성적 줄세우기 그만… 내신-수능 절대평가로 바꾸자
동아일보
l
2015.02.12
못하는 게 현실”이라며 “이념적인 것이 아니라 행복하고 바람직한 인간을 지향하는
철학
과 방법론을 이야기한다면 합의의 길을 찾을 수 있다. 이를 위한 핵심이 초당파적 위원회라고 본다”고 밝혔다. 민 교수는 “5년의 대통령 임기, 1년 안팎의 장관 임기 등 단기적인 흐름에 따라 교육이 ... ...
양자역학에 나비효과는 없다
2015.02.08
● 양자역학도 아니고 고전역학도 아닌 세상 카오스가 정말 존재하느냐의 논쟁이 다소
철학
적으로 보일 수 있겠다. 하지만 이것은 실제적으로도 중요한 문제다. 미시세계는 양자역학, 거시세계는 고전역학으로 기술된다고 했다. 그 중간은 어떻게 해야 할까. 크기로 이야기하면 원자 천 개에서 만 ... ...
‘재능’에 대한 고정관념 여성 과학자 진출 막는다
과학동아
l
2015.02.04
최근 그 원인을 심리학에서 찾은 새로운 연구가 나와 주목 받고 있다. 미국 프린스턴대
철학
과 사라-제인 레슬리 박사팀은 “연구자들이 스스로 그 분야를 ‘노력보다 재능이 필요한 분야’라고 생각할 경우 여성 학자의 비율이 적다”며, “그 이유는 ‘여성이 재능을 갈고 닦기는 어려울 ... ...
과학문화 대중화 위해 ‘카오스 재단’ 본격 활동
2015.02.04
기자간담회를 열었다. 이 회장은 “과학은 자연을 탐구하는 것을 넘어 삶을 지배하는
철학
이자 국가의 흥망을 좌우하는 중대한 영역이 됐다”며 “2012년부터 이공계 석학들과 진행해온 ‘카오스 콘서트’에 대한 반응과 기대가 높았던 만큼 체계적이고 집중적인 프로그램을 개발해 기초과학과 ... ...
끈이론으로부터 물리학을 지키자?
2015.01.05
크기 때문이라고 하면 되므로 큰 문제는 아니다. 이런 상황에서 물리학자이자
철학
자인 리처드 다위드(Richard Dawid)는 한 발 더 나아가 끈이론처럼 아름다운 이론은 굳이 실험으로 증명할 필요가 없다는 주장을 하고 있다는 것. 즉 지난 30년 동안 더 나은 대안이 나오지 않은 상황에서 아직까지 ... ...
뇌는 정말 신체적 고통과 정신적 고통을 구별하지 못할까?
2014.12.01
없지만, 학술지 ‘네이처’ 7월 31일자에 실린 샌디에이고 캘리포니아대(UC샌디에이고)
철학
과 명예교수인 패트리샤 처치랜드의 서평이나 책 뒤표지에 있는 하버드대 심리학자 스티븐 핑커 교수의 추천사를 보면 많은 심리학자나 뇌과학자들이 거울뉴런 만능론을 우려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핑커 ... ...
이전
65
66
67
68
69
70
71
72
7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