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직업
업무
사건
노동
작업
임무
일거리
스페셜
"
일
"(으)로 총 750건 검색되었습니다.
“사람에게 목적 맞춘 바이오 연구 필요해”
동아사이언스
l
2011.11.28
적용되는 부분을 ‘헬스테크(HT)’로 정의하려는 움직임에 대해 생명공학기술(BT)에서
일
부를 떼어낸다고 오해하는 분이 많아요. BT의 정의를 평면적으로만 생각했기 때문이죠.” 선 교수는 바이오 분야를 입체적으로 정의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BT에서 사람에게 적용되는 부분을 놓고 ... ...
“연구는 고정관념과의 전쟁”
동아사이언스
l
2011.11.07
이런 증상들도 사라지는 것을 발견하게 된 것이다. ● “위암 백신 곧 선보
일
것” 최근 마셜 교수는 헬리코박터 균을 통해 인종의 진화 추이와 위암 백신 개발 연구를 하고 있다. 그는 “한국을 비롯한 동아시아인과 아프리카인, 유럽인들의 헬리코박터균은 조금씩 다르다”며 “진화가 세균의 ... ...
“국내 신약개발, 사업화 역량만 키우면 승산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11.11.01
982 미국 피츠버그대학교 구조결정학 박사 - 1982 미국 아르곤국립연구소 연구원 - 1985 미국
일
리노이대 약학대학 겸임교수 - 1991 미국 듀폰제약사 단백질구조결정학연구그룹 책임자 - 2001 미국 브리스톨마이어스스퀴브사 단백질 구조결정학 및 분자설계연구그룹 책임자 - 2005 녹십자 최고기술책임자 ... ...
떠오르는 해양생명공학…세계적 수준 따라잡을 것
동아사이언스
l
2011.10.17
국장은 -1989년 경기대 행정학과 학사 -1997년 영국 웨
일
즈대 해양정책 석사 -1998년 영국 웨
일
즈대 국제교통학 석사 -2001년 해양수산부 행정사무관 서기관 -2007년 국토해양부 해양정책본부 해양정책팀장 -2008년 국토해양부 해양정책본부 해양개발팀장 -2011년~현재 국토해양부 해양환경정책관 ※ 이 ... ...
바이오분야 학계와 산업계간 소통 절실…생명공학 인력 DB확보로 해결할 것
동아사이언스
l
2011.09.05
개의 사업에 분배 조정하는 업무를 하고 있다. 이 과장은 “‘돈’을 다루는 부서여서 할
일
도 많고 책임이 무겁다”고 말했다. 인제대 의대 교수를 역임한 그는 유전체와 관련한 생물정보학 분야 전문가다. 교수 시절 배추흰나비의 집단 폐사 원인이었던 과립병 바이러스 게놈을 해독해 나비 대량 ... ...
"발전 가능성 높은 바이오화학 분야 적극 육성해야"
동아사이언스
l
2011.08.02
공대 생물공학 석사 -1989년~1993년 독
일
다름슈타트 공대 생물공학 박사 -1993년~1994년 독
일
다름슈타트 생화학연구소 연구원 -1995년~현재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책임연구원 -1999년~2001년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생물산업벤처창업지원단 기술운영 총괄 -2001년~2005년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바이오벤처센터장 -20 ... ...
한국 바이오 기업이 주목해야할 미국 바이오 분야의 특징들
동아사이언스
l
2011.07.20
미국 바이오기업 투자전문가인 김병수 박사도 여기에 동의했다. 김 박사는 “한국과
일
하면서 가장 바뀌었으면 하는 게 바로 그 점”이라며 “벤처를 창업하고 2년쯤 지난 시점에서는 전문경영인이 맡는 게 낫다”고 말했다. 좌담회를 주관한 현병환 센터장은 “미국의 한인 바이오 네트워크들이 ... ...
“연구자 홀로서기 지원하는 박사후연구원 정책 필요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1.07.18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와 유사한 취지의 지원제도는 프랑스, 이탈리아 등 유럽연합
일
부 국가도 운영하고 있다. 박 회장은 이들 나라처럼 학자 개인에 대한 연구지원이나 펠로십(장려금) 제도가 현실적으로 무리라면, 한인 단체에 대한 운영 지원이라도 마련돼야 한다고 말했다. 현재 NEBS는 몇몇 ... ...
“한국 바이오에는 ‘디벨롭먼트(Development)’가 없다”
동아사이언스
l
2011.07.17
M&A를 많이 했다. 그렇게 덩치를 키운 다음 본격적으로 미국 진출이 시작됐다. 그 당시
일
본을 보면서 한국도 지금 시기쯤이면 이런 추세를 따라가지 않을까 기대했지만 그렇지 않고 있다. 추측하기에 한국 기업은 소유주의 오너십이 강하고, 문화적인 장벽이 있어선지 M&A에 소극적인 것 같다. ... ...
“연구성과 따른 장려금제도 등 재미과학자도 정부지원 필요”
동아사이언스
l
2011.07.15
의대 계민정 박사의 마이크로RNA에 관한 학술발표로 이뤄졌다. NEBS는 하버드대, 예
일
대, 매사추세츠공대(MIT), 펜실베이니아대 등에서 활동하는 한인 생명과학자 단체로 회원은 500여 명이다. 대부분 30대 박사후연구원으로 한국 생명과학을 이끌어갈 ‘유망주’가 많다. 하버드대 의대 소속인 박 ... ...
이전
64
65
66
67
68
69
70
71
7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