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범위
분야
테두리
한계
범주
영토
지역
스페셜
"
영역
"(으)로 총 878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ㅣ똑똑한 사람의 뇌는 뭐가 다를까
2017.11.29
‘뇌가소성’, 즉 뇌는 쓰면 더 나아질 수 있다는 사실의 발견은 교육을 비롯해 많은
영역
에 큰 영향을 미쳤다. 아인슈타인의 뇌를 분석한 뒤 다이아몬드 교수는 쥐를 대상으로 한 실험에서 자극이 풍부한 환경에서 교세포가 증가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반면 나이가 든다고 증가하는 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약초 족도리풀, 알고 보니 독초?
2017.11.07
대다수는 타성에 젖어 주변에 정보가 널려 있어도 보려하지 않는다. 저자들은 많은
영역
에서 일반적인 소비자들은 ‘초보자’이며 따라서 능력(안목)을 지닌 사람 또는 조직이 사람들이 제대로 된 선택을 내릴 수 있게 ‘정황이나 맥락’을 만들어줘야 살기 좋은 사회가 되고 이게 곧 유익한 ... ...
할로윈과 유령의 과학
2017.10.30
감각, 감정 및 행동이 종합하는 곳으로서 영적, 종교적 경험의 원천이 되는 뇌의
영역
입니다. 퍼싱거는 동료 학자 스탠리 코렌과 개발한 코렌 헬멧을 활용했습니다. 이 헬멧은 머리의 측두엽 부분에 4개의 코일로 신호를 전달하는 블랙박스가 있어 컴퓨터에 연결됩니다. 코렌 헬멧을 직접 쓰고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객성과 신성과 초신성
2017.09.05
스펙트럼과 일치하면 두 백색왜성이 충돌하며 폭발한 초신성이고 파란빛과 자외선
영역
이 예상치보다 좀 더 많으면 동반성에서 물질을 받은 백색왜성이 폭발한 초신성이다. 미국 라스컴브레스천문대 등 미국과 덴마크의 공동연구자들은 지난 3월 10일 관측한, 지구에서 5500만 광년 떨어진 나선은하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섹스와 젠더의 과학
2017.08.29
했다는 것이다. 그 결과 이는 천재성은 남자의 특성이고 특정 학문이 천재들의
영역
이라는 사람들의 고정관념이 아이의 성장 과정에서 주입된 것이라는 결론을 얻었다. 즉 여섯 살만 돼도 여자아이는 남자아이에 비해 자기 성이 정말 똑똑할 수 있다는 생각을 하는 비율이 낮다고 한다. 그 결과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생쥐의 앞발이 손이 되지 못한 사연
2017.08.01
담당하는 신체부위를 따라 사람을 그린 그림을 본 적이 있을 텐데 얼굴과 손이 넓은
영역
을 차지한다. 섬세한 근육조절이 필요한 부위라서 많은 뉴런이 할당돼 있다는 말이다. 1차 운동피질의 뉴런은 중뇌와 연수를 거쳐 척수까지 이어지는데 이를 피질척수로(corticospinal tract)라고 부른다. 근육과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뇌는 이런 운동을 원한다
2017.07.18
이영표, 차두리 선두의 멋진 플레이가 그립다. 이들은 현역에서 은퇴한 뒤에도 다른
영역
에서 활발히 활동하고 있는데 특히 이영표 선수는 지난 2014년 브라질월드컵에서 ‘예언자’ 경지의 해설을 해 큰 화제가 되기도 했다. 지난달 한 TV 프로그램에서 이영표 선수가 강연자로 나섰다. ‘스포츠 ... ...
육아 로봇이 아이 떨어뜨리면 누구 책임일까?
동아사이언스
l
2017.07.09
AI판사, 어떤 분야에 금전적 투자를 할지 결정을 해주는 AI금융설계사 등 인공지능의
영역
이 확장하고 있는 상황에서 인공지능의 평가 오류 발생으로 인해 정확하지 않은 판단이 내려질 가능성을 걱정하는 것이다. 자동화된 시스템이 인간이 이해하기 어려운 추론을 거쳐 결론을 내려 법적 윤리적 ... ...
‘나 혼자 산다’ 미코 김사랑의 ‘묵언수행’이 어색한 이유는?
2017.07.05
뇌를 조사해보면 소리를 생성하는 하전두회와 함께 소리를 지각하는 상측두회(베르니케
영역
이 있다)의 활성도 높아 내면의 소리가 ‘생생하게’ 들리는 것이다. 실제 조현병(정신분열증)과 해리성정체감장애인 사람의 4분의 3과 외상후증후군인 사람의 절반, 양극성장애인 사람의 상당수가 환청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그 많은 양전자(반물질)는 다 어디서 왔을까
2017.06.27
못한다(태양 내부의 감마선이 빠져나오지 못하는 것과 비슷하다). 계산 결과 초신성
영역
을 빠져나오는 감마선은 1%에도 한참 못 미쳐 지구에서 관측되는 0.511MeV 감마선 피크에는 턱없이 모자란다. 일반 제1형 초신성(위)와 SN1991bg 유형 초신성(아래)의 동위원소 붕괴 과정을 비교한 그림이다. 일반 ... ...
이전
64
65
66
67
68
69
70
71
7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