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차이점
종차
d라이브러리
"
다른점
"(으)로 총 8,310건 검색되었습니다.
1. '공룡 IBM' 쓰러뜨린 개미군단 다운사이징
과학동아
l
1993년 09호
개인용 컴퓨터 같은 소형 기종에 의한 분산처리환경인 다운사이징은 90년대 컴퓨터 환경의 새로운 조류를 형성하고 있다.공룡은 왜 지구상에서 사라졌을까? 공룡 멸종의 원인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가설이 있지만 일반적으로는 쥐라기 이후 운석의 충돌로 닥쳐온 '핵겨울'을 견디지 못했기 때문이 ... ...
재료공학계의 새바람 폴리머 시트 탄생
과학동아
l
1993년 08호
적혈구 막에 포함된 프로틴 겔 등도 2차원 폴리머 구조를 갖고 있다. 이 겔은 세포 골격에 유연성을 주고 형태 전환에 영향을 준다. 폴리머(polymer)화학이 새시대에 들어섰다. 지금까지 폴리머라 하면 동일구조의 분자, 즉 모노머(monomer)가 상호결합하여 1차원 사슬을 형성하는 것이었지만, 이번에 ... ...
개항 한세기─시대별로 본 한반도의 대표적 귀화식물들
과학동아
l
1993년 08호
대개의 귀화식물은 자연이 심하게 파괴된 곳에 나는 것이 보통이나 어떤 식물은 숲 속 깊숙한 곳까지 파고들고 있어 우리 식생에 큰 변화를 가져오지 않을까 염려된다.우리들 주변에는 행운을 가져다 준다는 네잎클로버로 잘 알려진 토끼풀을 비롯해 망초 개망초 달맞이꽃 등 귀화식물들이 여러 경 ... ...
화석속의 DNA추출, 1억년전 공룡 되살릴 수 있나
과학동아
l
1993년 08호
중생대의 공룡을 현대 유전공학으로 되살린 공상과학영화 쥐라기 공원이 화제다. 고대 호박속에 갇힌 곤충의 뱃속에서 공룡의 DNA를 추출, 현대에 공룡을 되살린다는 소설과 영화의 구상은 과연 어디까지 '과학적'인 것일까.살아 움직이는 것이면 닥치는 대로 물어뜯고 잡아먹는 거대한 공룡 티라노 ... ...
금세기 최대의 유성우 페르세우스
과학동아
l
1993년 08호
1백35년만에 지구를 방문한 스위프트-터털 혜성이 남기고 간 화려한 별똥들의 축제를 감상한 후 여름의 대삼각형에 숨겨진 아름다운 성운들을 찾아보자.한낮의 찌는듯한 더위로 유명한 8월의 밤하늘은 낮과는 대조적으로 아마추어 천문가들에게 기장 친절히 자신의 모습을 볼 기회를 제공해준다.대 ... ...
1. 한글·영문 글자꼴 어떤 종류가 있나
과학동아
l
1993년 08호
미려한 문서를 만들기 위해서는 레이아웃도 중요하지만 무엇보다 글자꼴 하나하나가 균형과 아름다움을 가져야 하기 때문에 폰트에 대한 관심이 높아져 가고 있다.많은 사람이 폰트에 관심을 갖게 된 것은 아마도 '한글'이라는 인기있는 워드프로세서 때문인 것 같다. 한글이 등장하기 전만 해도 ... ...
물리- 분자운동 활발할수록 물체는 뜨겁다
과학동아
l
1993년 08호
모든 물체에 온도가 있다는 것은 모든 물체를 만드는 분자들이 끊임없이 운동하고 있다는 이야기다. 이 운동이 전혀 없을 때의 온도가 바로 절대온도 0도가 된다.우리 주위 물체들은 어떤 것은 뜨겁고 어떤 것은 차갑다. 이 뜨겁고 찬 정도를 우리는 온도로 정확히 표현할 수 있다. 그러면 어떤 것이 ... ...
침강된 지각 용암형태로 재분출한다
과학동아
l
1993년 08호
지각은 깊이 침강하여 용암의 플룸에서 솟아오르며, 이 순환이 완성되는 데는 수백만년이 걸린다.지구물리학자들은 최근 지구 내부 열기관의 메커니즘을 이해하는데 있어 두드러진 진전을 보였다. 근착 '뉴욕 타임스'에 따르면 지구물리학자들은 지난 수개월을 거치면서 해저를 구성하는 거대한 ... ...
우주의 나이 어떻게 재나
과학동아
l
1993년 08호
구상성단에는 질량이 다른 수십만개의 별들이 존재한다. 이들의 진화단계를 정확히 관측함으로써 우주의 나이를 측정할 수 있다.1920년대 말, 재미없는 법률가의 길을 포기하고 천문학자가 된 허블(Hubble)은 그 당시는 세계 최대인 미국 월슨산 천문대의 지름 2.5m 망원경으로 외부 은하들을 관측했다. ... ...
시조새는 날았을까 걸었을까
과학동아
l
1993년 08호
시조새의 가슴뼈에는 날개를 움직이는 근육, 즉 용골돌기가 붙어 있다. 더불어 새와 같은 것은 깃털이 있다는 점이다.새들이 척추동물 가운데서 매우 높은 위치에 있는 것은 그들의 탁월한 비행 능력 때문이다. 이러한 뛰어난 능력은 오랜 세월동안 지속적인 발전의 결과다. 높이 재빠르게 나는 새 ... ...
이전
688
689
690
691
692
693
694
695
69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