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소용
수요
사용
필수
필요경비
경비
필요사무
d라이브러리
"
필요
"(으)로 총 13,784건 검색되었습니다.
지식과 논리 갖춘 창의력이 관건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고1 과정까지 미리 학습하고 수학적, 과학적 도구를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훈련이
필요
하다. 다양한 주제의 문제를 직접 풀어보고, 새로운 실험을 설계하고 접근방식을 고민해보자. 그 과정을 글로 정리해보는 방법도 도움될 것이다 ... ...
제3의 불 밝히는 프로메테우스의 후예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분위기는 책상에 앉아서 학문적인 연구에만 파고드는 이미지와는 사뭇 다르다.
필요
한 시설을 직접 설계하고 제작, 관리한다. 거기에서 도출된 데이터를 이론으로 정리해 국제적인 연구활동을 펼치는 것이 궁극적인 목표다.“핵재료연구실은 다른 분야에 비해 어렵고 힘든 내용의 학문 수행이 ... ...
전통 수학의 발자취를 찾아서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흔히 서양의 중세를 문화의 암흑기라고 부른다. 고대 그리스 로마 문명의 찬란한 학문적 성과와 문화적 전통이 이어지지 못했기 때문이다. 중세에 잠자던 그리스문명을 ... 균형적이고 체계적인 발전을 도모하기 위해서뿐만 아니라 우리의 문화적 정체성을 회복하는 데도
필요
한 일이다 ... ...
“공군, 이제 우주로 간다”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8월 한국 최초 위성발사체 나로호(KSLV-I)를 발사할 때 지원하기도 했다. 공군은 도움이
필요
한 여러 연구 기관들과 실질적 협력을 확대해 가고 있다.”▶ 2010년부터 공군 장교 가운데 우주비행사 후보를 뽑아 훈련시킨다고 알고 있다.“전투기를 조종하는 위관 장교를 대상으로 소수인원을 정기적으로 ... ...
달리는 인간형 로봇 휴보2의 비밀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연구개발이 드디어 빛을 본 것이다.이런 노력을 들여 로봇을 꼭 두 발로 걷고 달리게 할
필요
가 있는 걸까. 여기에 대해선 일부 전문가들조차 회의적이다. 로봇이 꼭 인간형이어야 할 이유가 없다는 지적도 나온다. 그러나 영화에서처럼 로봇이 사람의 생활 속에 들어와 함께 살아가기를 꿈꾼다면,그 ... ...
과학관이 살아 있다는 걸 보여주겠습니다!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예산이 턱없이 부족하다”며 “특히 전문 인력을 확충해 지속적으로 연구개발을 할
필요
가 있다”고 지적했다.이 관장은 “지난 1년여 동안 많지 않은 직원들이 어려운 여건 가운데 고생을 많이 했다”며 “앞으로도 과학관 발전이라는 공동목표 아래 ‘우리 과학관은 국가가 선진국으로 가는 길을 ... ...
정신줄 놓다 에 대한 3가지 고찰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대한 이해 등이 이 부위들과 관련돼 있다. 또 창조적인 생각이 일어나려면 이런 상태가
필요
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다만 이런 기능들은 청소년기가 지나야 나타나며 뇌영상도 이를 뒷받침하고 있다. 최근에는 치매의 가장 흔한 원인인 알츠하이머병이나 자폐증, 정신분열증 등의 뇌질환에서 내정 ... ...
‘똑똑한 하천’ 스마트 리버를 아시나요?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주요하천에 대한 최초의 종합적인 정비사업이기 때문이다. 지금까지 하천 정비의
필요
성은 늘 제기돼왔지만 예산 문제로 번번이 다른 SOC 사업에 밀려온 게 사실이다.“이들 하천에 도입될 스마트 기술은 이미 작은 규모에서는 실행되고 있습니다. 바로 청계천이죠.”청계천은 2007년 6km 구간에 ... ...
[알림] 과학동아 ‘열혈’ 독자 모여라!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과학동아를 읽으면서 느낀 점, 과학동아가 앞으로 정통 과학 잡지로 자리 잡기 위해서 꼭
필요
한 점을 조언하는 ‘과사모(과학동아를 사랑하는 모니터링 요원)’를 모집합니다.평소 과학동아를 열심히 읽고 애정어린 조언을 해줄 수 있는 열혈 독자라면 누구나 응모할 수 있습니다. 과학동아 ... ...
자전거 40년 노하우를 한 권에!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바꾼 사고의 전환에서 시작됐다.” 기원전 2000년경 사람이 임의의 수를 나타낼 기호의
필요
성을 느끼면서 미지수가 탄생했다는 얘기다. 이 책은 누가 어떻게 대수를 발전시켰는지 당시 역사적 사건과 문화에 대한 이야기를 통해 생생하게 묘사했다.맛있고 간편한 과학도시락김정훈 지음 | 은행나무 ... ...
이전
694
695
696
697
698
699
700
701
70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