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순서
등급
과정
경로
등위
서열
스텝
d라이브러리
"
단계
"(으)로 총 4,809건 검색되었습니다.
신비┃우주의 빈자리는 무엇으로 차있는가
과학동아
l
2019년 07호
다시 중성자와 양성자로 나뉜다. 그리고 과학에 좀 더 관심이 있는 사람들은 한
단계
더 들어가 표준모형의 소립자들로 설명을 이어간다. 쿼크, 렙톤 같은 소립자가 만물의 근원이고(가령 쿼크는 중성자와 양성자를 만드는 재료이고, 렙톤은 전자와 그 형제들을 포함한다), 이것들의 상호작용으로 ... ...
피플┃천문우주학도는 왜 우주 스타트업을 차렸나
과학동아
l
2019년 07호
영상 서비스까지 초소형 위성 종합 솔루션을 제공하는 게 박 대표의 목표다. 위성 개발
단계
부터 고객의 목적에 따라 위성을 설계하고 향후 원하는 영상까지 제공한다는 것이다. 인공위성을 아직 한 기도 보유 하지 못한 개발도상국에 50kg 이하 초소형 위성을 수출하겠다는 포부도 갖고 있다. 박 ... ...
신비┃우리는 우주의 유일한 것인가
과학동아
l
2019년 07호
설명할 수 없다. 맥스 테그마크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물리학과 교수팀은 이를 4
단계
로 분류했다. 1
단계
다중우주는 우리의 관측 한계를 벗어난 지역 너머에 존재하는 또 다른 우주다. 오늘날 인간이 관측할 수 있는 우주의 범위는 약 465억 광년으로 한정돼 있다. 하지만 관측 가능한 우주 범위 ... ...
질서┃우주의 미래···우리는 어디로
과학동아
l
2019년 07호
진동하다가 원반면에 있는 가스들에 이끌려 은하를 공전하는 궤도가 바뀔 수도 있다.한
단계
만 더 넓혀보면 우리은하의 존재도 영원을 장담할 수 없다. 우리은하에 이웃한 안드로메다 은하는 초속 120km로 우리은하를 향해 접근하고 있다. 이 속도면 약 45억 년 뒤 우리은하와 충돌할 것이다. 두 은하가 ... ...
걱정이던 자율주행차 안전 '힐베르트 문제'로 해결!
수학동아
l
2019년 07호
실용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고 밝혔습니다.최첨단 자율주행차와 로봇 제어 기술을 한
단계
발전시키는 데 119년 전 수학자 힐베르트가 제안한 문제가 돌파구가 된다니 정말 놀랍지 않나요? 힐베르트는 23개의 문제를 제시하면서 이 문제들이 인류 문명을 발전시킬 거라고 했는데 그 말이 마치 ... ...
RNA가 지구 최초 생명체 만들었을까?
과학동아
l
2019년 06호
맨체스터대 화학과 연구원이 피리미딘계 뉴클레오티드(우리딘과 시티딘)의 합성 과정을
단계
별로 밝혀내며 전체 뉴클레오티드 중 절반을 완성시켰다. doi:10.1038/nature08013 하지만 퓨린계 뉴클레오티드(아데노신과 구아노신)의 합성은 아직까지 알아내지 못했다. 생명체는 최소 두 쌍의 서로 다른 ... ...
명화가 훼손되면 어쩌죠?
수학동아
l
2019년 06호
결과를 비교하면 주저함에서 나타나는 차이가 생깁니다. 예컨대 특정 영역에서 전후
단계
의 계산값 차이를 비교했을 때 그 영역에 머뭇거린 흔적이 있다면 진품과 위작의 계산값에 차이가 생기죠. 도브시 교수팀은 이런 식으로 6개의 그림 중에서 고흐의 작품 5개와 위작 1개를 정확히 구분할 수 ... ...
수학으로 테러 조직을 막아라!
수학동아
l
2019년 06호
조직을 파괴할 수 있을지 힌트를 제공해요. ‘테러를 막는 수학’은 단순히 이론적인
단계
에 그치지 않고 실제 미국 수사기관이 조직을 검거하는 데 쓰이고 있어요. 그중 조나단 팔리 미국 모건주립대학교 수학과 교수는 테러를 막는 수학을 연구하는 대표적인 수학자입니다. 미국 CIA, 자메이카 ... ...
상어가족, 물고기만 먹는 게 아냐!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06호
탄소와 질소의 동위 원소 비율을 조사하면 이 생물이 먹은 먹이의 종류와 생물의 영양
단계
를 알 수 있답니다.아기 상어는 태어나기 전에 형제를 먹는다?2018년 12월, 타우니보모상어 태아(fetus)가 어미의 자궁 2개를 오가며 헤엄치는 모습을 일본 오키나와 추라시마 연구센터가 초음파로 촬영했어요. ... ...
[Go!Go!학자]곳곳에 숨겨진 유적을 찾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06호
주먹도끼’였어요. 아슐리안형 주먹도끼는 돌의 양쪽 면에 날이 있는 형태로, 그 전
단계
인 찍개보다 정교한 석기예요. 당시까지 주먹도끼는 유럽과 아프리카에서만 발견되어서, 고고학자들은 아시아는 석기를 만드는 기술이 뒤떨어졌다고 생각했어요. 이 학설을 만든 학자의 이름을 따서 ... ...
이전
65
66
67
68
69
70
71
72
7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