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책임"(으)로 총 2,079건 검색되었습니다.
- [Culture] 과학동아가 선정하는 이달의 책과학동아 l2017년 10호
- 의료기술이 아니라 사회적 해결책이 필요한 이유다. 결국 개개인의 삶에 대한 공동체의 책임을 어디까지로 규정할지에 대한 관점의 문제다. 의대와 보건대학원을 졸업하고 현재 고려대 보건과학대학 교수로 일하고 있는 저자는 사회역학자로서 차별 경험과 고용 불안 같은 사회적 요인이 ... ...
- Intro. 작을수록 더 위험하다?! 미세 플라스틱의 습격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0호
- 안녕~. 나는 바닷물고기 니모야. 요즘 나에게 이상한 일이 일어나고 있어. 분명 먹이를 먹고 배가 꽉 찼는데도 계속 배가 고픈 거야. 병원에 가 보니 의사 선생님이 내 뱃속에 미세 플라스틱이 가득하대.어떻게 된 거지?▼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작을수록 더 위험하다?! 미세 플라스틱의 습 ... ...
- Part 1. 미세 플라스틱 바다를 뒤덮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0호
- 바다에 버려지는 쓰레기 중 30% 차지!바다는 지금 쓰레기로 몸살을 앓고 있어요. 페트병과 비닐봉지, 스티로폼 부표, 담배꽁초 등 사람들의 생활에서 만들어진 쓰레기들이 바다에 그대로 떠내려오고 있지요. 이렇게 바다로 버려지는 쓰레기의 절반 이상은 자연에서 잘 썩지 않는 플라스틱 쓰레기랍 ... ...
- Part 3. 미세 플라스틱 사람에게 돌아오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0호
- 플랑크톤에서 사람까지, 생물농축확대!미세 플라스틱은 바다에 가라앉을 수 있어서 얕은 바다에 사는 물고기들은 물론 깊은 바다에 사는 갯지렁이, 무척추동물인 플랑크톤까지 해양 생태계 전체에 영향을 미쳐요. 그리고 결국 사람에게 다시 되돌아오게 되지요. 미세 플라스틱이 먹이사슬에 따라 ... ...
- Part 5. 플라스틱 발자국을 줄여라!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0호
- ◀바이오 플라스틱은 주로 옥수수나 사탕수수 같은 식물로 만들어진다.미세 플라스틱 쓰레기를 줄이기 위해서는 플라스틱 제품 사용량을 줄여야 해요. 플라스틱 제품은 아무리 재활용을 한다고 하더라도 한 번 쓰고 나면 쓰레기가 돼 버리거든요. 게다가 페트병의 경우 자연에서 분해되는 데만 450 ... ...
- [과학뉴스] 초미세먼지 원인 이산화질소, 이제는 정확히 측정한다과학동아 l2017년 10호
- 중 이산화질소 농도가 연평균 20.4%가량 초과 측정되고 있다는 사실도 새로 밝혔다. 정 책임연구원은 “정확한 이산화질소 농도 측정은 물론 초미세먼지 및 오존의 생성 원인을 규명하는 데에도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대기환경’ 7월 5일자 온라인판에 발표됐다. doi:1 ... ...
- Intro. 추남의 계절 ‘오빠 피부’를 탐하다과학동아 l2017년 10호
- 들면 자기 얼굴에 책임을 져야 한다고 했던 게 에이브러햄 링컨이던가.거친 피부, 깊은 주름, 거무스름한 턱수염…. 그래, 얼굴에 이 정도 연륜은 새겨져야 인생의 ‘쓴맛’도 아는 원숙한 남자처럼 보이지. 그런데 요즘 이상하게 씁쓸한 기분이 든다. 내게 있어 화장품이란 있으면 바르고 없으면 ... ...
- Part 4. 떠오르는 대세 ‘코스메슈티컬’과학동아 l2017년 10호
- 비교한 결과 주름 형성을 촉진하는 효소(MMP1)의 분비를 억제하는 효과가 가장 좋았다. 노 책임연구원은 “피뿌리풀 추출물을 피부 노화 개선 화장품 소재로 개발하기 위해 코오롱생명과학에 기술을 이전하고 피부 임상시험을 진행하고 있다”고 말했다. 정세영 교수는 “앞으로는 바르는 ... ...
- [Career] 태평양해양과학기지에서 미래 해양과학자를 외치다과학동아 l2017년 10호
- 세미나와 멘토링도 이어졌다. 해양 생물의 DNA를 분석해 생물 다양성을 연구하는 김충곤 책임연구원은 “예전에는 생물 종 하나에 대한 정보를 찾기 위해 아주 많은 시간이 필요했지만 DNA 분석을 이용하면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나한나 KIOST 해양순환·기후연구센터 연구원은 해양 ... ...
- [수학공감] 수학 교육을 바꾸다수학동아 l2017년 10호
- 수업으로 재탄생시켜야 진정한 전문성을 갖추게 됩니다.” 수학교육 현장지원단 연구책임자였던 이경화 서울대학교 수학교육과 교수는 수학 교육이 앞으로도 꾸준히 학생이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바뀌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학생들이 관객처럼 수학을 지켜만 보는 것이 아니라, 문제를 ... ...
이전65666768697071727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