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표
연설
공고
강연
웅변
스피치
표명
d라이브러리
"
발표
"(으)로 총 10,165건 검색되었습니다.
1. 우주 최대 난제 암흑에너지
과학동아
l
2007년 01호
암흑에너지가 90억년 전부터 이미 중력에 반발하는 척력으로 작용해왔다는 사실을
발표
했다. 이 결과는 ‘천체물리학저널’에 게재될 예정이다. 즉 오래 전부터 암흑에너지가 중력과 ‘줄다리기’를 해왔다는 뜻이다. 연구팀은 50~60억년 전 암흑에너지의 반발력이 물질끼리 잡아당기는 중력을 ... ...
2. 부모 얼굴, 골라 닮을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07년 01호
쪽 가깝게 팔다리가 만들어진다는 연구 결과를 지난해 11월 미국 국립과학원회보(PNAS)에
발표
했다.개에 대한 연구도 있다. KAIST 생명과학과 박찬규 교수팀은 개의 뒷발에 1~2개 정도 생겨나는 덧발톱이 16번 염색체에 위치하는 LMBR1 유전자와 관련있다는 사실을 밝혔다. 이 연구는 2004년 ‘제노믹스’ ... ...
4. 나는 꽃미남이 좋아요
과학동아
l
2007년 01호
많이 보다가 여성의 얼굴을 보게 되면 그 얼굴이 더욱 여성적으로 보인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
했다. 일종의 잔여효과(aftereffect)가 생긴다는 말이다. 홍일점이 더 예뻐 보이고 청일점이 더 멋져 보일 수 있는 근거가 여기에 있다.어쩌면 군대에서 여자는 모두 예뻐 보이고 여학교의 총각 선생님이 ... ...
괴짜들이 만났다!
과학동아
l
2007년 01호
첫 인연이었다. 그러다가 미취 교수의 실험실을 방문해 같이 연구하고 논문을
발표
할 기회가 있었고, 그 인연으로 생태공학은 강 교수의 평생 ‘업’이 됐다. 미취 교수는 현재 미국 오하이오주립대 교수로 있으면서 ‘생태공학’이라는 학술지를 만들어 운영하고 있다.요즘 강 교수가 관심을 갖고 ... ...
마빡이는 엄살?
과학동아
l
2007년 01호
운동을 중단하거나 강도를 줄이도록 명령한다는 사실을 2004년 ‘뉴사이언티스트’에
발표
했다. 이 연구결과는 장거리 육상선수나 사이클 선수가 지치는 이유는 근육의 피로 때문이라기보다 근육의 혹사를 막기 위한 뇌의 작용이라는 사실을 말해 준다.마빡이가 힘들어 뒹구는 것은 근육의 ... ...
우리 다시 볼 수 없을 지도 몰라 - 한반도 멸종 위기 동물들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23호
힘을 내야겠다는 생각이 들어. 1993년 12월 29일은 생물종다양성보존협약을 지키기로
발표
한 날이야. 이 날을 기념해 매년 12월 29일을‘생물종 다양성 보존의 날’로 정했단다. 생물종 다양성 보존이란 다양한 유전자와 다양한 생물, 다양한 생태계라는 세 가지 생명의 원천을 보존하자는 의미야. ... ...
안형준 기자의 한국 최초 우주인 도전기Ⅲ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21호
“야호! 우주인을 향한 꿈에 한걸음 다가섰어!”한국 최초 우주인 1차 선발과정 합격증을 받고 나도 모르게 큰 소리로 외쳤어요. 마치 강민이 우주비행사 ... 꿈! 이번 시험을 통과해 30명의 후보 중 한 사람이 될 수 있을까요?(합격자는 10월 27일에
발표
했지만 편집 사정으로 싣지 못합니다. ... ...
2 놀라운 세상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19호
진화에 대한이론을
발표
했어요. 또한 다윈은 30쪽 분량의 논문으로 종의 기원에 대해
발표
하려던 계획을 바꿔 월리스의 논문보다 더 많은 자료와 증거가 있는 책을 출판하기로 마음먹게 됩니다. 결국 라이벌 월리스 덕에‘종의 기원’이라는 다윈의 위대한 책이 세상에 나오게 된 것이죠. 친구들도 ... ...
두근두근 화성 여행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12호
NASA)은 1996년 화성에서 날아온 운석에서 세균의 흔적으로 보이는 화석이 발견됐다고
발표
해 세계를 깜짝 놀라게 했다.유럽우주기구의 장 피에르 비브링 박사는“화성은 46억~40억 년 전에는 표면이 축축했고 기후도 생명체가살수있을 정도로 온화했으나 40억년전쯤 시작된 화산 활동 탓에 모진 ... ...
매미 날개는 나노 도장
과학동아
l
2006년 12호
거푸집으로 나노 기둥을 찍어냈다고 나노기술 분야 학술지‘스몰’10월 6일자에
발표
했다.매미 날개 표면에는 아래쪽 지름이 150nm(나노미터, 1nm=10억분의 1m), 위쪽은 80nm로 점점 가늘어지는 높이 400nm의 무수히 많은 나노 기둥이 촘촘히 붙어 있다.연구진은 우선 날개에서 이물질을 제거한 뒤 열을 가해 ... ...
이전
691
692
693
694
695
696
697
698
69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