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지도"(으)로 총 3,081건 검색되었습니다.
- [인터뷰] “왜?”라고 질문하라과학동아 l2018년 02호
- &Education)나 과학 동아리 활동이 특별히 유리하거나 불리하게 작용하지는 않는다. 학교나 지도교사에 따라 활동의 내용과 수준이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 김 입학학생처장은 “어떤 활동을 했는지 보다는 어떤 분야에 관심을 가졌고, 이를 위해 얼마나 열정적으로 임했는지를 주요하게 본다”고 ... ...
- [INTERVIEW] 끈기와 근성 있다면 도전하세요! 화이트해커 박세준수학동아 l2018년 02호
- 공부하고 성장하고 싶었습니다. 마침 대학교 2학년 여름방학에 인턴을 하던 연구실의 지도 교수님께서 ‘직접 팀을 꾸려서 이끌어보라’고 이야기해 주셔 만들게 됐습니다. 다행히 실력 좋고 똑똑한 친구를 많이 만나서 멋진 팀으로 금방 성장하게 됐지요. Q. 가장 기억에 남는 해킹대회 문제는 ... ...
- [인터뷰] 한국과학영재학교 입학팀장 김동훈과학동아 l2018년 01호
- 거친다. 1단계 평가에 활용하는 서류는 학교생활기록부, 자기소개서, 수학과 과학 지도 교원 추천서, 담임 교원 추천서다. 2단계에서는 수학과 과학 관련 문제를 제시하고 풀이 과정을 평가한다. 3단계는 1박2일에 걸쳐 개인별 면접과 단체 면접 등을 통해 학생의 자질과 품성을 평가한다. 4월에 ... ...
- Part 5. 호모 사이보그, 뇌 세포 만으로 OK?!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신경 세포는 302개뿐이지요. 세포 수가 적은 탓에 이미 1986년, 신경 세포간의 연결 상태를 지도처럼 나타낸 ‘커넥톰’이 모두 밝혀졌답니다. 2011년, 미국의 AI 연구자 ‘티모시 버스비스’는 ‘오픈웜 프로젝트’를 시작했어요. 이 프로젝트는 앞서 밝혀진 예쁜꼬마선충의 커넥톰을 과학자들끼리 ... ...
- [필즈상 미리보기] 필즈상 0순위, 어린 나이가 변수수학동아 l2018년 01호
- 되면 로몽 교수는 2002년의 로랑 라포르그까지 합쳐 3명의 필즈상 수상자를 배출한 지도자가 된다며 호들갑을 떨었었습니다. 물론 그 예측은 빗나갔지만 왜 그런 이야기를 했는지 모렐 교수의 업적을 보면 이해가 갑니다. 모렐 교수의 대표 업적 역시 2005년 쓴 박사 학위 논문에서 나왔습니다. ... ...
- [스미스의 탐구생활] 코딩 로봇으로 미션을 수행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4호
- 완료! 두 번째 미션은 코딩펫의 ‘프리코딩 모드’를 활용하는 것이었어요. 이 미션의 지도는 출발지부터 목적지까지 꼬불꼬불한 선으로 이어져 있어요. 미로와 같은 선이 중간중간 여러 갈래로 나눠져 있지요. 올바른 길로 가기 위해 선 길목마다 코딩펫이 인식할 수 있는 표시를 해 줘야 해요. ... ...
- [현장 취재] 올해도 탐사 미션 성공!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4호
- 특별상으로 받았답니다. 국립수목원에서 주최하는 ‘우리동네 귀화식물지도 프로젝트’의 대상은 닥터구리팀이 받았어요. 최우수상은 라이노비틀즈팀, 우수상은 준형제팀, 특별상은 블루드래곤, 아침우주네, 꿈꾸는지구 팀에게 돌아갔답니다. 지구사랑탐사대를 이끌고 있는 이화여자대학교 ... ...
- 과학마녀 일리의 한자풀이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4호
- ‘적도(赤道)’는 ‘붉은 길’이라는 뜻이에요. 왜 이런 뜻을 갖게 됐을까요? 과거 지도에 적도를 표시할 때 빨간 선을 그은 데서 유래했다고 전해져요. ‘붉을 적(赤)’은 ‘불 화(火)’와 ‘흙 토(土)’로 이루어져요. 큰 불(火)이 나면 땅(土)이 붉게 보인다는 뜻에서 이 한자가 만들어졌지요 ... ...
- Part 1. 빛 공해에 시달리는 전세계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3호
- 미국, 이스라엘 국제 공동 연구팀은 빛 공해가 얼마나 심각한지를 나타낸 전세계 빛 공해 지도를 발표했어요. 연구팀은 미국의 관측 위성인 ‘수오미 NPP’가 측정한 지구의 지역별 밤하늘 밝기를 분석했어요(왼쪽 페이지 사진). 이때 밤하늘에서 은하수가 보이지 않는 빛의 밝기를 빛 공해로 ... ...
- Part 5. 빛 공해를 많은 사람들에게 알려라!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3호
- 페가수스자리를 확인하는 미션이 진행 중이랍니다. 관측 자료는 전세계의 빛 공해 지도를 만들고, 빛 공해와 관련된 연구를 하는 데 사용돼요. 관측위성만으로는 실제 하늘의 밝기를 연구하는 데 한계가 있는데, 시민들의 데이터를 사용하면 빛 공해 정도를 더 정확히 파악할 수 있답니다. 어두운 ... ...
이전65666768697071727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