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질서
상하
뉴스
"
위아래
"(으)로 총 1,745건 검색되었습니다.
아기별은 자기장 ‘그물’의 방해를 뚫고 자란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7.03
지구로부터 약 1000광년 떨어진 페르세우스 분자운에 속해 있는 초기 아기별 L1448 IRS 2의 모습이다. NASA 스피처 적외선 우주망원경이 촬영했다. 사진제공 NASA 국내 연구팀이 이끄는 국제연구팀이 탄생 초기의 별인 ’아기별’의 탄생 과정을 새롭게 밝힐 증거를 관측하는 데 성공했다. 별과 행성의 형 ... ...
짜증 유발하는 게임 속 ‘래그’ 극복할 기술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7.01
어떻게 바꾸면 되는지 연구했다. 연구팀은 새가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통통 튀면서
위아래
에 길게 튀어나와 있는 기둥을 피하는 ‘플래피 버드’라는 게임을 대상으로 실험을 했다. 지연 현상이 일어나면 새가 기둥을 피할 타이밍을 잡지 못해 성공률이 떨어진다. 연구팀은 떨어진 성공률을 다시 ... ...
다채로운 우주전시 과학관에서 체험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6.30
사진제공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인류의 달탐사 50주년 및 국제천문연맹(IAU) 설립 100주년을 맞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하 국립과학관에서 우주를 주제로 한 다양한 특별 전시를 개최한다. 국립대구관학관에서는 5일부터 9월 1일까지 ‘우주로의 도전’ 공동 특별전(위 사진)을 개최한다. 인류의 우주 ... ...
자연에 없는 '마법의 물질’을 설계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6.28
파동에너지극한제어연구단 구성원들이 대전 유성구 한국기계연구원에 위치한 연구실 건물에서 포즈를 취했다. 세상에 없는 물성을 지니는 메타물질을 설계하고 있다. 사진 제공 홍덕선 작가 주사위 모양의 말랑말랑한 물체를 누른다고 해보자. 아래로 납작해지면서 옆으로 볼록 튀어나올 것이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사람마다 '약발' 다른 이유는 장내미생물
2019.06.25
인삼에 들어있는 사포닌인 진세노사이드는 장내미생물의 효소에 의해 화합물K로 전환돼야 장벽을 통해 흡수된다. 한국 사람 3분의 1의 장에는 이 효소가 없거나 부족해 홍삼차를 마셔도 인삼의 효과를 제대로 보지 못한다. 강석기 제공 지난 2011년 처음 위염을 앓은 뒤 거의 매년 이런저런 계기로 위 ... ...
디스플레이 발광효율 높이는 ‘원편광’ 구현 신개념 설계안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6.25
신개념 원편광 발광재료 설계방법을 개발했다고 25일 밝혔다. 빛은 직진할 때 좌우,
위아래
등 모든 방향으로 진동하면서 뻗는다. 그 중 원을 그리며 나선형으로 나아가는 빛이 원편광이다. 원편광은 디스플레이 발광 효율을 크게 개선할 수 있는 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원편광이 디스플레이 ... ...
원숭이도 사용하는 도구 ‘유행’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6.25
카푸친원숭이가 사용한 도구들. 위 셋은 왼쪽부터 차례로 캐슈넛을 갈아 먹는 오늘날의 석기, 257년 전의 석기 망치(가운데)와 모루(오른쪽). 아래 셋은 가장 오래 전인 약 3000년 전까지 사용하던 석기. 작은 씨앗 등을 때려 가공해 곳곳에 흔적이 남아 있다. 모든 석기는 대략 어른 주먹 반보다 작은 ... ...
[주말 고고학산책]냉동인간 ‘외치’는 왜 알프스 계곡에서 숨을 거뒀나
2019.06.22
지구온난화로 인해 눈이 녹이며 한 시체가 드러났다. 당시 외치가 발견된 모습. 하반신이 아직 녹다 만 빙하 속에 묻혀있다. South Tyrol Museum of Archaeology 제공 올 초 해외 언론들은 에베레스트산 곳곳에서 시신이 발견되고 있다는 소식을 전했습니다. 1922년 이후 지금까지 200명 이상의 등반가가 에베레 ... ...
생물처럼… 몸속 ‘피’ 흐르는 로봇 물고기가 스르르 헤엄쳤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6.21
반복하면 물고기 꼬리가 좌우로 움직이며 물속에서 앞으로 나아간다. 로봇 물고기가
위아래
로 움직이게 배지느러미도 상하로 움직이게 했다. 셰퍼드 교수는 “별도의 배터리와 유압 유체 시스템을 가지는 로봇에 비해 에너지양을 325% 늘렸다”고 말했다 ... ...
“동토에 숨었다 피는 ‘씨범꼬리'에서 북극식물의 인내 배워요.”
동아사이언스
l
2019.06.21
북극 전문가이자 생물학자인 이유경 극지연구소 책임연구원은 19일 인천 송도 극지연구소에서 가진 인터뷰에서 “극지 연구는 북극에 영토를 갖지 않은 한국이 관련 논의에 참여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라고 말했다. 송도=윤신영 기자 ‘자주범의귀’는 노르웨이 스발바르 섬에 흔히 자라는 꽃 ... ...
이전
65
66
67
68
69
70
71
72
7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