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작은며느리
며느리
며누리
작은손녀
손녀
손주딸
작은아들
d라이브러리
"
작은
"(으)로 총 8,654건 검색되었습니다.
미래 자동차가 좇는 세마리 토끼
과학동아
l
1997년 12호
진입을 금지하는 대도시들이 늘어나고 있다. 교통전문가들은 머지않은 미래에 도심에는
작은
전기차만이 운행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주로 개인적 이동의 수단으로 2인승 정도의 초소형전기차(Ultra-small electric vehicle)가 도심의 주인공이 된다는 것이다. 이런 전기차들도 지능교통시스템에 따라 최고 ... ...
12월은 컴퓨터 구입 최적기
과학동아
l
1997년 12호
끌었다. 현재 양산 단계에 들어간 모빌리안은 한글 윈도95와 똑같이 사용할 수 있으며,
작은
키보드와 펜으로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고 내장된 28.8kbps 모뎀으로 PC통신도 할 수 있는 그야말로 휴대용PC다. 이에 뒤질새라 삼성전자는 지난 10월 한국전자전을 통해 `‘스마트폰’이라는 PDA를 발표했다. ... ...
마차를 발명한 아테네의 왕
과학동아
l
1997년 12호
나누어져 보인다. 성단 중앙에 9등급의 붉은 별이 튀어 보인다. 세 성단 가운데 가장
작은
M36은 9등급 이하의 60여개 별들로 이루어져 있다. M38에는 1백개의 어두운 별들이 흩어져 있다. 세 성단은 모두 2천7백광년에서 3천7백광년 정도 떨어져 있다.IC405는 눈으로는 잘 볼 수 없으나 사진으로는 쉽게 ... ...
1. 우주정거장의 어제와 오늘
과학동아
l
1997년 12호
(각각의 역할은 53쪽 참조).모듈 중에서 가장 큰 것은 크반트 2호로 지름이 약 4.35m다. 가장
작은
것은 운송용 우주선으로 약 2.7m 정도다. 중량은 미르 코어가 약 21t으로 가장 무겁고, 운송용 우주선이 약 7t으로 가장 가볍다. 프리로다를 제외한 8개의 모듈에서는 총 16개의 태양전지판을 이용해 약 40kw ... ...
만병의 근원 감기
과학동아
l
1997년 12호
따르면 세균에 의해 발생하는 감기는 20% 정도다. 바이러스는 크기가 1만분의 1mm 정도인
작은
유전자 조각으로 DNA와 단백질로 이뤄져 있다. 다른 생물의 몸을 빌어야 생명을 유지하기 때문에 바이러스는 가끔 생물인지 아닌지 논란이 일지만, 자기증식 능력을 가지고 있다는 점에서는 생물로 보기도 ... ...
화성운하의 진실
과학동아
l
1997년 11호
갈릴레이 등의 노력에 의해 지구도 다른 행성과 마찬가지로 태양 주위를 돌고 있는
작은
천체라는 사실을 알게 됐다.영국의 드론드가 굴절률이 다른 렌즈를 조합해 색수차가 없는 굴절망원경을 제작한 후부터 행성 표면의 모양에 대한 자세한 조사가 가능해졌다. 바티칸 천문대에 있던 세키는 ... ...
장애아들을 위한 과학놀이 한마당
과학동아
l
1997년 11호
드높은 가을 하늘 아래서 청각 장애아들을 위한
작은
잔치가 열렸다. 소리를 전혀 듣지 못하는 학생부터 어느 정도의 소리는 들을 수 있으나 청각이 정상이지 못한 다양한 학생들이 운동장에서 과학 놀이 한마당을 펼쳤다.올해로 제5회를 맞는 학생과학탐구올림픽대회는 일반대회를 마치고 축제 ... ...
노벨생리·의학상/프루시너
과학동아
l
1997년 11호
그는 동요하지 않고 연구를 계속 진행했다. 프리온은 어디에서 유래했을까. 처음에는
작은
바이러스처럼 외부로부터 유입된 것이 아닐까 추측했다. 그러나 1984년 프루시너는 프리온을 만드는 유전자가 사람을 포함한 모든 동물에 존재한다는 점을 알아냈다. 사람의 경우 20번 염색체에 이 유전자가 ... ...
1. 동물사회의 지도자 그 카리스마의 비결
과학동아
l
1997년 11호
절대적으로 부족해지면 촌장 코끼리는 이곳 저곳을 다니며 큰 나무를 쓰러뜨려 키
작은
코끼리들이 먹이를 얻을 수 있게 돕는다. 여러 어미들과 힘을 합쳐 마른 샘을 파서 깊은 곳에 남아 있는 물을 얻어내기도 한다. 그래도 물과 먹이가 부족하면, 다른 서식지를 찾아 먼 여행을 떠날 것을 결정해야 ... ...
외래 생물종 각축장 한반도
과학동아
l
1997년 11호
것이다. 그러나 그렇게 간단한 문제가 아니다. 이 미국 가재는 육식성이기 때문에 주변의
작은
생물들을 먹어치움으로써 생태계 질서를 혼란시킬 우려가 있다. 더욱이 이 가재가 어떤 경로로 유입됐는지 알지 못한다는 점이 문제다.소나무 멸종 위기자연 생태계에 다른 지역으로부터 새로운 ... ...
이전
687
688
689
690
691
692
693
694
69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