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궁리
사고
일고
안
d라이브러리
"
생각하기
"(으)로 총 14,498건 검색되었습니다.
“비과학적인 매몰 대책이 침출수 문제 불렀다”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구제역과 AI 대책의 일환으로 정부가 시행하고 있는 가축 매몰 작업이 침출수와 가스등을 발생시키며 추가 피해를 일으키고 있다. 시간에 쫓겨 과학적인 조사나 연구 없이 주먹구구식으로 시행돼 예견된 2차 피해를 불러왔다는 비판이 지배적이다. 무엇보다 치명적인 가축전염병의 병원균을 지닌 ... ...
신경교세포 100년 만에 입을 열다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두 주먹을 합친 크기의 뇌 안에는 약 1000억 개의 뉴런(신경세포)이 있다. 엄청난 숫자 같지만 사실 뇌 안에는 약 1조 개의 세포가 있다. 뉴런은 뇌세포의 10%에 불과한 셈이다. 그렇다면 나머지 90%는 어떤 세포일까. 바로 신경교세포다. 그런데 뉴런에 가려 별 볼 일 없는 존재였던 신경교세포가 최근 ... ...
화산 신이 남겨놓은 돌기둥 병풍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지난 해 여름, 경북 경주 읍천 해안에서 부채를 활짝 펼친 듯한 주상절리가 발견됐다. 그동안 해안가에 주둔했던 군부대가 철수하면서 바깥 세상에 드러난 것이다. 주상절리 하면 흔히 떠올리는 육각기둥의 모습이 아니라 더욱 신비하다. 그런데 국수처럼 휘어지고 대도시 마천루처럼 빛나는 주상 ... ...
개그맨 이윤석의 '웃음의 과학'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윤석아, 책 좀 그만 봐라!해외 촬영을 가서도 숙소에 틀어 박혀 내내 책만 읽는 이윤석 씨를 보고 이경규 씨는 무척 답답해했다고 한다. 밖에 구경도 좀 다니고 맛있는 것도 먹어보라는 선배의 타박에도 굴하지 않고 이윤석 씨는 묵묵히 책을 읽는다.책을 좋아해 국어국문과를 들어갔다는 이윤석 씨 ... ...
차세대 전자부품 초박막 반도체를 칠하다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입는 컴퓨터, 접었다 펴는 전자 신문 등을 만들기 위해서는 유연한 전기전자 소자(전자 회로를 구성하는 부품)가 필요하다. 그러나 현재 쓰고 있는 반도체는 소재가 딱딱하기 때문에 제약이 많다. 따라서 많은 과학자들이 기존 반도체를 대체하기 위한 유기물을 찾고 있다. 지금까지 얻은 유기소재 ... ...
기계에도 근육이 있다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헬스클럽에서 운동을 하다 보면 온몸이 불끈불끈한 몸짱 청년을 볼 수 있습니다. 보통사람은 움직이기도 힘든 역기를 몇십 번씩 번쩍번쩍 잘도 들어 올리지요. 역도 선수들은 한 번에 200kg이 넘는 무게를 머리 위로 들어 올리곤 한다니, 사람이 낼 수 있는 힘이 결코 작지 않다는 생각을 했습니다.실 ... ...
관심도 지나치면 병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다른 사람들의 일에 지나친 책임감을 느껴 문제가 생기면 자신이 다 해결해줘야 한다고
생각하기
도 한다.나는 확실히 이 타입에 속하는 모양이다. 이런 성격이 결코 좋다고 할 수 없는데도 쉽게 고치지 못하는 이유는 역시 타고난 기질 때문이다. 덕분에 늘 걱정 한 트럭분을 싣고 다닌다. [남의 ... ...
“수학, 과학 영재들의 천국”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경기도 수원의 조용한 주택에 자리잡은 경기과학고. 정문으로 들어가 언덕길을 한참 올라가자 단정한 건물들이 눈에 들어온다. 실내로 들어가 실험실 한 곳의 문을 열자 매캐한 냄새가 코를 찌른다. 한국청소년물리토너먼트를 준비하는 학생들이 실험 연습에 한창이다. “어렸을 때부터 숫자 계산 ... ...
수학-행렬의 3차원적 접근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공간도형을 3차원 벡터로 다루듯이, 행렬의 변환문제도 3차원으로 확장할 수는 없을까? 행렬의 연산을 기하학적인 관점에서 생각해보고, 이를 공간도형에서 평면의 대칭과 사영에 응용해보자. 대칭변환(역변환이 존재하는 변환)을 사영변환으로 나타내면서 변환 간의 관계도 관찰해보자. ...
연구활동은 꿈을 이루는 과정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연구활동을 하기 전에 먼저 생각해야 하는 것이 있습니다. ‘과학자는 연구활동을 왜 할까?’, ‘나는 왜 연구활동을 해야 할까?’. 먼저 이 근원적인 질문에 대한 답을 스스로 찾고 연구활동에 도전해봅시다. [※ 이번 호부터 ‘도전! 자기주도적 창의연구활동’의 연재를 시작합니다. 이 코너에서 ... ...
이전
695
696
697
698
699
700
701
702
70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