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조사
공부
탐구
학습
학업
탐사
면학
스페셜
"
연구
"(으)로 총 835건 검색되었습니다.
“바이오 전담 부처와 장관 있어야”
동아사이언스
l
2013.04.30
“정책입안 현장에 BT 전문가가 없다. 현실을 반영한 정책이 나올리 만무하다. 사람이 없는 것이 아니다. 통일된 목소리가 없다.” 9일 포스텍에서 진행된 ‘제7회 생명공학정책
연구
... 이날 행사에는 BT 관계자 60여명이 참가해 다양한 의견을 교환했다. 사진 제공 생명공학정책
연구
센터 ... ...
“생명공학 산업화, 포스코·삼성같은 일류기업 나서야”
동아사이언스
l
2013.04.30
제안했다. 배은희 의원, "사업화 각 단계 전문가가 바이오 산업에 들어와야" BT분야
연구
자에서 바이오기업 CEO를 거쳐 현재는 정책 입안자로 활동하고 있는 배은희 의원은 바이오산업의 정의 자체가 명확하지 않은 것에서 문제가 비롯된다고 지적했다. 배 의원은 "이공계에서는 공대 빼고는 다 ... ...
“생명과학은 창의성의 학문…융합형 인재 절실”
동아사이언스
l
2013.04.30
공동으로 기획했습니다. ※ 이 기획기사 시리즈는 향후 생명공학정책 수립을 위한
연구
자료로 활용됩니다. ※ 무단 전제, 재배포를 금지하며 허가없이 타 사이트에 게재할 수 없습니다 ... ...
ETRI, 스마트TVㆍ방송장비 보고서 2종 발간
동아사이언스
l
2013.04.30
지원방안이 필요할 것으로 드러났다. ETRI 창의미래
연구
소 산업분석
연구
실 김성민 선임
연구
원은 “정부에서 원스톱 지원체계를 통한 체계화된 탑다운(Top-down) 방식의 수출지원 정책이 필요하고 업계 또한 자생적 협력을 통해 경쟁력이 강화될 수 있도록 바텀업(Bottom-up) 방식의 활성화 방안이 ... ...
“융합형 뇌
연구
는 시대의 흐름…대형
연구
소 세워야”
동아사이언스
l
2013.04.30
“5~6월에 부지를 선정해 늦어도 2012년에는 뇌
연구
원 문을 열 계획입니다. 독자적
연구
와 융합
연구
를 함께 진행하고 주요 대학
연구
소와 협력해 국내 뇌
연구
수준을 대폭 끌어올릴 것입니다. 여기서 창의적이고 융합적인
연구
인력을 길러내면 2040년 쯤에는 뇌
연구
원에서 노벨상 수상자도 나오지 ... ...
“바이오기술 2012년까지 R&D 15%로 확대…”
동아사이언스
l
2013.04.30
복지부는 최근 보건·환경 분야의 신성장 산업에 대한 투자 확대를 추진하고 있다. 국가
연구
개발(R&D)에서 보건 의료 분야 비중도 점점 높아지고 있다. 2005년 8.3%에 머물던 ... ▲포럼 종료 후 기념사진 촬영이 이뤄졌다. 7차 포럼은 4월 중 진행 될 예정이다. 사진 제공 생명공학정책
연구
센 ... ...
“유전체
연구
분야 국가위상 높여야…통합조정기관 설립 필수”
동아사이언스
l
2013.04.30
지원을 받습니다. ※ 이 기획기사 시리즈는 미래 생명공학정책 설립을 위한
연구
자료로 활용될 수 있습니다. ※ 무단 전제, 재배포를 금지하며 허가없이 타 사이트에 게재할 수 없습니다 ... ...
1억원짜리 독성시험 760만원에 해결...“효과적 지원이 신약사업 키운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4.30
▲ 5일 서울 서초구 서초동 생명공학정책
연구
센터 서울회의소에서 열린 좌담회에서 참석자들은 "대학,
연구
소에서 나온 기초
연구
결과를 신 ... 외국 전문인력 및 기업 연계. 임상 이행
연구
강화. ※ 이 좌담회 시리즈는 생명공학정책
연구
센터와의 공동기획에 의해 취재, 보도되고 있습니다 ... ...
“‘내셔널 아젠다’ 집중하면 한국 BT 미래 밝아”
동아사이언스
l
2013.04.30
지원을 받습니다. ※ 이 기획기사 시리즈는 미래 생명공학정책 설립을 위한
연구
자료로 활용될 수 있습니다. ※ 무단 전제, 재배포를 금지하며 허가없이 타 사이트에 게재할 수 없습니다. 이현경 동아사이언스 기자 uneasy75@donga.com 전승민 동아사이언스 기자 enhanced@dong ... ...
현장의 목소리로 들어본 한국 생명공학의 미래
동아사이언스
l
2013.04.30
김빛내리 교수입니다. 매월 만난 오피니언 리더의 인터뷰 내용은 모두 취합해 ‘정책
연구
성과’로 교육과학기술부에 제출됩니다. 이밖에 생명공학을 주제로 한 각종 좌담회를 열고 생명공학계에서 벌어지는 생생한 소식을 전달하는 등 생명과학의 미래를 여는 여론 수렴활동도 계속할 계획입니다. ... ...
이전
64
65
66
67
68
69
70
71
7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