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황야
황무지
불모지
아라비아사막
아라비아
모래땅
모래벌판
d라이브러리
"
사막
"(으)로 총 817건 검색되었습니다.
전자전의 첨병 군사위성
과학동아
l
199103
그 밑을 관측하여 탱크행렬의 안전한 이동을 지지할 수 있는 튼튼한 지반을 식별한다.
사막
에는 탱크나 기타 무거운 차량을 송두리째 가라앉게 하는 모래수렁이 있기 때문이다.랜드샛의 30m 해상도로서도 전문가는 포대진지, 병력의 크기, 폭격에 의해서 발생한 화재등을 식별할 수 있다. 특히 1 ... ...
"이제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은 없다"
과학동아
l
199103
영향여부는 얼마만한 양이 분출되는가에 달렸다"고 의견을 밝힌다. 특히 사하라
사막
북쪽에서 지중해 남쪽에 이르는 제트기류의 머리부분이 이라크 상공에 있어 이 곳에서 검댕이 층을 이루면 제트기류의 순환이 교란돼 기상변화가 초래될 것으로 예상된다. 즉 지표면의 찬 공기가 따뜻해져 ... ...
줄어드는 삼각주
과학동아
l
199102
아카드부족과 카시트부족 아라미아 부족들의 침략을 이겨내야 했다.그러나 나일강은
사막
을 통과하며 흘렀다. 동쪽이나 서쪽이나 사람이라곤 거의 살지 않았고 따라서 나일강가 사람들은 수천년동안 평화를 누리면서 지낼 수 있었는데 이는 그전이나 그 이후의 인류역사동안 가장 오래 안정이 ... ...
차세대 전화기술혁명 무선시대를 연다
과학동아
l
199102
장시간 항공기로 여행을 한다거나, 며칠동안 배로 여행을 하는 경우, 또는 차로 넓은
사막
이나 산간지역을 운전하는 경우 몇시간에서 며칠씩 통신수단이 두절되는 상황에 흔히 접하게 된다. 이런 상황에서도 항상 통신을 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로 이동무선통신(mobile radio communication) 이다. 이는 ... ...
4. 화학전
과학동아
l
199102
화학전 보호용 개인장비를 항시 가지고 다녀야 하기 때문이다. 그렇지 않아도 푹푹 찌는
사막
날씨에 10분만 써도 호흡이 가빠오는 방독면을 쓰고 전쟁을 치르자면 시야도 나빠질 뿐만 아니라 기동력도 크게 떨어질 것이다. 어쩌면 이 점만을 노리고 화학전의 엄포를 거두지 않고 있는 것은 아닐까. ... ...
뉴멕시코
사막
에 핵폐기물 영구처분장
과학동아
l
199101
봄에 열린 국립과학아카데미(NAS)총회에서 비중있게 다루어질 것으로 보인다.뉴멕시코
사막
에 핵폐기물 영구처분장을 건설하려는 미국정부의 구상은 15년이나 끌어온 끝에 가까스로 시험시설을 승인받는 단계에 이르렀으나 아직 이 시설의 완성까지는 몇년이나 걸릴지 아무도 장담할 수 없을 ... ...
피라미·지렁이·이끼가 사라지고 있다
과학동아
l
199101
지의류는 정확히 구분하면 조(藻)류와 균(菌)류의 공생식물이다.지의류는 고산이나 극지
사막
등 고등식물이 생존할 수 없는 극한상황에서도 끄덕없이 버티며 살아간다.지의류를 현미경으로 보면 두가지 식물의 공생체임이 금방 드러난다. 뒤얽힌 균사가 식물체를 형성하고 있고 그 사이 사이에 ... ...
일본의 기술
과학동아
l
199101
끝부분에 대서양과 태평양을 잇는 다리를 건설하고자 꿈꾸고 있다.나아가서 그들은
사막
에 물을 조달하고, 인도평원의 홍수를 없애고, 보다 나은 환경을 조성하기 위하여 기후를 변화시키는 방법까지도 꿈꾸고 있다.물론 가장 큰 문제는 이러한 원대한 꿈도 그것이 초래할 부작용을 미리 사려깊게 ... ...
1402년의 세계지도
과학동아
l
199012
커다란 반도로 튀어나와 있었다.아프리카대륙의 한가운데는 사하라
사막
과 고비
사막
이 검은 색으로 커다랗게 표시됐다. 알렉산드리아는 유명한 등대가 있는 항구로 나타내졌다. 지중해는 잘 그려졌으나 바다를 나타내는 검은 색의 파도무늬 선으로 표현하지는 않았다. 다른 큰 바다들과 같은 것으로 ... ...
페르시아만 사태로 개점휴업에 들어간 KISR
과학동아
l
199011
등 아랍과학의 선도역할을 자임해왔던 것.이 연구소에서 이룬 성과중 눈에 띄는 것은
사막
에서 밀과 채소를 재배할수 있게 한 농업기술이다. 또 모래폭풍과 기름유출 등을 해결, 환경오염을 방지하는 데도 한몫 했다. 그리고 자국의 부족한 지하수 문제를 해결하는데 기여했을 뿐더러 풍부한 ... ...
이전
65
66
67
68
69
70
71
72
7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