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문화
정신문명
물질문명
개화
교양
문화도
근대화
d라이브러리
"
문명
"(으)로 총 1,215건 검색되었습니다.
의료용 방사선 영상 계측기
과학동아
l
2000년 05호
착한 방사선을 더욱 착하게반면 방사선이 생활 주변에서는 광범위하게 쓰이고 있는
문명
이 이기(利器)이라는 사실을 아는 사람은 드물다. 병원에서는 X선 촬영기와 암치료에 방사선을 사용하고 식품 공장에서는 음식물의 소독에 쓰이는 등 사용범위가 넓다. 농업분야에서는 새로운 품종을 개발하기 ... ...
위성용 접시 안테나로 외계 생물체 탐색
과학동아
l
2000년 05호
배열되면 넓이는 1ha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과학자들은 작은 접시형 안테나로도 외계
문명
의 흔적을 알아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수신기를 서로 유기적으로 정렬함으로써 전파청취능력을 키우고 약한 전파를 증폭시킬 수 있다는 것이 그 원리다. 흥미로운 것은 연구단의 단장인 질 ... ...
2001 우주 오디세이(2001 A Space Odyssey)
과학동아
l
2000년 04호
것이다. 그 뒤 보먼은 여러가지 경이로운 경험을 하고 온갖 우주 장관들과 다른 외계
문명
의 흔적을 접한 뒤, 갓난아기의 모습으로 탈바꿈한다. 그는 '스타 차일드'(star child)가 된 것이다.현존하는 세계최고의 SF작가 아서C.클라크 클라크는 1917년 영국 서머셋 지방 마인헤드에서 출생했으며 1936년에 ... ...
산가지 계산법
과학동아
l
2000년 03호
나뭇가지 몇개로 풀어내는 것은 무슨 조화일까.조선에서 인기 없던 주판셈셈은 문화와
문명
이 있는 곳이면 어느 곳에나 필요하다. 어린아이들이 셈을 배울 때 가장 먼저 손가락을 사용한다. 조금 자라서 글씨를 쓸 수 있게 되면 필산(筆算)을 한다. 그리고 어른이 돼 고등 수학을 배우고 복잡한 ... ...
3. 평면나라에서 공간나라로
과학동아
l
2000년 03호
할 수 있는 명제여야 한다.이는 현대 수학의 체계와 거의 같다.그리스와는 다르게 다른
문명
에서는 현실의 필요성에 의해 기하학이 발전했다.예를 들어 구장산술을 보면 천문관측이나 건축을 위해 기하학을 연구했음이 나타난다.기하학의 연구 결과는 실생활에 드러나기 마련인데 그 중 재미있는 ... ...
2백살을 맞은 사나이(The Bicenntenial Man)
과학동아
l
2000년 02호
그래서 그는 자유롭지만 인간이 아닌 스스로의 처지에 몹시 절망한다. 노예가 사라진
문명
사회에서 과연 다른 어떤 존재가 앤드류만큼 절실하게 인간이기를 갈망할 수 있을까?인간과 가장 가까우면서도 인간은 아닌 존재인 로봇이야말로 SF장르만이 제공할 수 있는 문학 소재다.이 점에서 '2백살을 ... ...
만약 마찰이 없다면?
과학동아
l
2000년 02호
손을 비비면 손바닥 사이의 마찰로 열이 생긴다.자동차가 급정거할 때 길바닥에 흉하게 만들어지는 바퀴 자국도 마찰에 의한 것이다.마찰의 ... 여가를 보낼 수 있다.하지만 지능을 가진 인간들이 마찰이 없는 세상에서는 어떠한
문명
을 만들어 낼까를 상상하는 것도 재미있는 일이 아닐까 ... ...
완벽한 대칭미 갖춘 '최후의 만찬'
과학동아
l
2000년 01호
공정’의 위력을 한껏 발휘한 탑을 세울 수 있었다. 전통의 도시인 파리를 일약
문명
의 도시, 현대성의 승리를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도시로 만든 에펠탑은 기본적으로 수직적으로 상승하는 대칭구조에 의해 축조됐다. 네 개의 아치에 의해 만들어진 구조가 균형을 이루며 상승하고 있어서 멀리서 이 ... ...
Ⅲ. 민속학/신석기시대-청동기시대인
과학동아
l
2000년 01호
그 땅에서 그 농부가 처음으로 정착한 것이 아니었음을 일러준다. 이때 농부는 그 이전의
문명
에 대해 자연스럽게 관심을 가질 것이다. 서낭당과 비슷한 몽골의 오보 고고학자나 민속학자는 간혹 낯선 시간과 공간에서 우리를 만나는 체험을 한다. 예를 들어 우리와는 멀리 떨어진 광활한 북아시아 ... ...
솥 모양 해시계 앙부일구
과학동아
l
2000년 01호
얼마나 멀어졌는지를 알 수 있다. 이처럼 간단한 원리 때문에 해시계는 세계의 어느
문명
권에서나 공통적으로 쓰였다. 그러나 우리의 해시계 앙부일구는 단순히 하루의 시간만을 알려주는데 그치지 않고 그 날의 절기까지 알 수 있게 해준다. 태양은 지축과 23.5도 기울어져 운행한다. 때문에 하지 ... ...
이전
65
66
67
68
69
70
71
72
7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