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밸브
판막
틀
팬더
팬더곰
판다곰
테
d라이브러리
"
판
"(으)로 총 1,614건 검색되었습니다.
[지식의 길을 묻다] IT의 미래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있다”고 설명했다. 5년이라는 근거에 대해서는 “과거 카메라용 필름이나 음반시장의 LP
판
과 CD가 지금처럼 어려워질 것으로 생각한 사람은 아무도 없었다”면서 “기술의 발전이 시대를 빠르게 변화시키고 있다는 점을 이해하면 별로 놀라운 얘기가 아니다”라고 덧붙였다.▶연세대 ... ...
바우어 새의 구애 방법은 ‘눈속임’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사로잡는다. 호주 딘킨대의 존 엔들러 교수팀은 이 결과를 ‘최신생물학’ 9월 9일
판
에 발표했다.수컷 바우어 새는 암컷에게 구애하기 위해 하루 대부분 집을 꾸며 ‘정원사 새’라고도 불린다. 마른 풀을 둥글게 엮어 집을 지은 후 열매, 나뭇잎, 꽃 등으로 집을 화려하게 꾸민다.집 근처로 암컷이 ... ...
두근두근 문구 발명 대작전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0호
했어.종이를 더 길게 잘라야 할 때는 윗
판
과 아랫
판
을 펼쳐서 이용하면 돼. 윗
판
과 아랫
판
의 연결부는 자석으로 만들어 결합과 연결을 쉽게 했거든. 미래의 문구는?친구들의 생각이 참 기발한데? 이렇게 문구가 계속 발전한다면 미래에는 과연 어떤 문구들이 나올까? 미래에 나올 문구를 미리 ... ...
[통합과학] 메탄하이드레이트 추출과 CCS기술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다음과 같다. 대륙
판
과 해양
판
의 수렴 경계인 해구의 대륙
판
쪽은 화산 활동과
판
의 충돌로 인해 메탄 생성에 유리한 고온 고압의 환경을 제공한다. 이렇게 만들어진 메탄이 지층의 틈을 따라 해저면 근처에서 두꺼운 영구 동토층과 만나면 저온 고압의 환경에서 메탄하이드레이트를 생성한다. 2) ... ...
지구가 뿔났다? 아이슬란드 화산 대폭발!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0호
지진이나 화산 활동이 일어난다. ▲ 노란색 화살표가 올라오는 부분이 해령 이다. 두
판
이 벌어지는 틈 사이로 마그마가 뿜어져 나왔다가 식으면서 쌓여 해령이 생긴다. 이 해령에 있는 열점으로 생긴 화산섬이 아이슬란드다. ▲ 유럽의 아이슬란드는 대서양중앙 해령(연보라색) 위에 놓여 있다 ... ...
내 옆에 있는 두 얼굴의 소시오패스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법의 테두리 안에서 교묘하게 줄타기를 하면서 성공해 도리어 인정받는 아이러니가
판
을 치고 있다. 양심은 일상적이고 자연스럽기 때문에 평소에는 의식이 잘 되지 않는다. 하지만 개인적으로, 사회적으로 양심이 차지하는 범위는 매우 크다. 온갖 치사하고 거짓된 방법으로 집단의 이익을 ... ...
자물쇠 속 수학
수학동아
l
2010년 09호
줄어들기도 한다. 그림은 밀대
판
을 오른쪽으로 미는 경우만 생각한 것이다. 밀대
판
을 왼쪽으로 미는 경우까지 생각하면 경우의 수가 64가지나 나온다.하지만 이 비밀자물쇠는 아무리 복잡해도 자물쇠마다 여는 순서가 비슷하다는 특성이 있었다. 그래서 자물쇠를 한 번 이상 열어 본 사람은 여는 ... ...
조선왕조 500년의 상징 광화문의 귀환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자료와 한국문화재연구소에서 도쿄대를 방문해 스캐닝을 해 온 사진자료를 합쳐 현
판
글씨를 복원해 냈다”고 설명했다.공사 대부분이 끝났지만 아직 숙제는 남아 있다. 경복궁과 연결되는 망루인 동십자각 주변의 궁장(성벽 등)을 설치하고 복원된 경복궁 지역의 하수도 시설을 정비하는 공사는 ... ...
호주 밤하늘엔 숨어 있던 은하수가 뜬다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그때 제시카와 제이콥이 다가왔다. 우리가 묵은 집에 사는 어린 남매다. 하루종일 들
판
을 뒹굴며 노는 남매는 일곱 별잡이와 자주 눈빛을 주고받으며 친해졌다. 두 아이의 해맑은 얼굴은 자연을 닮았다. 그리고 자연을 담고 있었다. 남매는 그림 두 장을 내밀었다. 별과 망원경, 두 아이와 함께 있는 ... ...
그래핀, 신발 악취 없앤다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나노과학분야 학술지 ‘ACS 나노’는 7월 중국과학원 상해응용물리 연구소의 천하이
판
교수의 이 같은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그래핀은 평면에서 탄소원자가 육각형 형태로 무수히 연결된 벌집구조의 물질이다. 반도체에 사용되는 실리콘보다 전자가 100배 이상 빨리 흐르고 구리보다 100배 많은 ... ...
이전
65
66
67
68
69
70
71
72
7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