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불안정
불균형
불평등
불균등
불확정
불안
의혹
뉴스
"
불확실
"(으)로 총 717건 검색되었습니다.
DDT, 그 영욕(榮辱)의 역사
2015.04.20
급성독성이 미미하고 사람에게 미치는 만성독성은 아직
불확실
한) DDT를 대신해 파라티온(유기인계 살충제) 같은 유독한 물질이 쓰인다는 건 넌센스다. DDT가 야생생물에 미치는 장기적인 영향에 대한 증거가 나오고 있다고 할지라도. - 케네스 드브와, 미국 시카고대 독성학자 스위스의 화학자 폴 ... ...
광자 한꺼번에 ‘순간이동’ 성공
2015.03.17
광자쌍을 만들어낸 뒤 양자 얽힘을 구별하는 양자측정(벨 측정)이 필요한데, 양자역학의
불확실
성 때문에 성공확률이 50%를 넘을 수가 없었다. 즉, 광자 여러 개를 보내기 위해 여러 번 측정할수록 성공할 수 있는 확률이 기하급수적으로 낮아진다는 뜻이다. 연구팀은 광자 낱개 간의 얽힘이 아닌 ... ...
조삼모사(朝三暮四)의 긍정심리학
2015.02.23
조삼모사의 상황이라고 섣불리 판단하지 말기 바란다. 앞은 확정적인 표현이고 뒤는
불확실
한 표현이다. 조사결과 72%가 프로그램A를 선택했다. 기대치가 같을 때 사람들은 좀 더 확실한 상황을 선호하는데 이를 ‘위험회피(risk averse)’라고 부른다. 이제 프레임을 달리한 버전이다. 1. ... ...
이종사촌-친사촌, 누가 나를 구해줄까?
2015.02.13
친가 친척과 오랜 시간을 보내는 문화가 영향을 미친 것”이라고 말했다. ‘부성(父性)
불확실
성’ 때문에 친사촌보다는 이종사촌이 내가 위험에 처했을 때 도움을 줄 확률이 높다. - 수학동아 제공 ... ...
양자역학에 나비효과는 없다
2015.02.08
양자역학에는 보다 본질적인
불확실
성이 있다. 확률 밖에 알 수 없다는 점이다. 우주의
불확실
성은 고전역학, 양자역학 모두에 내재해 있는 셈이다. 신은 자연에 법칙을 주었지만, 어쩐일인지 예측할 수 없도록 만들어 놓았다고 할까. ※ 동아사이언스에서는 부산대 물리교육과 김상욱 교수의 ... ...
[동아쟁론]월성원자력발전소 1호기 운전 연장
동아일보
l
2015.01.30
않기 위해서라는 것은 불문가지이다. 이에 따라 경제성도 없고 계속운전 인가도
불확실
한 상태에서 한국수력원자력은 자체 결정으로 큰 비용을 들여 미리 월성 1호기 원자로를 교체했다. 이제는 그 비용 회수를 위해 계속운전을 해야 한다는 논리를 펴 반대에 직면했다. 더욱 심각한 문제가 있다. ... ...
끈이론으로부터 물리학을 지키자?
2015.01.05
활발하다. 그러나 규모가 커질수록 천문학적 비용이 들어가기 때문에 성사 여부도
불확실
하고 설사 지어지더라도 여기서 초대칭입자가 검출되지 못하면 사실상 실험으로 입증할 방법이 없다. 그렇더라도 끈이론 학자들은 초대칭입자의 질량이 가속기의 충돌 에너지보다 크기 때문이라고 하면 ... ...
[세종대학교]미래기술분야 선도할 성과 속속… 이공계 명문大로 도약
동아일보
l
2014.12.12
물 순환 변화에 따른 가뭄상황을 종합적으로 고려하는 결합가뭄지수를 나타낸다.
불확실
성을 최소화하기 위해 통계적 보정기술을 개발해 고품질의 가뭄전망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특징이다. 배 교수의 ‘가뭄전망정보 생산기술 개발 및 제공 시스템 구축’은 올해 미래창조과학부의 ‘국가연구개발 ... ...
북한은 정말 2010년에 핵실험을 했을까
2014.12.04
중국과학기술대가 발표한 북한 핵실험 추정 논문 - Seismological Research Letters 제공 북한이 지금까지 공개된 세 차례의 핵실험 이외에 지난 2010년에 소규모의 지하 핵실험을 실시했다는 주장이 중국 과학계에서 제기됐다. 이 주장에 대해 국내외 전문가들은 “근거가 부족하다”며 일축하고 있다. ... ...
태양보다 150배 더 무거운 별이 있을까?
2014.11.17
5만 도로 추정하고 있다. 별의 나이는 300만 살 이내로 보인다. 현재의 데이터로는 여전히
불확실
한 변수가 많다는 얘기다. 연구팀이 제시한 W49nrl 모형을 보면 지름이 태양의 25.5배에 이르는 파란 별이다. 별이 커지면 밀도가 꽤 낮아지나 보다. 그림에서 오른쪽 흰 점이 태양이다. 태양의 지름은 ... ...
이전
65
66
67
68
69
70
71
7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