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부근
이웃
주변
인근
주위
언저리
인접
d라이브러리
"
근처
"(으)로 총 2,147건 검색되었습니다.
제왕나비는 왜 추운 곳에서 겨울을 날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3호
이주한 제왕나비의 월동 장소도 멕시코 월동 장소의 기후와 비슷해요. 해안가
근처
라 겨울에 눈은 거의 오지 않고 아주 서늘하지요. 제왕나비가 대사활동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최상의 장소인거예요.여러 세대에 걸쳐 이주하는 제왕나비제왕나비의 이주는 조류나 포유류의 이주와는 한 가지 큰 ... ...
동물들이 싸움을 싫어하는 이유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2호
아니면 ‘꽁’, 1음절의 소리만 내지요.맹꽁이는 노래로 암컷을 유인하기도 하지만,
근처
의 수컷과 영역 경쟁에 사용하기도 해요. 쉽게 말해 말로 싸우는 거죠. 이웃에 있는 수컷 한 놈이 ‘맹’하고 소리치며 영역을 주장하면, 옆에 있는 다른 수컷이 ‘꽁’하고 맞받아쳐요. 두 수컷이 서로 자기 ... ...
[Life & Tech] 4대강 사업 사망선고를 받다
과학동아
l
2015년 02호
관광객이 단 한 명도 없었다. 공원은 방치돼 있었다. 그나마 대도시(대구광역시)
근처
에 있는 달성보에서만 몇 명의 관광객을 볼 수 있을 뿐이었다. 보고서에 따르면, 수변공원 연간 총 방문객 수는 424만 명이었는데, 시설 규모에 비해 너무 적으며 도시 지역과 비도시 지역 사이에 편차도 컸다. 일부 ... ...
무척추동물의 뇌는 모두 닮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2호
신경세포가 모인 ‘신경절’이 있어서 해당 부분을 조종할 수 있답니다. 또 머리
근처
에 있는 가장 발달한 신경절을 뇌라고 부르기도 하지요.너희는 뇌 구조가 전부 비슷하다던데?최근 미국 아리조나대학교의 신경과학자 니콜라스 스트로스필드 교수 연구팀은 무척추동물만이 뇌 앞부분에 가지고 ... ...
[Knowledge] 방사능벨트가 지구 보호한다고?
과학동아
l
2015년 02호
약하지요. 특히 브라질 남쪽 지역은 자기장이 약해 우주의 고에너지 입자가 지표면
근처
까지 내려와 있습니다. 이를 ‘남대서양특이현상(SAA)’이라고 부릅니다.반 앨런대를 최초로 발견한 이후 미국은 야심 차게 반 앨런대 전용 탐사 위성을 기획했습니다. 바로 크레스(CRRES) 위성입니다. 크레스 ... ...
[Life & Tech] 찜질방 계란은 왜 갈색일까
과학동아
l
2015년 02호
낭비라고?어쨌든 칼바람이 쇳소리를 내는 겨울엔 찜질방 데이트가 제격이지요. 학교
근처
에 있는 ‘앗뜨거불가마’에 들어갑니다. 특유의 향이 훈훈한 공기 위에 떠도네요. “30분 뒤에 만나자.” 소년과 소녀는 예쁘게 양머리를 틀어 올리고 (비비크림을 바른) 쌩얼을 점검한 뒤, 찜질방으로 ... ...
[지식] 펭귄의 남극살이
수학동아
l
2015년 02호
너무 추워지면 따뜻한 곳으로 가서 지내다 와요. 물론 날지 못하는 펭귄은 떠나봤자 남극
근처
지만요.도둑갈매기나 펭귄은 매년 거의 똑같은 장소에서 번식을 합니다. 마치 사람처럼 똑같은 짝과 계속 지내기도 합니다. 알은 많이 낳지 않습니다. 보통 두 개를 낳아 부화시킵니다. 김 박사님은 “알을 ... ...
Part 1. 차세대 비행기 설계도 5
과학동아
l
2015년 01호
연료소비를 상당히 줄일 수 있습니다. 비행기는 착륙 시점을 맞추기 위해 공항
근처
에서 선회하는 경우가 많은데, 만약 활주로까지 점진적으로 하강할 수 있다면 비행시간이 평균 13분 단축될 것으로 보입니다. 이 정도면 전 세계의 연료 소비를 연간 900만t 줄이고 이산화탄소 배출은 2800만t 줄일 수 ... ...
[Life & Tech] 두꺼운 패딩 벗어야 겨울 추위 이긴다
과학동아
l
2015년 01호
연구 결과 해녀는 차가운 바닷물에 뛰어들면 몸에서 보다 많은 열을 내고, 그 열을 피부
근처
로 잘 보냈다. 추울 때면 기초 대사량을 35% 이상 늘려 몸을 뜨겁게 한다. 해녀는 외부 날씨에 따라 피부 가까이 흐르는 혈액의 양을 조절하는 능력도 뛰어났다.한국 해녀만큼 추위를 잘 참는 것으로 유명한 ... ...
BRIDGE. “당신은 에볼라에 오염됐습니다.”
과학동아
l
2015년 01호
잡고 벗는 게 아니라 정수리 쪽을 잡고 벗어야 했다. 보호복의 지퍼를 내리기 위해 지퍼
근처
를 손으로 더듬는 행동도 금지사항이었다. 오죽하면 현장에서는 감독관이 의료진이 실수를 하지 않도록 주의 지침을 한 줄씩 큰 소리로 읽어준다고 할까.모든 보호장비는 한 번 사용하고 버린다. 하지만 ... ...
이전
65
66
67
68
69
70
71
72
7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