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친구
동무
벗
짝패
동지
패거리
짝
d라이브러리
"
동료
"(으)로 총 1,288건 검색되었습니다.
초파리로 파킨슨병 치료한다
과학동아
l
2008년 11호
대규모 프로젝트였다.초파리 라이브러리를 완성하기까지 꼬박 3년이 걸렸다. 정 단장은
동료
교수들과 함께 작은 벤처회사를 설립해 초파리 유전자 수의 10배에 이르는 총 10만 종류의 유전자 변형 초파리를 만들었다. 개별 유전자 하나하나가 변형된 돌연변이를 일일이 만들기 어렵기 때문에 ... ...
NASA에서 온 편지
과학동아
l
2008년 11호
얼음이 항공기 안전에 미치는 영향과 이에 따른 문제를 해결하는 방안을 연구했다.
동료
연구원들이 가끔 신 박사에게 “손에 간장이 묻었다”는 식의 인종차별적인 언행을 하기도 했지만, 신 박사는 오로지 실력으로 인정받겠다는 자세로 연구에 임했다.그가 실력을 인정받을 수 있는 기회는 곧 ... ...
양자에 ‘순간이동’ 이름 붙인 주인공 찰스 베넷
과학동아
l
2008년 10호
개념을 처음으로 발명했다.그 순간을 기억하는가?나 혼자 발명한 것이 아니다. 사실은
동료
6명의 합작품이다.내 이름이 알파벳 순서에서 맨 앞에 있기 때문에 ‘득’을 많이 본다(웃음). 어쨌든 그 순간은 굉장히 재밌었다. 1992년 가을 윌리엄 우터스 박사(6명 중 한명이다)가 캐나다 몬트리올대에서 ... ...
피아노 건반을 사랑한 물리학자 김지수
과학동아
l
2008년 10호
울리자 아이들이 아주 좋아하더군요.”지난해 말 태안반도 원유 유출 사고가 났을 때도
동료
연구원들에게 메일을 보내 20여명이 현지에 다녀오기도 했다. “화학 분야의 일을 하면서 유기용매 냄새에 익숙한 저희도 태안에 도착했을 때 밀려오는 석유 냄새에 움찔했습니다. 지금은 많이 회복됐다니 ... ...
마법 같은 제2의 양자혁명
과학동아
l
2008년 10호
1989년에는 세계 최초로 양자암호 실험장치도 만들었다.그리고 1993년 마침내 베넷 박사는
동료
5명과 함께 양자얽힘을 이용해 양자상태를 모른 채 양자를 멀리 전송하는 양자 원격전송(quantum teleportation)을 처음으로 발견했다. SF소설에나 나오는 순간이동을 연상케 하는 양자 원격전송은 완전히 ... ...
바꿔, 바꿔! 놀라운 발명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10호
그러나 연구가 실패로 돌아가 아주 약한 접착제가 만들어지고 말았다. 6년 후, 실버의
동료
였던 아서 프라이는 책갈피로 끼워 둔 종이가 잘 떨어지는 불편을 없애기 위해 고민하던 중 실버가 만든 접착제를 떠올렸다. 접착력이 약했기 때문에 종이를 쉽게 붙였다 뗄 수 있겠다고 생각한 것이다.쓸모 ... ...
원티드
과학동아
l
2008년 09호
심한 불안증 환자다. 이런 탓에 그는 상사에게 무시당하고 여자 친구와 바람난
동료
에게는 삿대질 한번 못하는 비참한 인생을 살고 있다. 그러던 어느 날 웨슬리 앞에 매력적인 폭스(안젤리나 졸리 분)가 나타나고, 웨슬리는 초특급 킬러들의 숨 막히는 총격전에 휘말린다. 그리고 죽은 줄만 알았던 ... ...
금고의 돈이 깜쪽같이 사라졌다고?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9호
길에서 개미가 줄지어 걸어가는 걸 보셨죠? 개미들은 먹이로 가는 길에 페로몬을 남겨서
동료
들이 먹이를 찾을 수 있게 하죠. 범인은 바로 개미예요!”그러자 어이쿠야 씨가 고개를 갸우뚱한다.“개미가 내 돈을? 흐음. 개미가 돈을 먹잇감으로 알고 먹었다니 이상하군요. 우리 집에 사는 개미들은 ... ...
자기조립의 꿈
과학동아
l
2008년 09호
않다. 그래서 그는 연구실 제자들을 강하게 훈련시킨다. 교수의 평가보다 무서운 것이
동료
의 평가라고 생각해 연구원들에게 서로의 연구를 성가실 만큼 참견하고 평가하도록 한다.그리고 ‘꿈’을 강조한다. 권 교수는 “똑같은 일을 남들보다 잘하는 것은 중요하지 않다”며 “내가 하고 싶고, ... ...
South Korea rejects disgraced clone license
과학동아
l
2008년 09호
멸종위기에 처한 종(種), 심지어 개인고객을 위한 애완동물의 복제 연구를 해 왔다. 그의
동료
인 수암연구소의 현상환 박사는 “정부의 불허 결정이 연구팀에 큰 실망을 주었다”고 말했다. 전화통화에서 그는 “우리가 제출한 연구계획서가 법적, 행정적 절차에 별 문제가 없어 요청이 허가될 줄 ... ...
이전
65
66
67
68
69
70
71
72
7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