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다른사람"(으)로 총 12,273건 검색되었습니다.
- [이달의 책] 집중하지 못하는 나 내 책임일까?과학동아 l2022년 12호
- 나의 빛을 가리지 말라 제임스 윌리엄스 지음│박세연 옮김머스트리드북│214쪽│1만 5000원 인스타 피드를 내리다가, 트위터 타임라인을 보다가, 유튜브 알고리즘을 타다가 시간 가는 줄 몰랐다면? 또 그럴 때마다 자신의 자제력이 부족한 탓이라고 생각했다면? 이 책을 꼭 읽어보자. 제임스 윌리 ... ...
- [현장취재] 캐릭터에 움직임을 불어넣다! 모션 캡처 스튜디오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2호
- 영화, 게임, 애니메이션 캐릭터의 움직임이 살아있는 것처럼 자연스럽다고 생각해 본 적 있나요? 지난 5월 17일 넷플릭스 드라마 , 게임 ‘배틀그라운드’, 아이돌 그룹 ‘에스파’의 캐릭터 움직임을 모션 캡처로 만든 기업 이엠피이모션캡쳐를 방문해 캐릭터가 만들어지는 과정을 알아봤 ... ...
- [특집] “3년 동안 남긴 400쪽 메모의 결실이에요!”수학동아 l2022년 12호
- 오랫동안 풀리지 않던 3차원 비눗방울 3개 문제를 풀고, 4개까지 해결했다고 말하는 엠마누엘 밀먼 테크니온이스라엘공과대학교 교수와 조 니먼 미국 텍사스대학교 오스틴 교수. 각각 11월 5일과 10일 이메일로 인터뷰를 진행해 논문에 다 담을 수 없었던 그들의 이야기를 들어봤습니다. Q. 비눗 ... ...
- [옥스포드대 수학 박사의 수학 로그] 4화. 수학자의 연구 여행기, 41년 역사의 군론학회 GSA수학동아 l2022년 12호
- 안녕하세요. 서울대학교에서 대칭과 관련이 깊은 ‘군론’을 연구하는 이승재 박사후연구원입니다. 제가 여름에 영국으로 출장을 갔던 이유 중 하나는 군론에서 규모가 큰 학회 중 하나인 ‘군 세인트앤드루스(Groups St Andrews(GSA))’에 참석하기 위해서였어요. 수학자는 학회에 참석해 서로의 ... ...
- [수학 체험실] 무한 계단을 따라 째깍째깍 흘러가는 시계수학동아 l2022년 12호
- 크리스토퍼 놀란 감독의 영화 ‘인셉션’에는 주인공이 다른 사람의 꿈속으로 들어갈 때 계단의 처음과 끝이 연결돼 있어 아무리 걸어도 결국 제자리로 돌아오게 되는 무한 계단이 등장한다. 이런 무한 계단에 매일 반복되는 시간을 담아 나만의 시계를 만들어 보자. 펜로즈 삼각형과 펜로즈 계 ... ...
- 블랙홀 씨, 우리 밥 한번 먹죠과학동아 l2022년 12호
- ※편집자주. 우연히 블랙홀과 함께 밥을 먹을 순 없겠죠? 이해를 돕기 위해 블랙홀이 항성을 흡수하는 과정을 식사에 빗대 설명했습니다.블랙홀과 식사를 함께했다. 더 알아가고픈 사람이 있을 때 우리는 함께 밥을 먹는다. 식탁 위에선 상대가 어떤 사람이고 뭘 좋아하는지 속속들이 알 수 있다. 그 ... ...
- [5년 후 과학] 나만의 맞춤 구름 모바일 클라우드과학동아 l2022년 12호
- 과학동아와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은 올여름부터 5년 뒤의 미래를 엿보는 야심찬 시도를 하고 있습니다. 네덜란드 라이덴대의 최신 데이터 세트를 이용해 앞으로 연구 트렌드를 이끌어 갈 분야를 찾고 있죠. 이번 달에는 ‘복합 연평균 성장률(C AGR)’이라는 지표를 기준으로 데이터를 ... ...
- [DIGST@융복합 파트너] 유전체의 3차원 구조를 밝힌다과학동아 l2022년 12호
- “하나의 세포에 존재하는 DNA(유전체) 길이가 무려 2m에 달합니다. 그런데 어떻게 10µm(마이크로미터·1µm는 100만 분의 1m) 정도밖에 되지 않는 공간에서 그런 정교한 작업이 가능한지 궁금하지 않으세요?”김유리 뉴바이올로지학과 교수는 초롱초롱 빛나는 눈으로 연구 분야를 소개했다. 9월 27일, 분 ... ...
- [옥스포드대 수학 박사의 수학 로그] 3화. 영국의 스타 수학자, 마커스 드 사토이수학동아 l2022년 11호
- 안녕하세요. 서울대학교에서 대칭과 관련이 깊은 수학 연구 분야인 ‘군론’을 연구하고 있는 이승재 박사후연구원입니다. 오늘은 저를 수학자로 이끌어주신 제 은사님, 마커스 드 사토이 교수님을 소개하려고 합니다.드 사토이 교수님을 직접 인터뷰했으니재밌게 읽어주세요! 수학자의 길로 안 ... ...
- [특집] 무엇이 그들을 지하로 이끌었을까? 중성미자와암흑물질과학동아 l2022년 11호
- 태초에 빅뱅이 있었다. 빅뱅의 엄청난 에너지는 물질과 반물질을 만들었다. 그러나 0.0000000001초 뒤 반물질이 홀연히 사라졌다. 지금 우리의 우주는 물질로만 이뤄져 있다. 첫 번째 미스터리다. 우주에 남은 물질들은 서로 뭉쳐 별과 은하를 만들었다. 하지만 이들의 움직임이 어딘가 수상하다. 은하 ... ...
이전65666768697071727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