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시작"(으)로 총 14,059건 검색되었습니다.
- 110년째를 맞이한 노벨상수학동아 l2010년 11호
- 신설돼 올해로 42년째다. 그럼 여기서 노벨상이 몇 번 선정됐는지 계산해 보자.1901년부터 시작된 상이 5개니까 5에 110을 곱한 다음, 경제학상의 42를 더하면 된다. 이렇게 하면 592가 나오는데, 실제 노벨상은 543번만 선정됐다. 계산한 값에서 49의 차이가 발생하는데 왜 그럴까? 벨상 선정이 어려웠던 1· ... ...
- 당신은 날 믿었어야 했어요!수학동아 l2010년 11호
- 등장한다. 가상의 이야기이므로 내시는‘로버트’라는 이름으로 등장한다. 영화 시작부터 로버트는 이미 세상에 없는 사람으로 딸의 회상 장면에만 등장한다. 로버트가 끝내 이루지 못하고 남기고 간 업적과 그 인생을 고스란히 이어받아 묵묵히 살아가는 딸 캐서린이 주인공인 셈이다.캐서린은 ... ...
- 제2의 지구 찾아 삼만 광년과학동아 l2010년 11호
- 천문학자들은 지금까지 발견한 외계행성 중에서 적절한 조건을 갖춘 행성을 선정하기 시작한다. 인류 또는 지구의 생명체가 살기에 좋으려면 행성은 어떤 조건을 갖춰야 할까. 천문학자들은 별 주위를 공전하는 행성을 찾을 뿐만 아니라 그 행성의 환경이 어떤지를 알아내기도 한다. 가장 큰 ... ...
- 그 곳에 생명이 있다!과학동아 l2010년 11호
- 마침내 이주선단이 외계행성에 도착했다. 각각의 선단은 목적지 행성에서 새로운 삶을 시작할 예정이다.그런데 이 외계행성에 다른 생명이 존재하지는 않을까. 만약 그렇다면 지구와 다른 환경에서 진화한 생명체는 어떻게 생겼고, 어떻게 살아갈까. 과연 인류는 그들과 공존할 수 있을까. 이제 ... ...
- 인간은 얼마나 극한 환경을 견딜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0년 11호
- 구토, 식욕 상실, 피곤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이런 증상은 2400m 정도 고도부터 생기기 시작하는데, 2500m 이상으로 올라서면 호흡곤란, 마른기침 등의 증상이 나타나고, 심하면 허파에 부종이 생긴다. 3500m 이상 높이에 갑자기 올라가면 뇌부종, 운동실조, 성격변화, 졸림, 정신착란, 발작, 환각 등이 ... ...
- 불치병 콕 찍어내는 뇌단백질체 지도과학동아 l2010년 11호
- 뇌에서 알츠하이머병이 시작되는 곳이다. 2년 전까지는 알츠하이머병이 해마에서 처음 시작된다고 알려져 있었지만, 2009년 그보다 더 이른 단계에서 뇌간에 단백질의 변형이 나타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마이어 교수는 “현재는 퇴행성뇌질환을 아무리 빨리 진단해도 이미 병이 몇 년 이상 진행된 ... ...
- 과학으로 담그면 행복한 겁니다과학동아 l2010년 11호
- 염려가 있는 부패세균의 숫자는 25일까지는 줄어들다가 48일이 지나자 다시 늘어나기 시작했다. 25일 이전까지는 순수하게 발효가 진행되다가 그 이후에는 발효와 부패가 동시에 진행됐다고 생각할 수 있다.즉 이때까지 온도를 천천히 내리면서 김치를 익히다가 숙성이 어느 정도 진행된 15~20일 ... ...
- 칭찬 보다 비난이 더 신경쓰이는 이유과학동아 l2010년 11호
- 반발하던 그였다. 그런데 어느 날은 “치료자가 하는 말이 무슨 뜻지 이해가 가기 시작했다”며 “처음으로 기분을 관리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알게 됐다”고 말했다. 그 스스로 지나치게 피해의식에 빠져 있었음을 깨닫게 된 것이다. 또 그는 “기분 나쁜 채로 그냥 있을 게 아니라 내가 왜 기분 ... ...
- 꼭 의사가 되고 싶다면?과학동아 l2010년 11호
- 어떤 활동을 할 수 있을까. “대학교에서 논문을 쓰는 건 R&E 활동이고, 다른 활동을 시작해야 할 것 같구나. 네가 사는 지역에는 서울과 달리 그런 기회가 많이 있어. 지방에 사는 걸 되려 장점으로 만들어봐.” 지역에 대한 관심을 갖는 데서부터 봉사활동은 출발한다. 지역에서 자라며 얻은 것들을 ... ...
- 우주 끝까지 외계행성 찾는다과학동아 l2010년 11호
- 여러 가지 방법을 고안해 왔다. 이제 천문학자들이 본격적으로 외계행성을 찾기 시작하는데…. 태양계에는 태양을 돌고 있는 행성과 그 행성 주위를 공전하는 위성이 수십 개나 있다. 태양계가 우주에서 유독 유별난 게 아니라면 행성이 있는 별이 어딘가에 또 있다고 생각하는 편이 옳다. ... ...
이전69269369469569669769869970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