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분량
수량
액수
부피
강도
정량
수
d라이브러리
"
양
"(으)로 총 6,999건 검색되었습니다.
'핵의 겨울'은 영하 25도
과학동아
l
1986년 05호
라 일컬어 지던 열대지방에서도 그 많은 부분이 사멸되어 버렸으며 그만큼 생명의 다
양
성은 잃어버려졌다. 해안 연안의 생물생태계는 조금씩 식물연쇄의 체제를 갖추어 갈것이다. 그러나 방사능 오염은 해소되지 않는다. 곡물생산에 있어서는 곡물 그자체의 능력은 상당히 회복 되겠으나 관개, ... ...
해
양
에너지 인류의 도전을 기다리는 미래에너지
과학동아
l
1986년 05호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이며 새로운 에너지 파동에 대한 대비책도 될 수 있을 것이다.해
양
에너지의 존재가 아직은 그리 두드러지지 않을지 모른다. 그러나 부존량이 막대한 만큼 미래의 에너지 자원으로서 큰 몫을 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대한 조사·연구가 꾸준히 이루어져야 하겠다 ... ...
음성인식시스템 말을 알아 듣는 컴퓨터가 나온다
과학동아
l
1986년 05호
때문이다. 여러사람의 음성을 인식하는 시스템에서는 격리어휘의 경우에도 적은
양
의 단어밖에 인식할수 없는데 그것도 이 인식시스템을 사용하려는 집단의 구성원에 맞도록 통계적인 훈련과정을 거쳐야만 가능하다.여러사람의 음성을 정확하게 인식하려면 제한되 인식어휘를 선택해야 하며 그 ... ...
레이저 핵융합
과학동아
l
1986년 04호
장애가 된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그러나 레이저를 이용한 핵융합이 인류에게 새로운 태
양
을 선사해 줄지도 모르는 미래기술이라는데 이견은 없는 것같다 ... ...
바다밑을 정복한다 만능의 잠수로보트
과학동아
l
1986년 04호
개발한 자동원격조정잠수함(ARCS)이라는 로보트는 얼음이 뒤덮인 대
양
아래에서 일할수 있도록 설계됐고 현재 실험중에 있는데 이것은 니켈-카드늄바테리로 동력을 공급받고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의해 사전지시를 받는다. ARCS는 약 4백m해저까지 잠수할수 있으며 5노트의 속도에 잠수시간은 1 ... ...
마이크로 칩속에서 진행되는 보이지 않는 폭격기의 개발-STEALTH
과학동아
l
1986년 04호
진로를 방해하지만 비행기는 최고의 경계태세로 이미 10시간을 비행 중이다. 태평
양
의 소련 잠수함이 쏘아올린 저탄도 미사일이 기지를 파괴하기 전에 편대의 절반이 2만 피트로 날아오른다. 같은 미사일이 캐나다 국경 북쪽 고공에서 공중폭발하여 3대의 스텔드를 더 격추시킨다. 나머지 4대의 ... ...
민물고기로 수질을 판정한다.
과학동아
l
1986년 04호
1cc당 10만 이하고 부착 조류는 다
양
하다. 담수해면, 소형 갑각류, 곤충, 어류 등 동물도 다
양
하다.강부수성(强腐水性)용존 산소는 전연 없거나 미량이고 BOD는 10ppm이상이다. 황화수소의 강렬한 냄새가 나고 해감은 흑색이다.박테리아는 1cc당 1백만 이상이고 수초는 나지 못한다. 어류는 살지 못하고 ... ...
간질환에서 해방되자
과학동아
l
1986년 04호
않는 것이 질환의 악화를 의미하는 것도 아니다.40~50대 남자에게 많은 간암간의 악성종
양
의 대부분은 원발성 간암이다. 위암이나 다른 장소의 암이 간에 전파되었다면 이를 간암으로 부르지 않는다. 꼭 불러야 될 경우 전이성 간암이라고 부른다.간암의 원인이 되는 암유발인자는 여러가지가 많이 ... ...
계산기에서 생각하고 느끼는 기계로
과학동아
l
1986년 04호
그림3과 같은 그림표에서 주어진 구간 내에 근이 존재하는지에 대한 판단은 구간의
양
끝에서 계산한 y값의 부호가 서로 다른가를 확인함으로써 성취한다는 말이다. 근의 존재 여부 판정은 할 수 있게 되었으니 이제 구간을 좁혀가는 방식을 생각해보자. 주어진 구간을 반으로 나누면 어떨까? 나뉜 ... ...
핵은 격렬한 분화구
과학동아
l
1986년 04호
이룬다. 이론적으로는 태
양
에 가장 가까울 때 꼬리가 최고로 발달해야 하나 실제로는 태
양
을 지나 지구에 두번째 접근할 4월초순경이 꼬리가 가장 길어진다. 4월11일을 전후한 시기야말로 핼리혜성을 관측하는 최적의 조건을 갖추고 있다고 할 수 있다.IHW측이 제공한 최근의 데이타에 의하면 당초 ... ...
이전
691
692
693
694
695
696
697
698
69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