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주"(으)로 총 3,608건 검색되었습니다.
- 한국 인공태양 완공 10년, 1억 도로 타올랐다과학동아 l2019년 03호
- 중국이 기술적으로 가장 앞선 토카막 핵융합장치를 운용하고 있지만, 이들 핵융합장치의 주 연료는 중수소다. 중수소만으로 플라스마를 만들어 실험하는 이유는 중수소 실험 데이터로 중수소-삼중수소 핵융합 반응 데이터를 예측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 중수소-삼중수소 핵융합 반응을 일으키면 ... ...
- [나의 미국 유학일기] 스탠퍼드의 '인생 수업'과학동아 l2019년 03호
- 읽고 글을 써서 발표하면, 교수님께서 그 주에 해당 책을 쓴 작가들을 직접 만나게 해주셨다. 처음에는 숙제가 너무 많아서 힘들었지만, 수업에서 다뤘던 모든 책들이 재밌었고, 직접 만난 작가들도 배울 점이 많아 지금까지도 기억이 생생하다. 이런 게 진정한 ‘인생 수업’이 아닐까 생각한다 ... ...
- [오일러 프로젝트]앞뒤가 똑같은 대칭수~못 만드는 ‘라이크렐 수’를 찾아라!수학동아 l2019년 03호
- 문제를 프로그래밍으로 해결하는 게 목적이다. 현재 600개 이상의 문제가 올라와 있으며, 2주에 1번씩 새로운 문제가 추가된다. 오일러 프로젝트 문제를 한국어로 번역한 사이트도 있으니 기사를 읽고 오일러 프로젝트에 참여해 보자 ... ...
- [3·1운동 100주년] 대한의 모든 존재에게 한글 이름을 허하라과학동아 l2019년 03호
- 고문을 맡아 수집품을 제공했으며, 1933년과 1934년에는 동아일보에서 주최한 자연과학 강연회에 연사로 참여해 곤충의 생활을 강의했다.그는 또 1930년 12월 연재한 ‘백두산 곤충기’를 시작으로 동아일보에 다양한 글을 기고했는데, 곤충의 행동을 토대로 인간 사회를 투영했다. 곤충의 근면성과 ... ...
- 20대 '신선한' 난자 얼리시겠습니까?과학동아 l2019년 03호
- 따라 다르다.과배란주사를 맞는 과정에서 부작용이 생길 수 있다. 주 과장은 “과배란주사를 과하게 사용하면 난소가 붓고 배에 복수가 차는 난소과자극증후군에 노출될 수 있다”며 “무리하지 않게 배란을 유도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그는 또 “비용을 많이 들이면 보장 범위가 더 넓고 ... ...
- 블랙홀의 그림자를 추적하다과학동아 l2019년 03호
- 참여하고 있다. 또 한국천문연구원의 한국우주전파관측망은 EHT 관측을 보완하는 저주파수 VLBI 관측으로 핵심적인 기여를 하고 있다. 한국천문연구원은 서울대 천문대와 함께 2020년부터 자체 전파망원경으로 EHT 프로젝트에 참여할 계획도 갖고 있다. 블랙홀의 비밀을 벗기는 세기의 연구에 한국 ... ...
- Part 1. WATER, TEA, SODA, MILK과학동아 l2019년 02호
- ?) 작업을 하는 이유는 원유가 빨리 상하기 때문이다. 원유의 유통기한은 길어야 2주다. 하지만 지방을 빼 탈지분유로 만들면 산화가 거의 일어나지 않아 1년 이상 장기간 보관할 수 있다. 원유 생산량이 늘 일정하지 않기 때문에 미리 저장해 언제든 쓸 수 있게 만드는 것이다. 농림축산식품부는 ... ...
- [퍼즐마스터] 뉴욕의 퍼즐 고수 ‘앤서니 유노’수학동아 l2019년 02호
- 퍼즐을 하는 데 ‘무엇에 도움이 되니까 하면 좋다’는 이유는 필요하지 않아요. 퍼즐이 주는 즐거움만으로도 충분하거든요! 헝가리의 배고픈 퍼즐 여행자 미국의 전설적인 퍼즐 고수 앤서니 유노와의 대결에서 당당히 승리한 천하. 개미들이 가득한 퍼즐 뒷면에는 Mr.퍼즐의 편지가 적혀 있었다 ... ...
- Part 3. FRUIT, BEER, MAKGEOLLI과학동아 l2019년 02호
- 있다. 그런 사람들은 사실 와인이나 위스키, 청주도 마시지 않아야 한다. 모든 발효주에는 숙취를 가져오는 원인 물질인 아세트알데이히드가 들어있기 때문이다. 숙취가 심한 사람은 두 가지 경우다. 너무 많이 마셨거나, 아세트알데히드를 분해하는 능력이 부족하거나(그런 사람들에겐 ‘IdH’ ... ...
- [SPACE] 토성의 ‘절대 고리’가 사라진다과학동아 l2019년 02호
-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영원불멸하지 않다. 깜빡이는 크리스마스 트리 전구처럼 우주 여기저기에서 나타났다 사라지는 고리를 우리가 지금 태양계에서 감상하고, 탐사하고, 분석할 수 있다는 건 행운이 아닐까 ... ...
이전65666768697071727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