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일도양단
양단
스페셜
"
일도
"(으)로 총 750건 검색되었습니다.
“사람에게 목적 맞춘 바이오 연구 필요해”
동아사이언스
l
2011.11.28
“사람에게 목적을 맞춘 바이오 연구가 활성화 될 때 진정한 미래성장동력이 될 수 있습니다.” 선경 고려대 의대 흉부외과 교수(54)는 올해 4월 국가과학기술위원회 생명복지전문위원회 위원을 맡았다. 스스로를 ‘칼잡이’로 소개한 그는 “국과위가 환자를 직접 진료하는 임상 의사를 위촉한 것 ... ...
“연구는 고정관념과의 전쟁”
동아사이언스
l
2011.11.07
2005년 노벨생리의학상 수상자 배리 마셜 서호주대 교수 “학자라면 연구자 스스로를 믿으며, 고정관념에 끊임없이 도전할 수 있어야 합니다.” 한국-호주 수교 50주년 기념으로 방한한 2005년 노벨생리의학상 수상자인 배리 마셜 서호주대 교수는 지난 3일 서울 중구 소공동 웨스틴조선 호텔에서 동 ... ...
“국내 신약개발, 사업화 역량만 키우면 승산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11.11.01
장종환 오송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신약개발지원센터장. 사진 제공 장종환.“마침 내일(27일)부터 기공식을 합니다. 의료산업을 전문으로 지원하는 ‘연구개발단지’를 만드는 일이지요. 신약개발센터에선 지금 직원 5명이 나와 사무운영을 맡고 있지만 2년 후 종합지원시설이 완공되면 200명의 전 ... ...
떠오르는 해양생명공학…세계적 수준 따라잡을 것
동아사이언스
l
2011.10.17
“전 세계에는 약 3만5000여 종의 생물이 있는데 그중 80%에 해당하는 2만8000여 종이 바다에 살고 있습니다. 미래에는 이를 활용하는 해양생명공학이 각광받을 것입니다.” 17일 정부과천청사에서 만난 박광열 국토해양부 해양환경정책관은 “해양의 경우 높은 생물다양성에 비해 연구가 미흡한 측면 ... ...
바이오분야 학계와 산업계간 소통 절실…생명공학 인력 DB확보로 해결할 것
동아사이언스
l
2011.09.05
개의 사업에 분배 조정하는 업무를 하고 있다. 이 과장은 “‘돈’을 다루는 부서여서 할
일도
많고 책임이 무겁다”고 말했다. 인제대 의대 교수를 역임한 그는 유전체와 관련한 생물정보학 분야 전문가다. 교수 시절 배추흰나비의 집단 폐사 원인이었던 과립병 바이러스 게놈을 해독해 나비 대량 ... ...
"발전 가능성 높은 바이오화학 분야 적극 육성해야"
동아사이언스
l
2011.08.02
“2000년대 바이오산업을 의약품 벤처가 주도했다면, 앞으로는 대규모 바이오화학 기업이 이끌어 나갈 겁니다. 정부가 의지를 갖고 투자한다면 20년 뒤에는 원유 대신 미생물로 만든 우리나라의 친환경 플라스틱이 세계 시장에 널리 퍼질 지도 모르죠.” 정준기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선임연구본부장 ... ...
한국 바이오 기업이 주목해야할 미국 바이오 분야의 특징들
동아사이언스
l
2011.07.20
현병환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장(왼쪽에서 세번째)은 좌담회가 열리기 전 보스턴의 한 한인식당에서 재미한인생명과학자협회(KASBP) 회원들과 만나 한국 바이오산업에 대한 환담을 나눴다. “한국에서 거의 듣지 못했던 ‘디벨로퍼(Developer)’가 가장 인상적이었습니다.” 현병환 생명공학정책연구 ... ...
“연구자 홀로서기 지원하는 박사후연구원 정책 필요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1.07.18
“박사후연구원을 위한 지원제도가 잘 갖춰져 있다면 젊은 박사들이 굳이 미국행을 택했을까요?” 지난달 30일 미국 보스턴생명과학센터에는 재미 한인 생명과학자 30여 명이 모였다. ‘뉴잉글랜드 지역 한인 생명과학협회(NEBS)’가 주관하는 월례세미나가 열리는 자리였다. NEBS는 하버드대, 예일대 ... ...
“한국 바이오에는 ‘디벨롭먼트(Development)’가 없다”
동아사이언스
l
2011.07.17
“한국 바이오의 문제는 연구와 개발을 구분하는 개념이 없다는 점입니다. 바이오가 진정 산업화를 이루려면 연구뿐만 아니라 또 하나의 전문 영역인 ‘디벨롭먼트(개발·Development)’가 강해야 합니다.” 한국 바이오가 산업화 단계에 들어서면서 최근 국내 제약회사들은 혁신신약 개발에 눈을 돌 ... ...
“연구성과 따른 장려금제도 등 재미과학자도 정부지원 필요”
동아사이언스
l
2011.07.15
“30대 재미(在美) 생명과학자에게도 한국 정부의 연구 지원이 필요합니다.” 지난달 30일(현지 시간) 미국 보스턴생명과학센터에서 ‘뉴잉글랜드 지역 한인 생명과학협회(NEBS)’가 주관하는 월례 세미나가 열렸다. 박상원 NEBS 28대 회장(사진)은 이날 “재미 생명과학자를 위한 한국 정부의 적극적인 ... ...
이전
64
65
66
67
68
69
70
71
7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