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한민국
코리아
korea
대한
남한
Korea
대한 민국
스페셜
"
한국
"(으)로 총 679건 검색되었습니다.
“바이오 전담 부처와 장관 있어야”
동아사이언스
l
2009.04.14
BT 특화선터 활성화 등을 제언했다. 또 BT 전문가들이 통일된 목소리를 내기 위해선
한국
바이오협회, KOREA 바이오경제포럼 등 다양한 BT 분야 단체들의 통합과 협력도 필요하다고 밝혔다. 기업 정부간 역할 분담이 강화하자 이날 포럼에서는 바이오산업 활성화를 위한 각계 전문가의 다양한 의견도 ... ...
“생명공학 산업화, 포스코·삼성같은 일류기업 나서야”
동아사이언스
l
2009.04.14
"페니실린 발견은 영국이 했지만 상용화에 성공한 것은 미국이다. 구연산을 팔던 화이자는 페니실린 대량 생산에 성공해 세계 1위 기업이 됐다. 화이자의 뒤에는 원자폭탄 개 ... LG생명과학 상무, 배은희 한나라당 국회의원, 브라이언 김 셀트리온 수석부사장, 이선복
한국
생물공학회장 ... ...
“생명과학은 창의성의 학문…융합형 인재 절실”
동아사이언스
l
2009.04.07
국가과학기술위원회 위원 2008~현재 국가과학기술위원회 산하 BT협의회 위원 2009~현재
한국
생물물리학회장 ※ 이 기획기사 시리즈는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와 공동으로 기획했습니다. ※ 이 기획기사 시리즈는 향후 생명공학정책 수립을 위한 연구자료로 활용됩니다. ※ 무단 전제, 재배포를 금지하며 ... ...
“융합형 뇌 연구는 시대의 흐름…대형 연구소 세워야”
동아사이언스
l
2009.03.25
의대 약리학교실 교수 2005년~현재 국제인간프론티어과학기구 본부이사 2008년~현재
한국
뇌연구원설립추진기획단장 ※ 이 기획기사 시리즈는 교육과학기술부와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의 지원을 받습니다. ※ 이 기획기사 시리즈는 미래 생명공학정책 설립을 위한 연구자료로 활용될 수 있습니다. ※ ... ...
“바이오기술 2012년까지 R&D 15%로 확대…”
동아사이언스
l
2009.03.16
바이오산업단지의 발전 방안에 대한 다양한 의견이 제시됐다. 첫 패널로 참석한 이상원
한국
보건산업진흥원 수석연구원은 “성공적인 클러스터가 되려면 먼저 앞선 핵심기술을 보유한 주체와 함께 사업화 능력이 뛰어난 기업, 클러스터간 네트워크를 유지하는 전문 지원조직이 필요하다”고 ... ...
“유전체 연구분야 국가위상 높여야…통합조정기관 설립 필수”
동아사이언스
l
2009.03.10
뛰어난 연구자들이 함께 모여 특화된 연구를 추진하는 시스템이 필요해요. 이 분야만은
한국
이 최고라고 인정받을 수 있는 분야를 키워야 하는 거죠.” 미국 샌디에이고에 있는 스크립스 연구소는 해양학이나 면역학에 특화됐다. 생물 전 분야가 아닌 특정 분야에 집중하면서 해당 분야에서 ... ...
1억원짜리 독성시험 760만원에 해결...“효과적 지원이 신약사업 키운다”
동아사이언스
l
2009.03.09
시스템 강화. ④임상시험 인프라 강화=국가 지원보다 민간의 CRO 능력을 높이도록 지원.
한국
·중국·일본 공동시험 인프라 구축 등 외국 전문인력 및 기업 연계. 임상 이행연구 강화. ※ 이 좌담회 시리즈는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와의 공동기획에 의해 취재, 보도되고 있습니다 ... ...
“‘내셔널 아젠다’ 집중하면
한국
BT 미래 밝아”
동아사이언스
l
2009.02.24
2006~2007 CJ(주) 부사장/바이오고문 2008.1~7 (사)
한국
공학교육인증원 행정부원장 2008.8~현재
한국
생명공학연구원 원장 ※ 이 기획기사 시리즈는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의 지원을 받습니다. ※ 이 기획기사 시리즈는 미래 생명공학정책 설립을 위한 연구자료로 활용될 수 있습니다. ※ 무단 전제, 재배포를 ... ...
현장의 목소리로 들어본
한국
생명공학의 미래
동아사이언스
l
2009.02.17
연재합니다. 이번 기획은 국내 생명과학자와 과학계 오피니언 리더의 목소리를 통해
한국
생명공학의 미래를 내다보고 발전 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습니다. 지금까지 정부의 정책 연구는 대부분 몇몇 전문가들의 소규모 자료조사를 통해 이뤄졌습니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정책연구 결과가 ... ...
이전
64
65
66
67
68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