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인간"(으)로 총 7,604건 검색되었습니다.
- [연중기획] 인공지능 교과서 훑어보기 1탄수학동아 l2021년 07호
- 둘 중 누가 사람인지 판단하는데, 이때 사람과 컴퓨터를 구분할 수 없다면 그 컴퓨터는 인간 수준의 사고능력을 지닌 인공지능이라고 판단합니다. 2014년 앨런 튜링의 사망 60주년을 기리기 위해 열린 행사에서 2001년 러시아 연구원들이 만든 ‘유진 구스트만’이라는 챗봇이 튜링 테스트가 만들어진 ... ...
- [에디터노트] 사람은 강을 넘지 못하고과학동아 l2021년 07호
- 영향을 담았습니다. 수십억 년 땅의 기억과 수만 년 대륙의 풀 향기를 간직한 강이 인간의 영향으로 수년 만에 변하고 있음을 지적했습니다. 물론 굽이치고 흐르는 강의 본질은 변하지 않을 것입니다. 산이 강을 넘지 못하듯, 사람은 강을 넘지 못합니다. 지금 우리의 활동에도 한강은 물줄기를 바꿔 ... ...
- 미래│인간의 영향으로 달리 흐르다과학동아 l2021년 07호
- 거쳐 하천에 방류해도 좋을 정도로 깨끗해지지만, 이 과정에서도 걸러지지 못한 ‘인간의 흔적’이 한강 물에는 여전히 일부 남아 있다. 의약품 성분이 대표적이다.김현욱 서울시립대 환경공학부 교수팀은 한강 탄천과 중랑천 등 한강 지류에서 ‘포스포다이에스터레이스(PDE)-5 억제제’를 ... ...
- 더 빠르게, 더 스마트하게│인공지능 반도체과학동아 l2021년 07호
- 반도체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AI 반도체의 대표 주자는 신경망처리장치(NPU)다. NPU는 인간의 뇌를 모방해 설계돼 AI의 핵심인 딥러닝 알고리즘 연산에 특화됐다. 데이터의 흐름을 AI에 맞춘다AI 반도체는 반도체 설계 단계에서부터 AI 알고리즘에 적합한 형태로 만든다는 점에서 전통적인 ... ...
- [숫자뉴스] 멸종 위기 동물 구하려다 요정 펭귄 3000쌍이 사라졌어요!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7호
- 몸무게가 약 1.5kg인 작은 동물이에요. 에릭 뵐러 버드라이프 태즈메이니아 연구원은 “인간이 의도적으로 동물을 이동시킬 때마다 다른 동물이 피해를 보는 일이 벌어졌다”면서, “태즈메이니아주머니너구리의 수가 많이 늘어났기 때문에 다시 원래 살던 섬으로 돌려보내야 한다”고 말했어요 ... ...
- [우주순찰대원 고딱지] 7화. 이건 악몽일 거야! 불가능한 방 탈출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7호
- 서둘러 방어 자세를 취했지만, 루띠가 딱지의 어깨를 붙잡으며 말했습니다.“죽은 인간이야.”자세히 보니 우주복 안에는 말라붙은 미라가 들어있었습니다. “죽은 지 한참 된 거야.”“뭐, 뭐야, 왜 여기서 죽은 거야?”선장이 덜덜 떨며 말했습니다.“여기서 빠져나가지 못하고 죽었나 봐요. ... ...
- [IBS×수학동아] 생명의 비밀 파헤치는 수학자-김재경 교수수학동아 l2021년 07호
- 마친 직후인 2013년 7월, 미국 로드아일랜드주 뉴포트에서 ‘생체리듬: 분자부터 인간까지’란 주제로 열린 한 컨퍼런스에 참석했다. 이 행사는 다소 독특하게 진행됐다. 초청 받은 50여 명의 연구자가 리조트에 모여 정규 강연 외에 모든 식사를 함께하고 산책과 운동도 같이 하며 한마디로 잠자는 ... ...
- 현재│산을 가르고 바다와 섞이고과학동아 l2021년 07호
- 작다는 점도 이들 강 사이의 공통점이다.하지만 모든 강은 위치한 지역의 기후와 지형, 인간의 활용에 따라 각기 다른 모습과 특성을 보인다. 특히 요즘 같은 여름철의 한강은 여느 강과는 구별되는 독특한 특징이 나타난다. 본래 한강은 퇴적지 발달에 유리한 강한반도는 동아시아 몬순 기후대 ... ...
- [한페이지 뉴스] 현미경 없이 현미경 이미지를 얻을 수 있다?과학동아 l2021년 07호
- 100만분의 1m)에 그쳤다. 그에 반해 식스코프는 평균 0.6µm의 높은 해상도를 구현했다. 이는 인간 머리카락의 66분의 1 수준으로 세포의 구성 요소인 핵, 세포질, 미토콘드리아의 구조도 관찰할 수 있다. 이 교수는 “현재 의학에서는 조직 샘플을 얻어 염색한 뒤 현미경으로 관찰해 질병을 ... ...
- 세계 첫 인공수정란 합성, 배아 연구 윤리 규정 바꾸다과학동아 l2021년 07호
- 그룹 리더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기고를 통해 “이번 기준 완화로 인간 배아가 14~28일 사이에 어떻게 발달하는지 이해할 수 있게 됐다”며 “유산이나 불임, 착상 직후 발달 장애를 이해하는 데 활용될 수 있다”고 말했다.다만 배아 실험은 각국의 법률과 정책을 준수하며 관련 기관의 감독 하에 ... ...
이전65666768697071727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