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질문
과제
퀴즈
물음
수수께끼
제목
목표
d라이브러리
"
문제
"(으)로 총 13,165건 검색되었습니다.
전통 수학의 발자취를 찾아서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상명산법’, ‘산학계몽’을 참고했지만, 그보다 훨씬 많은 양의 천원술
문제
를 싣고 있다.홍대용과 남병길, 이상혁은 조선 후기의 대표적인 수학자다. 진취적인 실학자인 홍대용은 수학지식의 일상화를 추구했다. 또한 전문적으로 수학을 연구해 당대 최고의 수학자이자 천문학자로 인정받은 ... ...
Part 5. 종이접기의 재발견
수학동아
l
2010년 01호
부피는 한 변의 길이의 세제곱이므로 각 변을 2배씩 늘리면 부피는 8배가 된다. 이
문제
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세제곱했을 때 원래 변의 길이의 2배가 되는 변의 길이를 알아야 한다. 작도로는 이 비율을 만들 수 없지만 종이접기를 이용하면 가능하다. 원리x의 길이는 y의 길이의 ∛2배다. 따라서 한 ... ...
미래 기후 예측 빙하시대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16호
걸 말이야. 미래에 언젠가는 다시 빙기가 시작되겠지만 그 때까지의 과정이 더 중요한
문제
라는 생각이 들어. 온난화로 인해 지금껏 겪어 보지 못한 극한 이상 기후를 경험하게 될지도 모르니까. 그러니 꼭 기억해야 해. 결국 기후에 영향을 주는 것도, 영향을 받는 것도 지구에 살고 있는 우리라는 걸 ... ...
포장이 과학을 만났을 때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13호
도대체 과자 봉지가 무슨 임무를 수행했다는 거냐고? 무슨 그런 섭섭한 말씀을! 내가
문제
하나를 낼 테니 다음 설명에서 말하는 ‘이것’이 무엇인지 맞춰 보렴. 그 속에 진짜 내 모습이 있어.❶이것이 없다면 신선한 우유를 마시러 농장까지 직접 가야 할지도 몰라. ❷이것이 없다면 어제 산 ... ...
꽃매미를 추적하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13호
꽃매미 때문에 나무가 말라 죽는다?2004년부터 갑자기 등장한 꽃매미의 가장 큰
문제
점은 식물에 피해를 입힌다는 것이다. 꽃매미가 가장 좋아하는 식물은 가죽나무와 포도나무. 꽃매미는 이들 나무의 줄기에 침을 꽂아 즙을 빨아먹는데, 꽃매미에게 즙을 빼앗긴 나무들은 서서히 마르게 된다. 또한 ... ...
1969 vs 2020 달을 향해 쏴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13호
우리 기술로 만들어 낸 것입니다. 하지만 달에 탐사선을 보내기 위해서는 해결해야 할
문제
가 아직 많습니다. 탐사선을 지구 궤도로 쏘아 올릴 발사체와 지구 궤도에서 달 궤도까지 탐사선을 보낼 우주 추진 시스템, 달에 착륙하는 기술 등 다양한 기술이 필요하지요.이렇게 어려운 과정을 거쳐 달에 ... ...
나무 연구가 한자리에! 국립산림과학원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13호
점이지요. 하지만 산림과학원에서 새로운 목조 건축 기술을 연구하고 있다니, 이
문제
도 해결될 날이 멀지 않은 것 같사옵니다.”“게다가 목재는 다른 재료보다 탄소배출량이 적기 때문에 기후변화도 막을 수 있사옵니다. 어떠신지요? 튼튼하고 재주 많고 환경에도 좋은 나무야말로 여왕님의 집에 ... ...
Part 4. 남녀의 수학차이 사라져
수학동아
l
2009년 12호
누구나 집중력을 가지고 자신있게 공부하면 수학을 잘 할 수 있어요. 먼저 쉬운
문제
를 풀면서 수학과 친해지세요. 재밌으면 잘 하게 되고 잘 하면 계속 공부하고 싶어진답니다. 그러면 수학도 여러분 삶에 좋은 친구가 될 거예요 ... ...
[수학 통조림] 단위를 요리하라!
수학동아
l
2009년 12호
잊는 학생들을 위해 이 관계식을 넓이단위 사이의 함수관계 그림으로 바꿔 기억해 보자.
문제
풀 때 도움이 될 것이다. 교과서에서는 ‘들이’를 따로 정의하지 않고 단위만 설명했다. 그래서 들이랑 부피를 혼동하기도 하는데,‘들이’의 뜻은 ‘들어가는 양’이다. 교과서의 ‘안치수’라는 ... ...
[인터뷰] 333법칙으로 공신이 되자!
수학동아
l
2009년 12호
풀 수 있는 실력의 최상위권이라면 소화할 수 있는 범위까지 계속 선행을 해도 별다른
문제
가 없다고 저는 생각합니다.”수학공부법에 대한 이야기를 듣고 나니 수학을 좀 더 재미있게 공부할 수 있는 방법이 궁금해졌다.“공부한 내용이 우리 실생활에서 어디에 쓰이고 있는지 생각해 보는 겁니다. ... ...
이전
692
693
694
695
696
697
698
699
70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