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우량
우월
탁월
상위
유망
유명
저명
뉴스
"
우수
"(으)로 총 3,843건 검색되었습니다.
[화보] 올해 최고의 천체사진은 태양의 '민낯'
동아사이언스
l
2024.04.22
사진의 구도는 태아가 엄마 배 속에 있는 듯한 모습으로 잡았다. 천문연 제공 ●
우수
상 이충현 씨의 'Flying Bat and Squid Nebula'. 세페우스자리 근처에 위치한 오징어 성운과 그 주변에 있는 비행 박쥐 성운을 촬영한 사진이다. 오징어 성운의 경우 매우 어둡기 때문에 노출시간을 24시간 가까이 주어 ... ...
간단한 공정으로 이산화탄소만 쏙쏙 분리하는 분리막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04.22
분리막은 기계·화학적 안정성이 높고 유연하면서 내구성이 약한 탄소 분리막 수준의
우수
한 분리 성능을 보였다. 대량생산에 적합한 공정으로 상업화에도 유리하다. 연구의 제1 저자인 이홍주 KAIST 생명화학공학과 연구원은 "비교적 간단한 공정으로도 고분자 소재에서는 달성하기 어려웠던 ... ...
오영국 핵융합연 원장 취임…"핵융합로 R&D로 연구 전환"
동아사이언스
l
2024.04.22
경영 분야에 대해서는 인력 부족의 해결책으로 정년 후 재고용의 효율적 운영 및
우수
연구원제의 조기 도입, 그리고 매너리즘 탈피를 위한 인력의 선순환과 업무 선택권 증대를 추진한다는 전략이다. 또한 보다 유동적인 조직 구성 및 협력 강화와 핵융합 연구에 대한 이해와 지지를 확대하기 ... ...
한국인 70% 부족한 '비타민D', 결핍시 만성질환 지표 악화
동아사이언스
l
2024.04.22
비타민D와 만성질환의 연관성을 밝힌 논문으로 대한진단면역학회 춘계학술대회에서
우수
논문상을 수상했다고 22일 밝혔다. 윤 교수팀은 한국 성인을 대상으로 비타민D와 흔한 만성질환 지표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했다. 국내 건강검진 수검자 4545명의 검진 결과를 이용해 비타민D 결핍 현황을 ... ...
한국 생명과학 기틀 세운 박상대 서울대 명예교수 별세
동아사이언스
l
2024.04.22
위해 사재를 출연해 '여성생명과학자상'을 만들기도 했다. 2016년 제정된 상은 매년
우수
한 성과를 낸 여성 과학자를 선정해 포상한다. 그는 UN개발계획(UNDP)의 주도하에 설립된 비영리 국제기구인 국제백신연구소(IVI)를 한국에 유치하는 데 앞장섰으며 한국후원회장과 이사장을 맡아 여러 활동을 ... ...
비틀고 구겨도 멀쩡한 '스트레처블' 에너지 저장 소자
동아사이언스
l
2024.04.19
김진곤 교수는 "레이저는 정밀한 작업이 가능하면서 공정 속도도 빠르다"며 "신축성이
우수
한 에너지 저장 소자를 개발해 상용화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한다"고 밝혔다. ... ...
[과기원NOW] DGIST, 순적색 초고효율 피부부착형 발광소자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4.18
간단한 표면개질로 기존과 동일한 밴드갭 에너지를 유지하면서 안정성과 전기적 특성이
우수
한 소자를 만들었다. 최대 19.8%의 외부양자효율을 달성했다. 이번 연구는 국제학술지 ‘메터리얼스 투데이’에 4월 온라인 게재됐다. ■ KAIST는 김우연 화학과 교수 연구팀이 단백질과 분자 사이 ... ...
이공계 학생 "꿈보다 현실의 벽 마주해"…김빛내리 "무슨 실험 중단해야 하나 걱정"
동아사이언스
l
2024.04.18
이어졌다. 2부 발제를 맡은 최병호 고려대 기계공학부 교수는 신진 연구인력을 양성하고
우수
중견 연구자를 확보해 학을 세계적 수준의 연구 허브로서 육성할 필요가 있다"며 "대학 연구 경쟁력을 강화하고 대학·기업·지자체 등 다양한 국가 요소 간의 협력을 통해 국가 경쟁력 확보할 수 있다"고 ... ...
인간 피부 흉내낸 3D 장기유사체…피부 치료제 개발에 활용
동아사이언스
l
2024.04.17
기대된다"고 밝혔다. 나아가 연구팀은 오가노이드가 세포외소포체(EV)를 분비하며
우수
한 상처 치료 효과를 나타낸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세포외소포체는 세포 내에서 외부로 방출되는 미세한 분비체로 세포 간 정보교환과 조절기능을 하며, 조직 재생, 염증과 면역 반응 조절, 항상성 유지 등 ... ...
고무처럼 늘어나는 QLED 소자 개발…1.5배 늘려도 화질 그대로
동아사이언스
l
2024.04.16
, 구동 전압은 6.2V로 신축성 퀀텀닷 발광소자 중 가장 밝고 효율적이다. 이전까지 가장
우수
하다고 보고된 2022년 미국 스탠퍼드대 연구팀이 개발한 소자는 휘도 7450니트, 구동 전압 15V였다. 소자는 양옆으로 잡아당기는 힘이 가해져도 기계적 손상이나 발광 성능 저하가 발생하지 않았다. 최대 1. ... ...
이전
65
66
67
68
69
70
71
72
7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