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내력
연혁
유래
역사책
과정
역사학
역사과학
뉴스
"
역사
"(으)로 총 3,266건 검색되었습니다.
[첨단과학, 다가올 50년] "록음악도 알고보니 뇌 연구 산물…무한한 가능성 열린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7.31
그는 지난 100년간 뇌과학 연구는 새로운 기술의 발전과 함께 했다며 뇌과학 연구의
역사
를 하나씩 짚었다. 1850년대 개발된 뇌 절편을 써는 기계부터 현대 뇌과학 연구에 사용되는 침습법과 fMRI 등을 차례로 소개했다. 이 석좌교수는 "뇌 연구를 위해 개발된 진공관이 음악 산업에도 혁명을 불렀다 ... ...
[첨단과학, 다가올 50년]가장 큰 현미경으로 가장 작은 것 분석하기
동아사이언스
l
2022.07.31
6개와 경임자(렙톤) 6개, 매개입자 4개로 이뤄진 표준모델은 입자물리학의 살아있는
역사
다. 1972년 이후 50년간 등장한 새 입자들의 발견 장소는 미 스탠퍼드 선형가속기센터(SLAC)와 브룩헤이븐국립연구소와 미국립 페르미연구소, 유럽입자물리연구소(CERN)과 겹친다. 참쿼크를 비롯해 타우렙톤, ... ...
[표지로 읽는 과학]바다에서 발견된 수분매개자
동아사이언스
l
2022.07.31
연구 성과가 수분의 개념을 지상 식물에서 조류로 확장하고 동물매개 수분의 다양성과
역사
를 확장했다고 평가했다. 곤충의 수분 작용은 육상 꽃식물에서 가장 흔한 번식 전략이지만 해양 식물에겐 해당하지 않았다. 꿀벌 등 곤충에 의한 동물 수분은 속씨식물의 지배적인 전략이다. 바닷속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멘델 탄생 200주년
2022.07.26
만들어지는 것으로 밝혀졌다. 2019년 마침내 완두콩의 게놈이 해독됐다. 유전학의
역사
에서 중요한 식물임에도 이처럼 늦어진 이유는 게놈이 44억 염기로 꽤 크고 반복서열이 많아 해독이 까다롭기 때문이다. 참고로 콩과 작물은 생산량이 압도적으로 많고 게놈도 11억 염기로 크지 않은 대두가 201 ... ...
[표지로 읽는 과학]대멸종 후 바다는 생물다양성을 어떻게 회복했나
동아사이언스
l
2022.07.23
결론이다. 세르멘노 연구원은 “이 모델은 일부 대멸종이 일어나지 않았거나 지구
역사
상 다른 기간에 발생했다면 어떤 일이 일어났을지를 포함해 많은 가설을 검증하거나 탐색할 수 있는 강력한 도구로 활용될 수 있다”고 말했다. 일부 전문가들은 인간 활동이 자연에 과도한 영향을 ... ...
누리호 만들 민간기업 선정 착수...가보지 못한 또다른 ‘한걸음’
동아사이언스
l
2022.07.22
발사체 기술의 민간기업 이전은 13년간 진행됐던 누리호 개발처럼 국내 우주개발
역사
에서 한 번도 가보지 못한 길이다. 누리호 개발과 발사에서 정부 출연연구기관 한국항공우주연구원(항우연)이 했던 역할을 체계종합기업이 바통을 이어받아 민간 주도의 우주개발을 의미하는 ... ...
홍성화 명지의료재단 의료원장 취임
동아사이언스
l
2022.07.21
1일 임기가 시작된 홍 의료원장은 이날 취임사에서 “명지의료재단이 걸어온 혁신의
역사
와 이왕준 이사장이 꿈꾸는 미래 비전에 공감해 ‘명지호’에 합류하게 됐다”고 밝혔다. 이어 “명지의료재단의 새로운 도약점이 될 경기도 하남 명지병원과 충남 내포신도시 명지병원 건립에 명지가족 ... ...
[이덕환의 과학세상]계약학과는 산업계 인력난을 해결해주지 않는다
2022.07.20
칼럼과 논문 2500편을 발표했다. 《같기도 하고, 아니 같기도 하고》 《거의 모든 것의
역사
》를 번역했고 주요 저서로 《이덕환의 과학세상》이 있다. ... ...
사상 최대 규모 우주개발 사업 한국형위성항법시스템 개발사업본부 공식 출범
동아사이언스
l
2022.07.18
한국형 위성항법시스템(KPS) 사업 추진계획이 수립됐다. 과기정통부 제공 한국 우주개발
역사
상 최대 규모 개발 사업인 한국형 위성항법시스템(KPS) 개발을 위한 연구개발(R&D) 총괄 조직이 18일 출범했다. 정부가 ‘누리호’ 발사 이후 우주경제 시대로 도약하기 위한 핵심 과제로 보고 있는 KPS 개발에 ... ...
제임스웹 이을 차세대 우주망원경 도전 과제는 암흑에너지와 우주 전체 촬영
동아사이언스
l
2022.07.15
상상도. NASA 제공. 미국항공우주국(NASA)이 12일(현지시간) 인류
역사
상 가장 크고 강력한 우주망원경 ‘제임스웹 우주망원경(JWST)’이 관측한 총천연색 사진을 공개했다. 별들의 요람 ‘용골자리 성운’, 1877년 최초 발견된 소은하군 ‘스테판의 오중주’ 등 여러 천체의 모습을 생생하게 담았다. ... ...
이전
65
66
67
68
69
70
71
72
7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