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기자"(으)로 총 18,994건 검색되었습니다.
- 나도 스토리 어드벤처 게임 디자이너수학동아 l2019년 02호
- 1월 10일~11일 열린 게임카페에서 주인공 캐릭터를 조종해 마을과 필드, 던전을 돌아다니며 단서를 얻고, 원하는 아이템을 찾아 임무를 완수하는 ‘스토리 어드벤처’ 게임을 직접 만들어 봤습니다. 게임카페 참가자들은 각자 상상한 이야기로 게임을 디자인하고 프로그래밍했지요. 지금 바로 그 ... ...
- [큐레이터조의 수학미술관] 일상용품을 예술 작품으로~ 마르셀 뒤샹의 ‘샘’수학동아 l2019년 02호
- 100년 전만 해도 예술이란 예술가의 손을 거쳐 만들어야 한다는 암묵적인 법칙이 있었습니다. 그러던 어느 날, 예술은 대상을 만드는 게 아니라 개념을 만드는 것이라고 주장하는 사람이 등장합니다. “예술적이지 않은 작품을 만들 수 있을까?” 시중에 파는 변기통을 두고 예술이라 말하는 ... ...
- Part 2. 특징 - 뇌가 크면 인간일까?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2호
- 침팬지가 인간으로 진화하지 않았다는 점, 이젠 알겠지? 그런데 저 많은 고인류가 가진 인류의 특징은 뭘까? 찰스 다윈은 인간의 대표적인 특징으로 ‘큰 두뇌와 작은 치아, 직립보행, 도구의 사용’을 꼽았지. 이것들이 정말 인류만의 특징일까? 두뇌가 크면 인간? 20세기 초, 고인류학자들은 인 ... ...
- Part 5. 인류의 진화는 지금도 진행 중!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2호
- 그러면 이제 인류의 진화는 다 끝난 걸까? 현생 인류 한 종만 남았으니 인류의 진화도 끝난 것 아니냐고? 놀라지 마. 인류의 진화는 지금도 일어나고 있어. 그 증거가 바로 앞에 있지. 바로 네 손목에! 손바닥이 하늘로 향하도록 손을 들어보세요. 그리고 엄지와 새끼손가락을 붙이면, 손목 중간에 ... ...
- Intro. 초보 집사의 유기동물 보고서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2호
- 중이에요. 이런 사하라도 제때 발견되지 못했다면 겨울을 견디기 어려웠겠지요. 기자는 궁금했어요. 다른 길거리 동물들은 어떻게 살까요? Intro. 초보 집사의 유기동물 보고서Part 1. 이슈! 인간이 책임 못 진 동물 지도Part 2. 반려동물 버리면 다른 동물도 위험해Part 3. 대안은? 버리지도 말고, ... ...
- Part 2. 반려동물 버리면 다른 동물도 위험해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2호
- 당하지요. 2016년 서울시가 포획한 115마리 중 63마리가 이렇게 생을 마감했어요. 12월 21일, 기자는 서울 ‘백사마을’을 찾았어요. 낡은 집이 수십 개 보이는 비탈을 올라 마을과 산이 맞닿는 지점까지 갔지요. 한국성서대학교 김성호 교수는 “산속 유기견이 추석이 지나며 2마리에서 5마리로 ... ...
- [엉뚱발랄 생각실험실] 컴퓨터 프로그램은 생각할 수 있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2호
- 새해에도 잊지 않고 생각실험실을 찾아 주신 여러분, 반갑습니다. 오늘은 제가 개발한 채팅 프로그램 ‘심심한 튜링’에 대한 이야길 할 거예요. 줄여서 ‘심튜’라고 하죠. 심튜는 사람처럼 대화할 수 있어요. 심튜를 써본 사람들은 사람과 대화를 나누는 건지, 채팅 프로그램과 대화하는 건지 분 ... ...
- [식물 속 동물 찾기] 잎조각이 토끼의 꼬리를 닮았나? 돌토끼 고사리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2호
- 양치식물은 꽃을 피우지 않아도 번식할 수 있는 식물 중 큰 잎을 만드는 식물이에요. 우리나라에서 자라는 양치식물 중 78%가 제주도에 살지요(2010년 기준). 이번에 소개할 양치식물 ‘돌토끼고사리’도 제주도에 주로 살아요. 여러 해를 사는 여러해살이풀이며 겨울에도 시들지 않고 초록색을 유 ... ...
- [과학뉴스] ISS로 간 식중독균, 우주 생활 적응 중과학동아 l2019년 02호
- 미세중력, 우주방사선 노출, 밀폐된 공간 등 지상과는 다른 특수한 환경을 갖춘 국제우주정거장(ISS·사진)에서 미생물은 어떤 변화를 겪을까. 에리카 하트만 미국 노스웨스턴대 도시환경공학부 교수팀은 식중독을 일으키는 황색포도상구균과 바실러스 세레우스균이 ISS에서 어떤 유전적 변화를 겪 ... ...
- [과학뉴스] 우주에서 ‘당’ 만들어진다?과학동아 l2019년 02호
- 미셸 누에보 미국항공우주국(NASA) 아베스연구센터 연구원팀은 우주 공간을 모방한 조건을 갖춘 실험실에서 DNA의 당 분자를 만드는 데 성공했다고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 2018년 12월 18일자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우주 환경을 모방하기 위해 물과 메탄올 분자를 절대영도(영하 273.15 ... ...
이전68868969069169269369469569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