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특별
특수
특이
고유
특유
뉴스
"
독특
"(으)로 총 1,276건 검색되었습니다.
웃는 얼굴의 심해 생명체 ‘화제’
팝뉴스
l
2018.12.03
사람을 바라보는 것 같다. 웃는 듯한 저 얼굴은 사실 입 부분에 해당한다고 한다. 취향이
독특
한 네티즌들은 이 생명체가 아름답고 귀엽다고 호평한다. ※ 편집자주 세상에는 매일 신기하고 흥미로운 일이 많이 일어납니다. 보는 이의 눈살을 찌푸리게도 만들고, 감탄을 내뱉게 만들기도 ... ...
곤충 눈 구조 모방한 초박형 카메라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1.20
개별적인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또 각 오마티디아 사이에 빛을 흡수할 수 있는
독특
한 구조를 가져 영상 간 간섭을 막는다. 정 교수팀은 이 원리를 채용해 이미지 센서를 극도로 얇은 렌즈에 붙여 ‘초박형 렌즈’를 개발하는데 성공했다. 이렇게 만든 지름 2㎜ 이내의 매우 작은 렌즈를 제노스 ... ...
[이강운의 곤충記] 아름다운 색과 뚜렷한 개성을 지닌 호주의 딱정벌레들
2018.11.16
나라가 아니면 구경조차 할 수 없는 고유종 동물들이 많다. 큰 동물들이 자리 잡고 있는
독특
한 생태계 내에서 아주 작은 생물 ‘곤충’을 본다. 붉은길쭉바구미 Red Weevil (Rhinotia haemoptera) 검포도바구미 Black Vine Weevil (Otiorhynchus sulcatus) 푸른광택잎벌레 Blue Metallic Flea Beetle (Altica pagana) ... ...
깃털처럼 가볍고 튼튼한 소재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8.11.10
튼튼해 미래형 첨단소재로 주목받고 있다. 새의 뼈는 겉은 튼튼하고 속이 비었지만
독특
한 내부구조로 갖추고 있어 가벼우면서도 외부 충격에 강하다. 연구진은 이를 모방한 경량소재를 개발했다. 연구진은 먼저 0.1㎜ 정도의 작은 ‘그래핀 공기방울(버블)’을 만들었다. 그리고 이 그래핀 ... ...
'누가 잘 접나' 달아오르는 폴더블폰 경쟁
2018.11.10
지난 5월 삼성전자가 등록한 특허 디자인. 3등분으로 접히는 폴더블폰의 디자인(아래)도
독특
합니다. 미국 특허청(USPTO) 제공 실제로 삼성전자가 발표한 폴더블폰은 접힌 상태에서 아몰레드 커버 디스플레이를 통해 콘텐츠를 볼 수 있습니다. 4.6인치 840×1960의 해상도를 지원합니다. 펼치면 7.3인치 ... ...
우리은하에서 가장 오래된 별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18.11.07
별의 질량이 태양의 10분의 1 수준밖에 되지 않는 것 역시 2MASS J18082002–5104378 B가 가진
독특
한 특징이다. 쉬라우프먼 교수는 “그동안 발견된 30여 개의 고대 별들은 대부분 태양과 비슷한 질량을 갖고 있었다”며 “반면 2MASS J18082002–5104378 B는 중심부에서 수소 핵융합 반응을 일으킬 수 있는 ... ...
지구 닮은 행성 존재 알리고 은퇴하는 케플러 우주망원경
2018.11.03
우주망원경(JWST)입니다. JWST는 150만km 상공에서 별을 관측할 예정입니다. JWST는
독특
하게도 육각형의 오목거울이 모여 허블의 집광 영역의 7배인 6.5m 너비의 거울을 만들어냅니다. 크기가 워낙 커서 접힌 채로 발사됐다가 우주에서 펼쳐지도록 설계됐습니다. 개발 완료 시기가 지연되며 2021년 ... ...
[내 마음 왜 이럴까?]종말을 외치는 사람들
2018.11.03
상체를 일으켜서 주변을 경계하고, 위험이 느껴지면 소리를 내서 주변에 경고하는
독특
한 행동을 보인다. - 플리커 제공 그런데 재미있게도 프레리도그는 종종 소리를 내서 위험을 주변에 알리는 특징이 있습니다. 정교한 의사소통 체계를 이용해서, 울음소리로 여러 가지 메시지를 전달합니다. ... ...
커피얼룩은 왜 고리모양일까?
동아사이언스
l
2018.11.02
원병묵 교수팀은 진한 커피와 연한 커피가 증발할 때 각각의 액체 내부에서 보이는
독특
한 물질 이동 현상의 차이를 밝히고, 그 수학적 규칙성을 처음 밝혀 물리학 분야 국제학술지 ‘응용물리레터스’ 10월 30일자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커피얼룩 효과’에 주목했다. 커피를 마시다 한 방울을 ... ...
[이강운의 곤충記]은밀한 언어 '케미'
2018.10.31
발광이나 주파수로 짝을 찾는 메뚜기목의 노랫소리 등이 대표적이다. 메뚜기의
독특
한 울림인 소리나 반딧불이의 빛을 이용한 의사소통이 인간의 대화만큼 세련되고 발전된 형태는 아니지만 생리 및 행동을 조절하여 짝을 찾는 데는 전혀 문제가 없다. 왕귀뚜마리 줄(file)과 마찰편(scraper) ... ...
이전
65
66
67
68
69
70
71
72
7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