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이하
나중
뒤
아래
이후
d라이브러리
"
이래
"(으)로 총 1,154건 검색되었습니다.
"개발 이전에 반드시 환경평가 거쳐야"
과학동아
l
199403
두루미는 제 기억에 오래 남을 수확입니다. 어릴 때 고향 원주에서 황새나 두루미를 본
이래
공단이 들어서면서 새들이 모두 사라졌지요. 좀더 가까이서 봤으면 싶었습니다. 아쉬운 점은 날씨가 너무 궂어 탐사에 어려움이 많았다는 점입니다.방홍규―저는 이 날씨가 새를 탐사하는데는 오히려 ... ...
PART.1 게임을 제대로 즐기려면
과학동아
l
199403
투입해 제작하기도1958년 미국 윌리 히긴보섬이 세계 최초로 컴퓨터 게임을 개발한
이래
컴퓨터 게임은 엄청난 발전에 발전을 거듭해 지금은 영화 못지 않게 뛰어난 화면과 음악, 그리고 음성을 창출해내고 있다. 또 영화 '스타워즈'를 게임으로 만든 '스타워즈 엑스-윙(Star Wars X-Wing)'이나 CD-ROM 게임 ... ...
4. 사람에게만 서식하는 종류는 퇴치가능
과학동아
l
199402
인간이 퇴치한 최초의 바이러스다. 1796년 영국의 제너가 처음으로 종두법을 개발한
이래
, 세계보건기구(WHO)의 줄기찬 노력으로 지구상에서 천연두는 사라졌다. 종두법과 같은 바이러스의 성공적인 퇴치 방법을 발견하고자 많은 과학자들이 피나는 노력을 하고 있으나, 다른 바이러스의 경우에는 ... ...
사라진 이산화탄소의 행방은?
과학동아
l
199402
더 있으리라는 추측도 가능하다.인간은 화석연료를 사용하는 것 이외에도 20세기
이래
엄청나게 많은 열대우림과 산림을 파괴함으로써 산림이 없어지는 만큼 이산화탄소의 흡수가 줄어든다. 결국 대기중에 추가되는 탄소량은 정확히 추산할 수는 없지만 어림잡아 1년에 16억t에 달할 것으로 ... ...
1. 생물 속에서만 생명얻는 '불완전 생물'
과학동아
l
199402
1798년에는 에드워드 제너(Edward Jenner)가 천연두 예방백신을 개발하여 인류에 공헌했다. 그
이래
천연두는 1977년 10월 소말리아에서 최종발생한 뒤 지상에서 영원히 소탕되어 1979년 1월 이후는 우두접종에 대한 강제성이 폐지됐다.1885년 루이 파스퇴르(Loui Pasteur)가 광견병(일명 공수병) 예방약을 ... ...
(1) 컴퓨터로 인간 5감(五感)입력 가상공간을 현실로 느낀다
과학동아
l
199402
가상현실을 체험하게 한다.아이폰이나 데이터블러드 등의 이름은 VPL사가 제작해 선보인
이래
단순한 상품명을 넘어 고유명사로 정착된 것들이다. 인간 오감의 재생국내의 한 VR 연구자는 "공식적인 자리에서 할 만한 말은 아니지만, 우리가 VR을 이용해 가상 섹스를 실현할 수 있다면 원하는 것은 ... ...
금성소프트웨어, 하나 스프레드시트 4.0버전업
과학동아
l
199402
제작한 하나스프레드시트 4.0이 발표됐다. 지난 88년 1.0판이 발표된
이래
외국 스프레드시트를 제치고 국가 행정전산망용으로 선정된 하나스프레드시트의 이전 버전은 3.1이었다.이번에 발표된 4.0은 덩치 큰 파일들을 열어 작업할 때 발생하는 도스의 메모리 장벽 6백40K를 해결하기 위해 메모리 ... ...
2. 형형색색 바이러스 세계
과학동아
l
199402
본것이 1938년. 막 개발된 전자현미경으로 담배모자이크바이러스를 본 게 처음이다. 그
이래
인간이 본 바이러스는 1천종을 넘는다. 현미경안에서 작은 우주를 형성하고 있는 바이러스의 세계를 소개한다. 헤르페스바이러스가 동물세포에 들어가는 모습① 바이러스 외피가 플라즈마막에 부착된다 ... ...
물리- 대기압 이용한 요술 여섯가지
과학동아
l
199402
내려가지 않거나 어느 높이(10m) 이상까지 올라가지 않는 현상이 있다. 아리스토텔레스
이래
자연이 진공을 무서워한다는 '진공 공포'라는 말로 표현됐으나 그 이유는 충분히 설명되지 못했다.중세 이후 갈릴레이의 제자인 토리첼리가 물 대신 수은주로 해답을 제안했으나 그것이 공기의 무게 ... ...
허블망원경 수리 성공하기까지
과학동아
l
199401
이 혜성의 핵 중에는 지름이 5㎞짜리도 있어 텍사스주만한 불덩이를 만드는, 태양계 유사
이래
최대 재난을 일으킬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그러나 허블을 복원한다고 해도 NASA와 과학자들간의 망가진 관계를 완전히 회복시키기는 힘들지도 모른다. NASA는 천문학 및 천체물리학 관련 예산이 연간 7억 ... ...
이전
65
66
67
68
69
70
71
72
7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