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날짜
일시
d라이브러리
"
일자
"(으)로 총 2,324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뉴스] 파킨슨병 원인, 30년 만에 뒤집혔다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경우 파킨슨병이 발병한다는 내용을 밝혀 신경과학분야 국제학술지 ‘뉴런’ 8월 30
일자
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쥐의 기저핵 신경을 빛으로 자극해 파킨슨병 환자와 비슷한 증상이 나타나도록 만들었다. 그러자 기저핵 주변 신경들은 기존 학설대로 억제되는 것처럼 보였다. 하지만 곧 억제된 신경이 ... ...
[과학뉴스] 아기 부르는 엄마 음색은 인류 보편적?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어린 자녀와 이야기할 때 부모는 본능적으로 짧고 반복적인 구절을 사용하고 목소리의 높이를 과장되게 높인다. 최근 연구 결과, 이 때 음색도 특정 방식으로 ... 연구할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커런트 바이올로지’ 10월 12
일자
에 발표됐다. doi:10.1016/j.cub.2017.08.07 ... ...
Part 1. 北 핵실험, 백두산 분화 가능성은?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상태의 마그마가 존재한다는 사실을 밝혀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어드밴시스’ 4월 15
일자
에 발표했다. 오펜하이머 교수는 “(북한의 6차 핵실험 직후) 전 세계 언론으로부터 북한의 핵실험이 백두산 분화에 영향을 미칠지 묻는 e메일을 받고 있다”고 말했다. 다만 오펜하이머 교수는 ... ...
[Origin] 이기적 유전자는 왜 중요한가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평했다. 장대익 서울대 교수는 에드워드 윌슨과의 인터뷰(중앙일보 2013년 11월 30
일자
)에서 “‘이기적 유전자’는 사실 해밀턴의 ‘포괄 적합도 이론’을 세련되게 대중화한 것에 불과하다”고 했다. 그러나 이런 인식은 틀렸다(지금 필자는 윌슨까지 싸잡아서 틀렸다고 하는 중이다!). ‘이기적 ... ...
[과학뉴스] 상처엔 꿰매지 말고 ‘엘라스틴’ 하세요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수술 중 절개하거나 상처가 난 부위를 꿰매지 않고 봉합하는 방법이 있을까. 최근 미국 과학자들이 상처를 간단하게 붙이는 접착제를 개발했다. 기존에는 절개 ... 임상시험을 앞두고 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중개의학’ 10월 4
일자
에 실렸다. doi:10.1126/scitranslmed.aai746 ... ...
[과학뉴스] 빨리 배부르고 싶다면 OOOO 먹어라!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특정 아미노산이 포만감을 좌우한다는 연구 결과를 국제학술지 ‘분자 대사학’ 8월 30
일자
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뇌척수액에서 당을 인식해 뇌로 신호를 전달하는 띠뇌실막세포(tanycyte)라는 뇌세포에집중했다. 연구 결과 이 세포가 당뿐만 아니라 아미노산도 인식할 수 있으며, 이때 뇌로 보내는 ... ...
[과학뉴스] 아프리카인 피부색 결정 유전자 확인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흔히 아프리카인의 피부색은 검다고 표현하지만, 실제로는 검은색의 정도가 다양하며 이런 피부색 차이를 유발하는 유전자 변이가 새롭게 확인됐다. 사라 티시코프 미국 ... 변이가 존재했던 것으로 추정된다”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10월 12
일자
에 실렸다 ... ...
[과학뉴스] 격자로 알루미늄 접어 소음 차단벽 제작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도로에서 발생하는 소음은 다양하다. 무거운 짐을 싣고 달리는 트럭은 낮은 주파수의 소음을 내고, 같은 자동차라도 평소보다 빨리 달리면 더 높은 주파수의 소음 ... 퍼져나가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연구결과는 ‘응용물리학저널’ 10월 17
일자
에 실렸다. doi:10.1063/1.499102 ... ...
[과학뉴스] 왜행성 ‘하우메아’서 고리 발견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하우메아를 관찰한 결과 고리가 있다는 사실을 국제학술지 ‘네이처’ 10월 11
일자
에 발표했다. 하우메아는 해왕성 너머에서 2003년 처음 발견된 천체로, 국제천문연맹(IAU)은 2008년 이를 왜행성으로 분류했다. 왜행성은 태양 주위를 공전하며 천체 모양을 구형 또는 타원형으로 유지하는 중력을 ... ...
[과학뉴스] 지진 규모 예측할 단서 찾았다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때 나타나는 특수한 패턴을 발견했다는 연구 결과를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9월 22
일자
에 게재했다. 현재까지 지진 예측은 불가능하다는 것이 대다수 지진학자들의 중론이었다. 하지만 최근 지진을 발생시키는 단층 파열이 특정한 패턴을 따라서 일어난다는 연구 결과들이 보고되고 있다. 지진이 ... ...
이전
65
66
67
68
69
70
71
72
7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