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남녘
남방
남녁
남향
남
남방셔츠
셔츠
d라이브러리
"
남쪽
"(으)로 총 1,192건 검색되었습니다.
9백년 잠에서 깨어난 고려청자
과학동아
l
2002년 08호
해군 해난구조대의 구조함 3천t급 평택호는 청자 매장 지역에서 1km 정도 떨어진 비안도
남쪽
인근 해상에 닻을 내렸다. 평택호는 일종의 현장본부인 셈이다. 조사단원들은 평택호에 대기하고 있다가 조사시간에 되면 보트를 타고 나가 유물을 인양해 돌아오게 된다.조사기간 중 5월 15일부터 17일까지 ... ...
올여름 저녁은 금성 관측 최적기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가장 중요한 점은 금성과 태양의 상대적 위치다. 햇빛이 강하게 내리쬐는 오후 3시 경 정
남쪽
하늘을 바라보자. 이때쯤이면 태양이 점차 서쪽으로 향한다. 당연히 하늘에서 동서남북의 방향을 먼저 파악해야 한다. 이제 태양 근처에서 금성을 찾으면 된다.태양에서 40° 떨어진 곳 노려라요즘 금성은 ... ...
왜 과학자들은 남극을 찾아갈까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태양이나 별을 계속해서 관찰할 수 있어 천문학과 우주 연구에 아주 유리하다. 또
남쪽
에 있고 문명세계의 교란이 적어 극궤도를 지나가는 인공위성의 제어와 궤도추적을 포함해 통신 연구와 위성연구에 유리하다.그렇다면 과학자들은 남극에서 어떤 점들을 알아냈을까. 우선 남극에서도 ... ...
2. 금강산댐 안전성 7대 의문점
과학동아
l
2002년 06호
되면 이 경계면에 균열이 생기고 누수가 집중적으로 발생한다. 지난 1월 금강산댐에서
남쪽
으로 내려온 많은 양의 흙탕물은 이런 짐작을 가능케 한다.2. 16개월만에 어떻게 만들었나1986년 착공된 금강산댐은 1999년 6월부터 건설사업이 본격화돼 16개월만인 지난 2000년 10월 높이 88m, 저수용량 9억1천만t ... ...
뜨거운 6월 태양 가리는 부분일식
과학동아
l
2002년 06호
본래의 둥근 모습으로 되돌아온다. 이때 태양은 지평선에서 고도 36°로 꽤 많이 떠올라
남쪽
하늘로 이동할 채비를 한다.이 날 태평양 한가운데에 좁은 띠를 이루는 지역에서는 금환일식을 볼 수 있다. 금환일식대에서 남북으로 벗어난 광범위한 지역에서는 부분일식이 일어난다. 물론 ... ...
까마귀 옆에 있는 더듬이의 정체
과학동아
l
2002년 05호
우주 최대의 교통사고 현장이라고 하는데…웬만큼 별이 보이는 지역이라면 봄밤하늘
남쪽
지평선 근처에서 어두운 사각형 모양의 별자리를 찾을 수 있다. 그 모양으로는 도저히 상상하기 힘들지만 까마귀자리다. 까마귀의 머리 부근 하늘을 커다란 망원경으로 살피다보면, 재미있는 모양의 천체를 ... ...
봄에 떠나는 생명 여행
과학동아
l
2002년 04호
책이다. 우리나라의 순수 야생 식물 1백50여종의 생태를 계절별로 분류해놓았다.따뜻한
남쪽
바람에 실려 날아오는 꽃 소식을 기다려본 적이 있는 사람들, 꽃이 피는 것을 보고 봄을 느끼는 사람들에게 권한다.나무처럼 살고 싶다면꽃에 대한 작은 백과사전으로‘쉽게 찾는 우리꽃’시리즈가 있다면, ... ...
빅뱅과 인플레이션 따라잡기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북극점에서 더 북쪽은 어디인지를 묻는 질문과 같다. 북극점에서 움직일 수 있는 곳은
남쪽
뿐이다. 또 빅뱅이 어디에서 일어났냐고 묻는 질문도 마찬가지로 잘못된 것이다. 공간도 빅뱅과 함께 탄생했기 때문이다. 물론 최근 전체우주 안에서 우리우주를 막으로 보는 이론에서는 다른 공간을 생각할 ... ...
토성과 반달의 봄맞이 랑데부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동서로 가로지른 지역에 한정된다. 이 지역이 바로 이번 토성식의
남쪽
한계선이다. 좀더
남쪽
인 제주도로 가면 토성식은 일어나지 않는다.토성식의 접식은 해당 지역에서 평생 한번 보기 힘들 만큼 매우 진귀한 현상이다. 그러므로 이번에 나타나는 토성식에서 제일 어렵고 의미있는 것은 접식을 ... ...
2002년은 말머리성운의 해?
과학동아
l
2002년 01호
별 때문에 겨울밤하늘에서 쉽게 찾을 수 있다. 말머리성운은 세별 중 왼쪽 별(제타별)의
남쪽
에 위치한다. 아쉽지만 말머리성운은 맨눈으로 볼 수 없다. 또 아마추어 수준의 망원경으로도 찾기 쉽지 않다. 망원경을 다룰 줄 아는 아마추어 천문가들 사이에서도 말머리성운은 자신의 관측기술을 ... ...
이전
65
66
67
68
69
70
71
72
7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