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고려"(으)로 총 3,948건 검색되었습니다.
- [검시관의 사건 노트] 죽음의 최후 목격자, 파리과학동아 l2019년 03호
- 더 정확한 분석을 위해, 국내에서 유일하게 파리 유전자 분석을 꾸준히 연구해 온 고려대 의대 법의학교실에 DNA 분석을 의뢰했다. 그 결과, 시체 곁을 지켰던 마지막 목격자는 바로 구리금파리(Lucilia sericata)인 것으로 밝혀졌다. 주로 시체에 최초로 접근하는 파리 종으로, 실내 시체에서 80% 이상 ... ...
- [언니오빠 논문연구소] 버려졌던 이론의 재탄생과학동아 l2019년 03호
- 광물의 생성 및 변성에 이르기까지 연구 대상을 막론하고 학자들은 판의 움직임을 고려하지 않을 수 없게 됐습니다. 이후 ‘플룸 이론’ 등 판구조론만으로는 설명되지 않는 일부 현상을 보강하는 이론들이 제시됐지만, 판구조론은 여전히 오늘날 지질학의 바탕을 이루는 중심 이론입니다 ... ...
- 단백질 구조예측 대회1등 '알파고' 후배 '알파폴드'과학동아 l2019년 03호
- 증가하고 있지만, 이론적으로 아미노산 서열이 9300만 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하면 적은 편이다. 최근에 사용되는 템플릿 기반 구조 예측 기술은 다음과 같다. 미지의 단백질에 포함된 아미노산 서열을 10개 이하로 쪼개 단위서열로 구분하고, PDB를 뒤져 이들 단위서열과 닮은 템플릿을 ... ...
- 스티븐 호킹 서거 1주년, 먼지가 된 호킹과의 대화과학동아 l2019년 03호
- 겁니다. 그 위성에 도착하는 것은 사람이 탑승한 우주선이어야 합니다. 인류의 미래를 고려한다면 우리가 직접 그곳으로 가야하죠. 인류가 이주할 수 있는 곳을 찾아 떠나는 우주 탐사는 장기 전략으로 봐야합니다. 종종 새로운 행성을 찾는 데 돈만 낭비하고 결실도 얻지 못할 바에야, 차라리 그 ... ...
- [3·1운동 100주년] 대한의 모든 존재에게 한글 이름을 허하라과학동아 l2019년 03호
- 차별화하는 방식으로 많이 명명됐다”며 “일부 이름은 형태적 특징, 설화와 학명 등을 고려해 독자적으로 만들었다”고 덧붙였다.조선식물향명집은 지역마다 다르게 불리던 식물의 이름을 표준화하는 데 크게 이바지했다. 특히 눈여겨봐야 할 점은 일률적으로 서울말을 따라 표준화한 것이 ... ...
- 3D프린팅, 나노세계로 줄이거나 조각하거나과학동아 l2019년 03호
- 것만으로 색을 변하게 만들 수 있는 ‘나노구조색’과 같은 특징을 갖는다. 박홍규 고려대 물리학과 교수팀은 2016년 ‘나노레이저 압력센서’라는 고감도 재난 경보 센서를 개발했다. 외부 압력에 따라 나노레이저의 간격이 변하고 이를 색으로 확인할 수 있어 이 센서를 건물에 설치할 경우 균열 ... ...
- Part 3. 대안은? 버리지도 말고, 놓치지도 말자!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2호
- 이사가 제안하는 방법을 소개해요! 1. 비용만이 아니라 유학과 이사 등 생애 환경 변화를 고려해 반려동물을 끝까지 책임질 수 있을지 숙고한다. 2. 가족과 토론해 모두 반려동물을 원하는지 확인한다. 3. 카라와 같은 동물보호단체와 유기동물보호센터 등의 홈페이지를 찾거나 직접 방문해 ... ...
- [TECH] 새 애국가 담아낸 3D 음향기술과학동아 l2019년 02호
- 오는 소리를 받아들이지만, 반대 방향에서 오는 소리도 일부 담을 수 있다. 이런 특징을 고려해 반지향성 마이크는 주로 천장 가까이 가장 높은 곳에 배치한다. 천장에서 반사되는 소리를 잡아내기 위해서다. 최 감독은 “천장에서 반사되는 반향을 전체 소리와 조화시키는 것도 녹음에서 중요한 ... ...
- Part 4. 좁은 공간도 문제 없다! 가구 옮기기수학동아 l2019년 02호
- 휘지 않은 직선 사다리만 생각할게요. 또 그림처럼 2차원 평면에서 움직이는 사다리만 고려할게요. 정답이 증명되지 않은 소파 옮기기 문제 자, 그럼 이번에는 좀 더 복잡한 물건을 옮겨 볼까요? 이제 90°로 꺾인 1m 폭의 복도에서 소파를 옮길 거예요. 평면에서 옮길 수 있는 가장 넓은 면적을 ... ...
- [이달의 PICK] 밥상 떠난 오징어를 찾습니다과학동아 l2019년 02호
- 어획량은 1990년대만 해도 20만t(톤)에 육박했다. 당시 국내 총 어획량이 140만t 정도인 점을 고려하면, 오징어는 전체 어획량의 상당부분을 차지했다. 하지만 2005년부터 오징어 어획량은 조금씩 감소하기 시작했고 최근 3년간 급격히 감소했다. 오징어 연간 어획량은 2016년 12만t, 2017년 8만7000t으로 ... ...
이전65666768697071727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