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다음"(으)로 총 8,957건 검색되었습니다.
- 물리 - 구리판 위 자석의 공중묘기과학동아 l1995년 05호
- 9V 건전지 2개, 전선, 작은 네오디뮴자석실험 1구리판을 배 모양으로 만들어 물에 띄운 다음 자석을 가까이 접근시킵니다.(그림 1)과 같이 구리판에 자석의 N극을 접근시켜봅니다. 자석이 가까이 접근하는 순간 자기장의 방향을 막으려는 방향으로 유도전류가 생깁니다. 그래서 자석과 반대 방향의 ... ...
- 사냥명수 카멜레온의 눈은 고배율 렌즈과학동아 l1995년 05호
- 같은 크기로 환산하여 비교하면 카멜레온의 배율은 척추동물 중에서 가장 크고 다음으로 큰 것이 인간으로 카멜레온의 약 97%에 상당했다고 한다.카멜레온의 눈 자체는 작은데 큰 배율을 가진 것은 렌즈가 인간과 같은 볼록렌즈가 아니고 오목렌즈이기 때문이다. 굴곡률이 큰 망막에 상이 균일하게 ... ...
- 과학고 1회·과기대 1회·박사 1호 정근창박사과학동아 l1995년 05호
- 싶어요."과학고 출신 1호 박사로 '평범하게' 고속질주를 한 정근창 박사는 후배들에게 다음과 같은 말을 남겼다. "공부하는 분야를 제한하지 말았으면 해요. 자기 전공이다 아니다를 가르지 말고 흥미있는 현상이 있으면 자기의 지식체계로 정리하는 습관이 필요해요 그런 사람만이 아이디어를 ... ...
- 1. 초보자도 손쉽게 사용할 수 있다과학동아 l1995년 05호
- 프로그램들을 호출하면 되는 것이다. 이것이 또하나의 인간적인 변화이다. 그림 다음에 등장할 운영체제는키보드 없는 컴퓨터가 거리를 배회하고 있다. 아직 맹아에 지나지 않지만 구이 방식의 새로운 형태이다. 백화점이나 지하철역에는 컴퓨터 화면을 손가락으로 건드리기만 하면 반응하는 ... ...
- 우주론이 흔들리고 있다과학동아 l1995년 05호
- 비법을 발전시키고 있다. 그리하면 앞의 반론을 극복할 수 있다고 말한다. 프리막은 다음과 같이 지적했다. 최근 일본의 뉴트리노(중성미자) 망원경은 질량을 가지고 있으며, 그래서 잃어버린 질량의 어느 정도는 설명해줄 수 있다는 '훌륭한 단서들'을 제공했다는 것이다. '오메가=1'을 만들기 위한 ... ...
- 우주신비 해결의 열쇠 리만 기하학과학동아 l1995년 05호
- 유클리드 기하학을 내포하는 광대한 구상이라 할 수 있다. 알기 쉽게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이들은 곡률이 모두 일정한 경우이지만, 보다 일반화하며 곡률이 일정치 않은 공간, 이를테면 보통의 지도처럼 산과 바다, 그리고 평야를 포함하는 공간을 대상으로 할 수 있다. 실제 공간은 훨씬 복잡하며, ... ...
- 바닷물로 담수 만들기 첨단기술 6가지과학동아 l1995년 04호
- 가장 많이 채택되고 있다. 현재 설치돼 있는 단위설비당 최대용량은 4만5천${M}^{3}$/일이다.다음으로 증기 압축 증발법은 기체를 단열 압축하면 기체의 압력과 같이 온도도 상승해 높은 온도에서 응축하는 원리를 이용하는 것이다. 이때 공급해수를 가열하는 데 별도로 증기를 공급받는 것이 아니라 ... ...
- 선·평면·입체 외 또다른 차원과학동아 l1995년 04호
- 코흐의 곡선은 주어진 선분을 3등분했을 때 4개의 자기상사 도형이 생겼으므로 그차원은 다음과 같이 된다.d=$\frac{log4}{log3}$, 약 1.2618……(공식 $\frac{logb}{loga}$에 a=3, b=4 대입)즉 코흐 곡선의 차원은 1.2618……이다. 그것은 평면이나 입방체의 2,3이라는 정수차원과 다른 소수(fracti ...
- 3 '게놈 산업' 성패, 기술혁신에 달렸다과학동아 l1995년 04호
- 걷기법은 기존에 알고 있는 염기서열을 이용하여 프라이머를 합성한 후 이로부터 그 다음의 알려지지 않은 염기서열을 결정하는 방법이다. 그러나 이 방법은 매번 새로운 프라이머를 합성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대신 헥사머군으로부터 효율적인 염기 18개짜리 프라이머를 형성하는 기법이 ... ...
- 남반구 밤하늘 환상여행과학동아 l1995년 04호
- 1주일간 촬영한 것들이다. 첫 여행이기 때문에 부족한 점도 많았고 아쉬운 점도 많았지만 다음 원정을 위한 작은 시작으로 이해해 주었으면 한다.남반구에서 별을 관측할 때 가장 주의해야 할 점은 하늘의 남극 위치를 확인하는 것이다. 북반구에서는 북극성이 별을 찾는 기준이 되지만 남반구에서는 ... ...
이전68969069169269369469569669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