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징발
툰드라
뉴스
"
동원
"(으)로 총 788건 검색되었습니다.
첨단 로봇
동원
조선시대 선박 수중 발굴
동아일보
l
2015.04.23
대한 대대적인 수중 발굴을 벌인다. 아직 시험단계여서 출토 작업이 아닌 수중촬영에
동원
될 계획이지만 수중 발굴에 로봇을 활용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문화재청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는 23일 충남 태안군 마도해역에서 개수제(開水祭)를 올리고, 지난해 10월 발견된 조선시대 선박 ‘마도 ... ...
[단독/수도권]“제돌이 이어 복순이-태산이도 바다로 가요”
동아일보
l
2015.04.22
복순이와 태산이는 2009년 5, 6월 제주 앞바다에서 잡힌 뒤 제주 퍼시픽랜드 돌고래쇼에
동원
됐다. 그러나 비슷한 처지에 놓였던 서울대공원의 ‘제돌이’와 함께 복순이와 태산이 문제도 불거졌고 대법원의 ‘몰수형’ 판결에 따라 경기 과천시 서울대공원이 보호 중이었다. 건강했던 제돌이와 달리 ... ...
天地 밑 10km 지점 마그마 가득… 수년 째 ‘수상한 움직임’
2015.04.02
땅속 전기저항을 측정해 지질 구조를 알아내는 ‘전기비저항토모그래프’ 장비 등도
동원
한다. 이 작업이 끝나면 백두산 땅속 최대 12km 부근까지 입체 지도를 그릴 수 있다. 이 첨단 탐사 장비들은 모두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이 자체 개발해 보유하고 있다. 시추공을 뚫고 마그마를 직접 꺼내는 ... ...
인생 몰라요~ 점쟁이도 몰라요~
과학동아
l
2015.03.31
칼럼에 다음과 같이 쓴 것도 봤습니다. “사주는 통계학의 모태다. 컴퓨터가
동원
되는 첨단 통계보다 표본자료가 방대하다. 수천 년 동안 바통을 이어온 인간들의 삶의 궤적을 데이터베이스화했다. 확률이 높다는 얘기도 된다.” 그러니까 사주라는 건 수많은 인간의 삶을 데이터베이스화해서 ... ...
이제 과학도 요리가 대세?
2015.03.30
음식을 먹을 때 맛이라고 느끼는 현상은 단순히 혀만 관여하는 게 아니라 오감이 전부
동원
되면서 지각된 결과다. 옥스퍼드대 실험심리학과 찰스 스펜스 교수는 ‘다중감각적 풍미 지각’이라는 글에서 맛의 이런 측면에 대한 최근 연구결과들을 소개하고 있다. 그런데 필자가 앞 문장에서 쓴 ... ...
한반도 덮치는 무서운 물
과학동아
l
2015.03.27
이끌었다고 연구팀은 분석했다. 시위는 초기에는 비폭력적이었으나 독재 정권이 무기를
동원
해 진압하면서 내전으로 치달았다. ※ 더 많은 과학기사를 2015년 4월호 과학동아에서 만나보세요. ... ...
[3월 운영, 경주 방폐장 르포] 지하 130m 거대 ‘사일로(silo)’에 묻혀
2015.02.25
절차부터 거쳤다. 남색 방호복을 입은 직원들이 방사성핵종분석기, X선 검사설비 등을
동원
해 방사능 농도와 표면 오염 여부 등을 정밀하게 검사했다. 검사가 끝나자 특수 운반용기에 담겨 있는 폐기물 드럼을 꺼내 두께 10cm 콘크리트 용기로 옮겨 담았다. 콘크리트 용기에는 드럼 16개를 한꺼번에 ... ...
2년 전 러시아 충돌 운석, 여전히 미스터리
2015.02.17
초속 20km에 이르렀다. 도대체 이 운석은 어디서 온 것일까. 러시아 내무부는 경찰을
동원
해 첼랴빈스크 주 전역에서 운석 찾기에 나섰고, 600kg가량을 거둬들였다. 이 운석을 토대로 천문학자들은 너비가 2km에 이르는 운석 ‘1999 NC43’을 첫 번째 ‘용의자’로 지목했다. 하지만 비시누 레디 ... ...
글라이더로 인공위성 쏘아 올리는 세상 온다
2015.02.16
TGLAS는 무인항공기를 이용해 인공위성을 발사할 수 있고 많은 자원이 필요한 군용 F-15를
동원
할 필요가 없다는 점에서 최근 주목받고 있다. 라이언 디블리 GALS 프로젝트 수석 엔지니어는 “이번 실험은 글라이더와 항공기를 연결하는 각종 부품의 부하를 측정 한 것”이라며 “조만간 글라이더의 ... ...
우주 한복판에서 벌어지는 ‘주파수 전쟁’
2015.02.13
0MHz(메가헤르츠) 이상의 주파수 대역이 필요했지만 법적으로 쓸 수 있는 주파수를 최대한
동원
해도 375MHz가 한계였다. 결국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은 차선책을 짜냈다. 아리랑 3호의 식별신호부터 주고받은 뒤 데이터를 집중적으로 수집하는 방식을 새로 개발했다. 인공위성이 사용할 주파수 부족 ... ...
이전
65
66
67
68
69
70
71
72
7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