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하
해저
뉴스
"
바다속
"(으)로 총 793건 검색되었습니다.
가재처럼 걷는 해저로봇 크랩스터
과학동아
l
2015.05.29
충남 태안 마도 근해는 6년 전 고선박이 발견된 이후 ‘바닷속 경주’라 불린다. 잠수사로 변신한 수중고고학자들이 지금도 바다 밑에 내려가 진흙을 퍼내고 고려, 조선시대 도자기를 건져 올린다. 그런데 이곳에 4월 16일, 느닷없이 거대한 로봇이 나타났다. 게와 가재를 닮은 해저로봇 ‘크랩스터 ... ...
어벤져스 : 에이지 오브 렙타일
과학동아
l
2015.05.28
영화 이 극장가를 휩쓸고 있다. 화려한 특수능력을 이용해 시원한 액션을 선보이는 초인들이 스크린을 가득 메우고, 이에 마음이 홀린 관객들은 2시간이 넘는 긴 러닝타임을 시간 가는 줄 모르고 보낸다. 혹시 ‘현실은 왜 영화처럼 재밌지 않을까’ 하고 생각하는 ... ...
인간은 정말 뇌의 10% 밖에 사용하지 못할까
2015.05.25
메디치미디어 제공 ■ 뇌는 탄력적이다 (닐스 비르바우머·외르크 치틀라우 著, 메디치 미디어 刊) 1988년 개봉한 영화 ‘레인맨’에서 찰리(톰 크루즈)와 레이먼(더스틴 호프먼)은 형제 관계다. 형인 레이먼은 자폐증을 앓고 있지만 비상한 수리력과 암기력을 가지고 있다. 이쑤시개 더미가 바닥 ... ...
바다에서 건져 올린 플랑크톤 왕국
2015.05.25
사이언스 제공 이번주 ‘사이언스’ 표지는 마치 보석상자를 열어 놓은 것 같다. 모양도 다양한 오색 생물들이 독특한 자태를 뽐내고 있다. 이들은 모두 전 세계 바다에 살고 있는 플랑크톤들이다. 22일자 사이언스에는 무려 5년 동안 전 세계 바다를 누비며 조사한 플랑크톤 연구 결과가 논문 5 ... ...
돌연사 ‘전공’ 개복치, 알고보니 특급 포식자?
2015.05.17
연구 책임자 니콜라스 웨그너가 이번 연구 대상이었던 붉은개복치를 들어보이고 있다.(왼쪽)/ 스마트폰 화면 속을 가득 채운 먹잇감을 순식간에 먹어치우는 게임 속 개복치 - 미국 해양기상청(NOAA)/ 게임 '살아남아라! 개복치' 화면 캡처 제공 인기 모바일 게임 ‘살아남아라! 개복치’에서 잦은 돌연 ... ...
[신문과 놀자!/별별과학백과]공기방울-분뇨로도 전기 만들어요
동아일보
l
2015.05.13
[동아일보] 우리 주변에 널려있는 발전소들 니콜라 테슬라는 ‘교류 발전기’를 발명해 ‘전기의 아버지’로 불린다. 그가 살던 19세기 말에는 전기 그 자체가 신기한 존재였다. 그런데 우리가 살고 있는 21세기에는 신기하고 재미있는 ‘발전’, 즉 전기를 만드는 방법이 아주 많다. 그중에 정말 놀 ... ...
“철제 솥 찾아라” 명령 받은 크랩스터, 2시간 만에 임무 완수
동아일보
l
2015.04.30
[동아일보] 탐사로봇 이용 첫 수중 발굴 실험 현장을 가다 11개의 첨단장비 탑재 해저로봇… 육상 제어실서 게임하듯 조종 실시간 전송하는 초음파 영상… 탁한 물속 전방 15m 물체도 생생 조운 길 마도해역은 보물창고… 마도4호선 5월 7일부터 본격 발굴 《 28일 충남 태안군 마도 앞바다. 수중 발 ... ...
‘멍~ 때리는 동물?’ 파충류는 억울해
과학동아
l
2015.04.29
애증의 동물 파충류. 공룡 등 남녀노소를 불문한 흥미의 대상이기도 하지만 뱀처럼 혐오나 두려움의 대상이기도 하다. 고생물학자의 글을 통해 파충류의 새로운 모습을 만나보자. 과학동아(일러스트 정재환) 제공 오래 전부터 파충류는 인간과 별로 사이가 좋지 못했다. 신화나 전 ... ...
작지만 끈질긴, 가볍지만 정교한
과학동아
l
2015.04.27
‘갯벌 위의 신사’라는 별칭을 가진 검은머리물떼새. 우리나라를 거쳐 러시아로 날아가는 도요목 철새들은 긴 비행에 필요한 에너지를 얻기 위해 대부분의 시간을 먹이 활동에 전념한다. - 빙기창 박사 제공 ‘피이~’ 높고 날카로운 소리가 해변을 울렸다. 소리가 나는 쪽으로 급히 망원경을 돌 ... ...
한반도 바다, 방사성 오염에서 문제 없나
2015.04.24
“물통요? 이 안에 한반도 해역에서 떠 온 바닷물이 들어있습니다. 이 바닷물에 방사성 물질이 얼마나 녹아 있는지 측정합니다.” 7일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KINS) 방사능분석센터 실험실. 복도에는 약수터에서나 보일법한 20리터짜리 물통 수백 개가 일렬로 늘어서 있었다. 물통마다 이름표가 붙 ... ...
이전
65
66
67
68
69
70
71
72
7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