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행길
대로
거리
길거리
번화가
한길
행로
뉴스
"
큰길
"(으)로 총 1,519건 검색되었습니다.
[사이언스N사피엔스] 헬레니즘 시대의 과학
동아사이언스
l
2019.08.23
이집트 알렉산드리아는 이집트 북부 알렉산드리아 주의 지중해에 면한 항구도시다. 고대 서구사회 전체를 통틀어 가장 위대한 인간 유산의 보고라 할 수 있는 알렉산드리아 도서관이 위치해 있다. 위키미디어 제공 헬레니즘 시대란 마케도니아의 알렉산드로스 대왕이 죽은 뒤(B.C. 323) 열리기 시작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마태 효과와 기생충: 과학자사회의 불평등
2019.08.14
비민주성: 과학계의 불평등(Undemoracy: inequalities in science), Yu Xie. 사이언스 제공 "과학은 점차 특권층의 전유물이 되고 있다. 과학적 사실을 기반으로 한 자체 수정 능력과 능력 본위의 내부 질서가 과학계 안팎의 불평등 심화로 흔들리고 있다” -셰 우(Yu Xie) 마태복음 25장 29절은 “무릇 있는 자 ... ...
최기영 과기장관 후보자 "기초과학 토대로 일본 수출규제 현안 풀어갈 것"
동아사이언스
l
2019.08.12
최기영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후보자는 국립과천과학관 어울림홀 3층에 마련된 인사청문회 준비 사무실로 첫번째 출근을 했다. 고재원 기자 jawon1212@donga.com 최기영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후보자는 12일 일본 화이트리스트 수출규제와 관련해 "일본 수출규제로 인해 과학기술의 중요성을 온 ... ...
[프리미엄 리포트] 무인잠수정 '해미래' 서태평양서 4000m심해 첫 도전
과학동아
l
2019.08.11
무인 잠수정 '해미래'가 월 15일부터 8월 12일까지 진행되는 장비 테스트를 위해 경남 거제시에 있는 한국해양과학기술원(KIOST) 남해연구소 인근 부둣가로 이동했다. K-OFFSHORE 서태평양 바닷속 저 아래 심해에는 어떤 생물이 살고 있을까. 한국의 무인 잠수정 ‘해미래’가 9월 서태평양 심해 4000m 깊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맛의 비밀 '침단백질'에 있다
2019.08.06
침 속 아밀라아제의 활성이 큰 사람들은 탄수화물이 풍부한 음식을 입에 넣고 씹는 순간부터 급격하게 녹말이 분해된다. 이는 음식이 더 맛있게 느껴지고 많이 먹는데 영향을 미친다. 게티이미지뱅크 초중고에서 대학까지 그 많은 수업을 들었음에도 특별히 기억에 남는 장면이 없다. 지적인 깨달 ... ...
겨울왕국 '엘사 아빠' 김상진 감독 "애니메이터에게 필요한 건 상상력과 지구력"
과학동아
l
2019.08.03
한국인 최초 월트디즈니애니메이션 스튜디오 수석 애니매이터로 일했던 김상진 감독을 만났다. 남윤중/AZA 제공 미국 영화제작사 디즈니의 흥행작인 '라푼젤', '겨울왕국', '모아나', '빅 히어로'에는 한 가지 공통점이 있다. 영화 속 매력적인 캐릭터가 한국인의 손을 거쳐 탄생했다는 사실이다.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맬서스의 학위공장, 그리고 과학기술인협회
2019.08.01
2011년 '네이'지에 '학위공장 PhD factory'이라는 제목의 보고서가 실렸다. 네이처 지면캡쳐 “과학자 라는 단어가 만들어지고서도 100년 가까이 과학 실천인들이 그렇게 불려지기를 거부했 던 이유는 과학 실천인들이 사회를 위하여 단순한 도구적인 존재를 넘어서는 지도적 역할을 할 수 있는 문화인이 ... ...
119가지 촉감 느끼는 '인공손'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7.26
왼팔이 없는 실험참가자가 유타대 연구팀이 개발한 의수 '루크 암'을 끼고 달걀을 옮기거나 포도알을 집거나, 휴대전화를 만지거나, 부인과 악수하는 모습. 루크 암은 사람이 힘을 조절하고 감각을 느끼는 신경계를 모방해 만들었다. 사이언스 로보틱스 제공 지금까지 개발됐던 것중에 가장 실제처 ... ...
인터스텔라의 꿈 실현할 '우주 돛단배' 떴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7.26
美연구팀 개발 ‘라이트세일2호’… 우주서 36㎡ 크기 돛 펼치기 성공 미세한 복사압으로 추력 얻어… ‘연료 없이 우주여행’에 한발 더 24일 720km 상공에서 행성협회의 우주 돛단배 ‘라이트세일2호’가 36㎡ 크기의 돛을 성공적으로 펼쳤다. 사진은 태양을 마주한 라이트세일2호의 상상도. 행성 ... ...
韓美 공동연구진, 커패시터 크기 확 줄이는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07.24
광주과학기술원(GIST)은 김봉중 신소재공학부 교수와 줄리아 그리어 미국 캘리포니아공대 재료과학과 교수 공동연구팀이 유전율을 공기 수준으로 낮춘 커패시터를 개발했다고 23일 밝혔다. GIST 제공 국내 연구팀이 전자회로에 들어가는 커패시터 크기를 확 줄일 수 있는 새로운 기술을 개발하는데 ... ...
이전
64
65
66
67
68
69
70
71
7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