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문장
글월
작문
문자
글짓기
글씨
원고
d라이브러리
"
글
"(으)로 총 10,999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2. 머리 좋은 가수가 살아남는다
과학동아
l
201106
MBC의 주말 예능 프로그램 ‘나는 가수다’의 재미의 핵심은 경쟁이다. 경쟁이 없다면 이 프로그램이 방영되는 시간은 일요일 저녁 황금시간대가 아니라 자정에 가까울 것이다. 세계적 서바이벌 프로그램 열풍을 부른 미국 CBS의 ‘서바이버’는 무인도에서 게임을 통해 마지막까지 살아남은 사람이 ... ...
시화호 조력발전소 건설현장에 가다
과학동아
l
201106
바로 가물막이를 만들기 위한 구조물인 ‘원형 셀’이다. 넓이 50cm짜리 금속 판을 둥
글
게 이어 붙여 지름이 20m이고 속이 빈 금속 기둥을 만들었다. 가장 깊은 바다는 34m에 달했기 때문에 기둥 역시 이 정도 길이가 필요했다. 기둥을 만든 뒤에는 안에 금속 말뚝을 박았다. 바다 밑에 단단하게 고정하기 ... ...
반물질 지구는 어디에 있을까
과학동아
l
201106
1931년 영국 케임브리지대. 이 대학 교수인 폴 디랙은 1902년생으로 당시 29세에 불과했지만 이미 영국에서 제일가는 이론물리학자였다. 특히 양자역학 분야에서는 전 세계를 통틀어도 그 앞에는 양자역학을 정립하고 불확정성의 원리를 내놓은 독일의 베르너 하이젠베르크 정도만이 있을 뿐이었다. ... ...
한국과학창의재단 과학나눔 “대학생 봉사단 6기 모집”
과학동아
l
201106
“지금부터 ‘제빵왕 김탁구 놀이’를 하며 미생물이 무엇인지 공부해 볼까요?”아이들 앞에 밀가루와 효모, 물이 준비돼 있다. 재료를 혼합해 비닐 봉투에 넣었더니 15분 뒤 탁구공 같던 반죽이 야구공처럼 부풀었다.“우와! 선생님, 이거 왜 커졌어요?”“효모라는 미생물이 발효해서 풍선에 공기 ... ...
임지순 서울대 물리천문학부 교수
과학동아
l
201106
중·고교 시절 1등을 놓치지 않았다. 서울대에도 수석으로 들어왔다. 그러나 당시 대학은 공부에만 전념할 수 있는 시대가 아니었다. 고민도 많이 하고 책도 많이 보고 다른 데 눈도 돌렸다. 그러나 마지막에 깨달은 것은 ‘나는 물리학자’라는 사실이었다. 미국으로 유학을 떠나 제대로 공부를 시 ... ...
한 권에 담은 기후변화의 모든 것
과학동아
l
201106
소파에 앉아 가볍게 읽을 수 있는 책은 아니다. 600쪽이 넘는 두께와 논문 형식의
글
은 통독하기엔 부담이다. 하지만 옆에 두고 두고 두고두고 볼 만하다. 기후변화에 대해 알고자 할 때, 이 책은 가장 친절한 길잡이가 돼 줄 것이다 ... ...
친구들 속에 묻어가기
과학동아
l
201106
곤충과 달리 나뭇잎 사이에 집단 둥지를 짜고 밖으로는 방어벽인 그물을 쳐 놓고 바
글
바
글
모여 산다. 정교하고 촘촘하게 짠 방어벽은 아니지만, 끈적끈적한 거미줄 같은 그물은 시각적으로 천적의 접근을 막는다. 집단생활이 단독 생활보다 유리하다는 결론을 얻어 군집을 이루고 먹이를 함께 먹는 ... ...
슬픔이 아픔이 되는 비극
과학동아
l
201106
“요즘 정말 세상이 뒤숭숭하지 않아? 일본 지진만 해도 그렇고, 조만간 세상이 어떻게 될 것만 같아.”“응, 맞아. 계속 안 좋은 일만 생기는 것 같아서 불안해.”요즘 사람들을 만나면 한결같이 하는 이야기가 있다. 뭔지 모르게 마음이 불안하다는 것이다.최근 가장 많은 사람들에게 극심한 공포 ... ...
인수분해로 공략하는 다항함수
과학동아
l
201106
※ ‘수학 사고력 넓히기’는 수학영재를 위한 실력 향상 코너입니다. 기하, 대수를 비롯한 수학의 다양한 영역에서 재미있는 개념설명과 흥미로운 문제를 만나볼 수 있습니다. ...
해석기하를 통한 창의적 연구
과학동아
l
201106
기하 문제로 바꿔(대수 문제를 기하 문제로 변형) 기하 개념을 이용해 풀어보고 싶다는
글
에서 이 학생이 얼마나 심층적으로 공부했는지를 잘 알 수 있다. 수학 공부를 오래 해야 이런 방식을 어느 정도 이해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 ‘좌표 같은 수학의 새로운 도구를 만들어 보고 싶다’는 마지막 말 ... ...
이전
693
694
695
696
697
698
699
700
70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