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파멸
분열
파괴
황폐
분해
파산
파손
뉴스
"
붕괴
"(으)로 총 744건 검색되었습니다.
‘신의 입자’ 찾은 가속기 ‘시즌2’ 시작
2015.04.10
힉스는 양성자가 충돌할 때 아주 짧은 순간 동안 존재했다가 4개의 뮤온 입자로
붕괴
되기 때문에 뮤온 입자를 검출하면 힉스의 존재를 간접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최수용 한국-CMS 단장(고려대 물리학과 교수)은 “뮤온 입자 검출기의 성능을 향상시킨 뒤 장착을 끝냈다”면서 “앞으로 LHC가 ... ...
거짓말 잘하는 비결
과학동아
l
2015.03.26
죽어버릴 것이다.” - 아나톨 프랑스, ‘꽃피는 삶’ “지나친 정직은 인간사회를
붕괴
시킬 수 있다.”- 데이비드 리빙스톤, ‘우리는 왜 거짓말을 하는가’ 동아사이언스 제공 ‘거짓말의 발명(2009)’이란 영화가 있다. 모두가 거짓말을 못하는 사회에서 유일하게 거짓말을 하게 된 한 남자의 ... ...
LHC 이번엔 암흑물질 찾는다
과학동아
l
2015.03.04
지난 실험에서는 힉스 입자의 존재를 확인하고, 질량을 측정했으며, 힉스 입자가 어떻게
붕괴
하는지를 주로 측정했다. 다시 실험을 시작하면 힉스 입자의 여러 성질을 더욱 정확히 검증할 수 있을 것이다. 새로가동되는 LHC에서는 더 많은 힉스 입자가 만들어질것이기 때문이다. 표준모형에서 가장 ... ...
테크노마트 진동과 인간의 본능
2015.02.08
원인과 안전 여부를 밝히기 위해 직접 나섰다. 조사 결과 건축 전문가들은 건물
붕괴
위험은 없으며 진동의 원인은 12층에 있는 피트니스 센터에서 진행된 ‘집단 군무’였다고 지목했다. 집단 군무가 일으킨 위아래 방향의 진동이 건물이 가진 고유 진동수와 맞아 떨어지면서 에너지가 누적돼 ... ...
끈이론으로부터 물리학을 지키자?
2015.01.05
‘슈뢰딩거의 고양이’가 실제 일어나는 현상이라고 주장한다. 방사성동위원소
붕괴
여부에 따라 독가스 방출 여부가 결정되고 그에 따라 고양이가 죽느냐 사느냐가 결정되는 ‘슈뢰딩거 고양이’는 양자역학의 확률론 아이러니를 상징한다. 그런데 우리가 일상에서 이런 상황에 접할 때마다 ... ...
[세종대학교]미래기술분야 선도할 성과 속속… 이공계 명문大로 도약
동아일보
l
2014.12.12
위한 연구를 지속해오고 있다. 건설과 ICT가 융합된 ‘똑똑한 건물’은 건물의 균열과
붕괴
등을 스스로 미연에 감지하고 관리자에게 알릴 수 있다. 실제 세종대 충무관에는 스마트빌딩 기술의 프로토타입이 설치되어 있다. 방문객이 2층에 도착해 스마트폰으로 자신의 위치를 체크하면 도착할 ... ...
지층 파괴 없이 가스하이드레이트 생산한다
2014.10.27
기술을 개발했다. 그동안 하이드레이트 안에서 메탄가스를 꺼내면 하이드레이트층이
붕괴
돼 해저 지반이 침하하고 해저 생태계가 파괴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흔 KAIST 생명화학공학과 교수팀은 해저에 묻혀 있는 하이드레이트층 안에서 메탄가스를 꺼낼 때 공기를 주입하는 맞교환 방식을 ... ...
뱀이 모래언덕 어떻게 기어오르나 보니
2014.10.12
조 멘델슨 애틀란타 동물원 연구소장은 “이번 연구 결과를 활용하면 외계 행성과 건물
붕괴
현장, 고고학 탐사 현장처럼 열악한 환경에서 자유롭게 움직이는 로봇을 만들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사이언스’ 10일자에 발표됐다. ... ...
네안데르탈인은 언제 사라졌을까
2014.09.22
거의 일정하게 일어난다고 볼 수 있다. 탄소14는 불안정한 동위원소로 결국 질소14로
붕괴
되는데(이때 전자와 반뉴트리노가 나온다) 반감기가 약 5730년이다. 이렇게 만들어진 탄소14는 대기중에서 산소와 반응해 이산화탄소가 되고 식물에 흡수된다. 결국 살아있는 동식물은 대기중의 탄소14 비율을 ... ...
“당신이 마신 물-와인에도 방사능… 과도한 공포심 버려야”
2014.09.11
방사성탄소도 함께 들락거린다. 생물체가 죽으면 이때부터 체내에 축적된 방사성탄소가
붕괴
하면서 그 양이 줄어들기 시작한다. 와인에서도 이 방사성탄소가 검출돼야 와인이 포도로 만들어졌다는 사실이 증명되는 셈이다. ―2011년 일본 후쿠시마 원전 사태는 방사능의 위험성을 보여준 사례 ... ...
이전
65
66
67
68
69
70
71
72
7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