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카메라"(으)로 총 2,240건 검색되었습니다.
- [Tech & Fun] 당신의 여름은, 어떤 냄새인가요?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종류(16가지), 물방울의 낙하 속도 등을 변화시키며 물방울이 토양에 닿는 순간을 고속 카메라로 촬영했다. 그 결과 빗방울과 유사한 크기의 작은 물방울이 에어로졸을 만들어 내는 모습을 관찰할 수 있었다(135쪽 사진).연구팀이 촬영한 영상을 보면 물방울이 토양에 닿을 때 물방울 안에 커다란 공기 ... ...
- Part 2 인체 플랫폼화 기술이 넘어야 할 장벽 5과학동아 l2016년 06호
- 작은 장치로 바꾸는 연구도 활발하다. 인공 와우나 인공 망막은 마이크로폰이나 카메라로 수집한 정보를 생체가 이해할 수 있는 적절한 전기 신호로 변조해 청신경과 시신경을 자극한다. 이 과정을 담당할 음성처리장치를 사용자가 항상 휴대해야 한다. 장애, 그리고 기계 이식 여부가 겉으로 ... ...
- [재미] 퐁! 퐁! 퐁! 물수제비 잘 뜨려면?수학동아 l2016년 06호
- 생각에서였지요.그리고 물수제비를 떴을 때 고무공이 통통 튀어 날아가는 모습을 초고속카메라로 촬영했어요. 고무공이 순식간에 튀어가는 모습을 아주 느린 화면으로 보면서 공이 수면에 닿는 깊이와 튕기는 각도 등을 알아봤어요.그 결과 연구팀은 물 위를 튕기면서 날아갈 때 고무공이 납작한 ... ...
- [SW 기업 탐방] 라온스퀘어수학동아 l2016년 06호
- 때 뒷모습을 보고 싶어 한다는 점을 생각해 가게에 손님의 옆모습과 뒷모습을 찍어주는 카메라를 설치하는 식이다. 디자인과 소프트웨어의 결합!라온스퀘어의 작품이 있는 매장과 전시관에 당장이라도 가보고 싶어진 기자는 라온스퀘어에 대해 좀 더 자세히 알아보기로 했다. 라온스퀘어에서는 ... ...
- [News & Issue] 웨어러블 미생물 전지 시대!과학동아 l2016년 06호
- 때 웨어러블 소형 미생물연료전지를 이용하려고 연구 중”이라고 말했다. 동물 몸에 카메라나 마이크로폰 등 작은 기계장치들을 실어 정찰을 보내야 하는데, 웨어러블 미생물연료전지를 함께 실어 동물이 가진 생체 유기물로부터 전기를 만들어 장치에 공급하겠다는 구상이다.이에로풀로스 ... ...
- Part 1 원격으로 조종하는 마스터키, 스파이앱과학동아 l2016년 06호
- 가능하다.“여기 스파이앱의 권한을 보세요. SMS, 마이크, 위치, 저장공간, 전화, 주소록, 카메라 등 7가지 기능에 다 접근할 수 있다는 거예요.” 김선태 학생은 자신의 스마트폰을 보여주며 말했다. 이 7개의 접근 권한을 이용하면 생각보다 훨씬 많은 정보를 해커에게 전달할 수 있다. 만약 누군가 ... ...
- Part 2. 수학으로 정체 밝히는 ‘플래닛 나인’수학동아 l2016년 06호
- 먼저 계산한 것이다. 콘스탄틴 바티진과 마이클 브라운 박사팀은 세계에서 가장 큰 카메라가 달린 LSST 망원경을 이용하면 5년 안에 플래닛 나인을 관측할 수 있을 거라고 내다보고 있다.플래닛 나인 어떻게 찾았나?➊ 카이퍼 벨트에 떠다니는 여섯 개의 왜행성태양으로부터 약 45억~75억km 떨어진 ... ...
- Part 1 인체 플랫폼화 기술, 어디까지 왔나과학동아 l2016년 06호
- 얇은 필름으로, 망막에 이식하면 색소가 빛을 전기신호로 변환해 시신경을 자극한다. 카메라나 소형컴퓨터 등 외부기기가 불필요하다는 게 가장 큰 장점이다. 현재 쥐 실험에만 성공한 상태다. 사람을 대상으로 하는 임상실험은 미정이다. 슈퍼눈미국 실리콘밸리의 바이오해킹그룹 ‘대중을 위한 ... ...
- [Career] 계산과학·공학을 쉽고 빠르게, 에디슨과학동아 l2016년 06호
- 큰 도움이 될 것 같다”고 말했다. 고등학교에서 대학원 수준의 연구까지 가능디지털 카메라 사용에 익숙해지면 자동 대신 수동 모드로 원하는 사진을 찍을 수 있다. 에디슨도 마찬가지다. 실제 상황에 맞게 매개변수를 조절해 높은 수준의 연구를 할 수 있다. 이번 경진대회에서 고등부 대상을 받은 ... ...
- [가상인터뷰] 물고기는 지느러미로 바닥을 본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5호
- 전혀 사용하지 않는 것처럼 보였거든요.하지만 연구팀이 픽터스 캣피시를 초고속 카메라로 촬영해 관찰한 결과, 픽터스 캣피시는 헤엄을 칠 때 가슴지느러미로 강물 바닥을 부드럽게 쓸고 다닌다는 사실을 발견했어요. 가슴지느러미가 느끼는 촉각을 이용해 강물 바닥의 모양을 파악하는 거예요 ... ...
이전65666768697071727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