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정확성
정밀성
뉴스
"
정교함
"(으)로 총 1,093건 검색되었습니다.
[별난 이름] 피자를 공평하게 나눠보자! '피자 정리'
수학동아
l
2018.09.26
즐거웠던 여름 방학이 끝나고 새로운 학기가 시작했습니다. 학교가 끝난 뒤, 절친과 피자를 먹으러 갔지요. 팔뚝만 한 대왕새우 위에 스위스 그뤼에르 마을을 통째로 옮겨온 듯 깊은 풍미의 치즈가 잔뜩 뿌려진 ‘피자헐’의 신 메뉴 ‘듬뿍 뿌린 치즈에 빠져 눈 깜짝할 새우 사라지는 피자’를요! ... ...
변비 환자의 예술혼
팝뉴스
l
2018.09.17
팝뉴스 제공 다름 아니라 화장실의 휴지다. 흔한 휴지인데 사진 속의 휴지는 하나의 예술 작품이 되었다. 머리카락까지 땋아서 한 소녀의 얼굴이 형상화되었다. 표현력이 정교하고 특히 눈동자와 주근깨가 인상적이다. 얼마나 오랜 시간 몰두해야 이런 작품이 나오는 것일까. 예술적 감각과 솜씨 ... ...
누르지 않아도 터치되는 ‘원격 햅틱’ 기술 시대 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9.17
초고도 초음파 이용해 촉감 구현… 가상현실 스포츠 기기 활용도 높아 英-獨, 자율주행차에 기술 적용 머리에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고글)를 끼자 눈앞에 가상의 피아노가 모습을 드러냈다. 책상에 놓인 초음파 발생장치 위 허공에 손을 올리자 손끝으로 짜릿한 압력이 전해졌다. 피아노 건반을 ... ...
5일마다 논문 1편 발표하는 과학자만 265명
동아사이언스
l
2018.09.13
GIB 제공 5일에 한 편 꼴로 논문을 발표하는 과학자가 전 세계적으로 265명이 넘는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12일(현지 시간) 국제학술지 네이처가 네덜란드의 엘스비어 출판사가 2004년에 만든 전 세계의 우수 학술논문 인용지수를 나타내는 데이터베이스인 스코푸스에 이름을 올린 학자들을 대 ... ...
로봇도 촉감 느낀다…자극감지 인공피부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8.09.12
KAIST 연구진은 로봇용 인공피부를 개발하고, 이를 의료용 영상기술과 결합해 촉각을 감지할 수 있도록 만들었다. 한국과학기술원 제공. 로봇이 사람보다 손재주가 떨어지는 까닭 중 하나는 ‘피부’가 없기 때문이다. 촉감을 느끼지 못하니 물건을 정교하게 조작할 때 실수가 발생할 가능성도 높아 ... ...
[강석기 과학카페] 한때 언어 유전자로 불렸던 FOXP2 이야기
2018.09.11
FOXP2를 발견했다고 발표했을 때 파라네 바르카 카뎀은 그 유전자를 언어 유전자나 문법 유전자로 부르는 것이 부정확하다고 생각했다. 그녀는 “FOXP2 유전자의 결정적인 결함은 말과 명료한 발음과 많은 관련을 가질 뿐, 언어의 더 복잡한 측면까지 설명해주지는 않습니다”라고 말했다. - 크리스틴 ... ...
‘플라스마 파도’ 만들어 입자 가속...소형 가속기 실험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18.09.07
유럽입자물리연구소(CERN)에 설치된 어웨이크(AWAKE) 실험장비. 금속 기체로 플라스마를 만든 뒤 일종의 파도를 일으켜 전자를 가속시킬 수 있다. 미래의 소형 가속기에 응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사진 제공 유럽입자물리연구소 삶은 달걀을 생각해 보자. 노른자가 덜 익은, 황금빛의 먹음직스 ... ...
우리 손으로 만든 첫 로켓, 내달 말 하늘로 솟구친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9.07
6일 전남 고흥군 나로우주센터에서 10월 말 발사될 시험발사체가 공개됐다. -사진 제공 윤신영 6일 오전 전남 고흥군 나로우주센터. 방진복을 착용하고 에어샤워를 한 뒤 발사체조립동에 들어섰다. 입구 좌우로 서로 다른 두 시간대의 풍경이 펼쳐졌다. 왼쪽에는 한 달여 앞으로 다가온 비행시험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약이 되는 독액 이야기
2018.09.04
중국 붉은 머리 지네 - 위키피디아 자료 용량이 독을 만든다. -파라켈수스 동물 진화에서 독액의 등장은 전환기적 사건이다. 독액은 먹는 자와 먹히는 자의 상호관계를 몸싸움에서 생화학전으로 바꾸었고 독액을 지닌 동물이 훨씬 큰 동물을 잡아먹거나 물리칠 수 있게 했다. - 만드 홀포드 외, ‘ ... ...
‘신의 입자’ 힉스 보존의 바닥쿼크 붕괴 확인...“표준모형
정교함
다시 증명”
동아사이언스
l
2018.08.29
광자 쌍 붕괴는 비교적 단순해 관측이 쉽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로 표준모형의
정교함
이 다시 한번 증명됐다고 주장했다. 칼 야콥스 아틀라스 대변인(대표)은 “이번 관측은 힉스 보존에 대한 탐구 역사에서 중요한 이정표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 ...
이전
64
65
66
67
68
69
70
71
7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