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광대
큼
과대
다대
웅대
막대
d라이브러리
"
거대
"(으)로 총 1,454건 검색되었습니다.
남미의 뿌리, 안데스 산맥을 찾아서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경계에 있는 파타고니아 고원에 올랐다.파타고니아 고원 위에서 만난 모레노 빙하는
거대
함 그 자체였다. 빙하의 높이는 무려 1km에 달하고, 너비는 4km에 이르렀다. 오래된 빙하는 하루 평균 2m씩 강 쪽으로 흘러내려왔다. 빙하가 눈이 녹아 만든 호수에 다다르면 한쪽 귀퉁이 부분이 쩍하고 ... ...
환상의 짝꿍 공생 없인 못살아!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05호
숨을 장소를 만들어 준단다.꿀을 줄 테니 ○을 다오!안녕? 난 보르네오 섬에 사는
거대
식물 ‘네펜데스라자’라고 해. 물이 2ℓ나 들어갈 정도로 큰 주머니 모양을 하고 있지. 게다가 잎은 나무두더지의 몸 크기에 딱 맞아. 그래서 사람들은 내가 나무두더지를 잡아먹고 산다고 생각했단다. 하지만 ... ...
Part2. 꿈의 기술? 아직 피지 못한 꽃?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두거나 양성자가 정확하게 충돌하도록 유도하기 위해서는 강력한 자기장이 필요하다.
거대
강입자충돌기는 모두 1600개 이상의 초전도 자석을 쓴다. 무게로 치면 27톤이 넘는다.한편 미세한 자기장을 측정하는 데도 초전도 기술을 쓴다. 1962년 영국 물리학자 브라이언 조셉슨은 두 개의 초전도 물질 ... ...
Part2. 사상 최악의 지진해일…일본이 울었다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처음”이라고 말했다. 따라서 이번 지진은 오래된 해양판을 가진 또 다른 수렴대 지역에
거대
지진의 시작을 알리는 경고일 수 있다.노스웨스트대의 에밀리 오칼 교수는 “호주 동쪽에 있는 통가 근처와 대서양과 멕시코만에 접한 카리브해의 북동쪽 지역이 해당할 것”이라고 말했다.슈퍼문이 지진 ... ...
입자 가속기 삼국지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원자핵이 모두 녹아
거대
한 에너지로 바뀌어 버렸다. 우주가 태어나기 직전의
거대
에너지 상태 즉 ‘빅뱅이 일어나기 직전’의 축소판이 된 것이다. 이 때 물질의 상태를 분석한 결과 이 에너지는 가속기 안에서 ‘미니 빅뱅’을 일으키며 우주가 처음 태어날 때 만들어졌던 작은 입자, 즉 쿼크 등을 ... ...
화산 신이 남겨놓은 돌기둥 병풍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된 돌기둥들을 보면 아름다운 디자인에 감탄하고 장엄한 크기에 입이 떡 벌어질 뿐이다.
거대
한 자연 앞에 티끌처럼 작은 한 사람이지만, 지질학자로서 국내 곳곳에 숨겨져 있는 아름다운 지형과 지질들을 일반인에게 소개하는 일은 보람된 일일뿐 아니라 매우 기쁘다. 헤아릴 수 없는 지질작용과 ... ...
Intro. 지구 리모델링하는 슈퍼아이디어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있다.영국 환경운동가 마크 라이너스는 ‘6도의 악몽’에서 지구 기온이 2℃ 상승할 때 초
거대
가뭄이 발생하고 농업은 붕괴되며 북극곰이 사라진다고 예측했다. 최근 인간의 지성은 지구가 온난해지는 속도를 늦추려고 갖가지 방안을 짜내고 있다. 이름 하여 ‘지구공학(geoengineering)’이다. 지구를 ... ...
한국 우주 전파 관측망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되는지를 이전보다 정확히 알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런 정보를 이용해 은하 중심에 있는
거대
블랙홀의 특징도 알 수 있다.별까지의 거리를 정확히 측정하는 연구도 한다. 김 본부장은 “별까지의 거리를 잘못 측정하면 크기나 질량을 비롯한 여러 물리량이 잘못 결정돼 천체의 성질을 정확히 파악할 ... ...
새들이 군무를 추는 이유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훨씬 많은 수가 무리를 이룬다. 새나 물고기가 이룬 무리(swarm)와 구별하기 위해 ‘
거대
무리(superswarm)’라고 불리는 이들 곤충은 무리를 이룰 때 세로토닌 같은 화학물질의 도움을 받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현재 과학자들은 이런 화학물질이 무리짓기에 끼치는 영향에 대해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 ...
Part2. 지구 살리는 13가지 방법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세이츠 미국 하버드대 교수는 해양 표면을 빛나게 만드는 자연물을 고안했다. 바로
거대
한 양의 미세기포(microbubble). 연구팀은 미세기포를 해수 표면에 주입해 햇빛을 막는 거울로 쓰자고 제안한다. 기포는 배를 이용하거나 물속에 압축공기를 넣는 펌프를 이용해 만든다. 이 기포는 자연 발생하는 ... ...
이전
65
66
67
68
69
70
71
72
7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