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중개
주선
중간
간접
매체
수단
방편
뉴스
"
매개
"(으)로 총 718건 검색되었습니다.
우리집 아이의 성적인 질문, 어떻게 대답해 줄까
2014.08.10
모든 이들에게 꼭 필요한 내용들 담고 있다. 또한 불임 질환, 남녀 생식기 질병, 각종 성
매개
질환, 임신 합병증과 산후 우울증에 이르기까지 임산부와 태아의 건강관리를 위한 체계적이고 실용적인 정보를 담고 있다. 알기 쉬운 그림책 형태지만 책의 수준은 전문 의학서 못지 않다. 공저자 및 ... ...
[채널A] 에볼라 바이러스 대처법…김치로? 손부터 씻으세요
채널A
l
2014.08.05
만져 옮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따라서 음식으로 면역력을 높이기보다는 가장 중요한
매개
원인 손을 청결하게 하는 것이 기본. 일반 비누보다는 약국에서 파는 소독용 에탄올이나 향균 비누를 사용하는 게 살균효과가 좋습니다. 바이러스 발생 지역에 방문한 사람이나 그 가족은 특히 위생에 ... ...
1976년 에볼라 역병은 어떻게 시작되었나
2014.08.04
넘는 인근 마을의 3만4000여 가족을 조사했고 442명의 혈액시료를 채취했다. 또 바이러스
매개
체를 찾기 위해 곤충과 동물 시료도 모았다. 11월 6일 자이르의 보건부 장관 응고웨테는 그간의 조사결과를 집계해 발표했다. 358명이 감염돼 325명이 사망해 치사율이 90.7%에 이른다는 것. 역대 전염병 ... ...
마셜 박사가 헬리코박터균을 마신 이유
과학동아
l
2014.07.20
수 있었다. 또 말라리아는 여전히 무서운 질병이지만 로널드 로스가 말라리아의
매개
체가 모기라는 사실을 밝힌 덕분에 수백, 수천 만 명의 목숨을 구할 수 있다. 강산성인 위액 때문에 위 속에는 세균이 살 수 없다는 게 정설이었지만 배리 마셜 박사는 스스로 헬리코박터균을 마셔 이를 ... ...
반려견 독감주사, 걱정 말고 접종 끝!
과학동아
l
2014.07.08
신종플루(H1N1)와의 재조합이 이뤄질 수 있음을 확인한 바 있다”며 “이번 성과는 개를
매개
체로 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확산의 사전 차단에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인수공통전염병의 흐름을 나타낸 모습. 개는 사람에게 ‘조류독감’이나 ‘신종플루’를 옮기지 않지만 공통감염이 가능할 ... ...
색깔 변하는 유리창, 초간단 제작 기술 개발
과학동아
l
2014.06.10
환원 반응이 수행돼 전기변색성이 안정적으로 나타난다고 설명했다. 또 전자 전달을
매개
하던 전해질의 역할을 양자점이 대신함으로써 소자의 구조를 단순화 할 수 있게 됐다고 덧붙였다. 이 교수는 “80도 이상의 고온이나 휘어진 상태에서도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며 ... ...
치사율 46%… 6, 7월 야생진드기 조심을
동아일보
l
2014.06.09
조사됐다. SFTS는 원인 바이러스를 보유하고 있는
매개
진드기에 물려 전파되며 주요
매개
종은 작은소참진드기로 알려져 있다. 국내에서는 지난해 5월 첫 바이러스 감염 사례가 보고됐다. 질병관리본부 측은 “SFTS 바이러스에 대한 예방백신이 아직 나오지 않은 만큼 진드기에 물리지 않는 것이 ... ...
암흑물질의 실체는 ‘불임 뉴트리노’?
2014.06.04
뉴트리노는 베타붕괴, 즉 약한 상호작용에서 나오는 렙톤으로 여기에는 Z보손이라는
매개
입자가 관여한다. 그런데 또 다른 뉴트리노가 추가되면 Z보손이 너무 빨리 붕괴해 현재 상태를 유지할 수 없다고 한다. 따라서 만일 새로운 뉴트리노가 있다면 약한 상호작용을 하지 않아야 하고 따라서 불임 ... ...
기생충에서 공존의 미덕을 배운다
과학동아
l
2014.05.18
아이들의 호기심에 찬 눈빛을 볼 때면 기생충이야말로 아이들을 과학으로 이끄는 훌륭한
매개
체가 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특히 기생충 사회를 빗대 인간 사회를 풍자하는 위트 속에서 기생충을 통해 공존의 세상을 꿈꾸는 학자의 바람을 엿볼 수 있다. ◆당신이 10년 후에 살아 있을 확률은 ... ...
괴테는 어떻게 꽃이 잎의 변형기관이라는 사실을 알았나
2014.04.21
일해야 할 멀쩡한 단백질을 부수게 된 것. 또 하나 흥미로운 사실은 매미충 같은
매개
체 벌레들이 정상적인 꽃이 핀 식물보다 엽화된 꽃이 핀 식물을 더 선호한다는 것. 식물을 방문한 매미충이 알을 낳은 비율도 정상 식물이 20% 수준인 반면 엽화된 꽃이 핀 식물은 80%에 달했다. 연구자들은 이런 ... ...
이전
65
66
67
68
69
70
71
7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