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연구실
실습실
연구소
시험소
시험실
시험장
실험장
뉴스
"
실험실
"(으)로 총 1,697건 검색되었습니다.
美 FDA, 코로나19 자가진단키트 첫 승인…20분 만에 결과 확인
동아사이언스
l
2020.12.16
승인했다. 이 가운데 25개는 선별진료소에 가지 않고 집에서 검체를 채취한 뒤 이를
실험실
에 보내 결과를 통보받는 방식이어서 진정한 의미의 자가진단키트는 아니었다. 스티븐 한 FDA 국장은 “오늘 자가진단키트 승인은 코로나19 진단 검사에서 중요한 이정표를 세웠다”고 밝혔다. 이번에 FDA의 ... ...
중국 달 탐사선 창어 5호 달 토양 싣고 귀환길 올랐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2.14
내몽골 지역에 착륙 할 것으로 예상된다. 중국은 샘플의 연령과 구성을 분석하기 위해
실험실
을 설립했으며 일부를 다른 국가와 공유하겠다고 밝혔다. 창어 5호가 달 표면에 착륙해 토양 샘플을 시추하고 있는 모습을 그린 상상도. 중국 국가항천국(CNSA) 제공 ... ...
실험실
에서 키운 한우 세포로 만든 스테이크 식탁 위 오른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2.14
만든 잇저스트의 닭고기가 싱가포르 식품청의 판매 승인을 얻었다. 도축된 고기가 아닌
실험실
에서 키운 배양육이 판매 승인을 받은 것은 세계 최초다. 2011년 식물성 단백질로 계란, 마요네즈 등을 만들며 대체육 스타트업으로 시작한 잇저스트는 2016년 유니콘 기업(기업 가치 1조 원 이상 비상장사) ... ...
2050년 ‘탄소중립’ 구현할 이산화탄소 포집·저장·활용 현주소는
동아사이언스
l
2020.12.14
핵심은 이산화탄소가 공기중으로 나가기 전에 잡아내는 것”이라며 “국내 기술 역량은
실험실
규모에서 세계적인 수준에 올라와 있지만 대규모 발전소나 제조공장에서 테스트해 본적이 많지 않아 실증 데이터를 확보하는 기술 개발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이산화탄소를 포집한 뒤에는 바다 밑 ... ...
[슬기로운 동물원생활] 국내 처음으로 시도된 삵의 인공수정
2020.12.12
매번 마취하지 않고도 번식 생리를 알 수 있습니다. 성호르몬을 연구하는 내분비
실험실
의 벽에는 많은 야생동물들의 번식주기가 그려진 그래프가 붙어 있다. 김정호 수의사 제공 ○ 2015년 4월 다리가 잘린 삵, 동물원으로 오다 청주동물원은 2015년부터 전국의 야생동물 구조센터에서 자연 ... ...
[랩큐멘터리] 개인 맞춤형 의학의 시대를 실현하는 첨단기술
동아사이언스
l
2020.12.10
포스텍 생명과학과 교수가 이끄는 생물정보학연구실의 전경이다. 포스텍 생물정보학
실험실
보러가기 https://youtu.be/_ie5B0KFeDM ※대학 연구실은 인류의 미래에 어떤 일들이 펼쳐질지 엿볼 수 있는 창문입니다. 인류 지식의 지평을 넓히는 연구부터 실제 인간의 삶을 편하게 하는 기술 개발까지 ... ...
[소재의 미래]⑷ 韓, 1등으로 만든 그래핀 산화물 원천기술
동아사이언스
l
2020.12.09
있다는 사실에 뿌듯했다”고 말했다. 김상욱 KAIST 교수가 이끄는 연성나노물질연구실
실험실
에서 석박사과정 연구원들과 한자리에 모였다. 2004년 김 교수가 연구실을 운영한 이후 국내 특허는 78개, 국제 특허는 24개를 출원했다. 남윤중 제공 ○ "핵심소재 산업으로 육성해야" 현재 그래핀 ... ...
하늘 위
실험실
성층권 풍선 뜬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2.04
지난해 9월 미국 뉴멕시코주에서 한미 공동 연구팀이 코로나 그래프를 실어 올릴 대형 기구에 가스를 주입하고 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공 미국항공우주국(NASA)과 한국천문연구원 공동 연구팀은 지난해 9월 태양의 주변에서 나타나는 코로나(태양풍)의 온도와 방출 속도를 동시에 관측하는데 ... ...
"빌 게이츠가 살포"…코로나 백신 상용화 앞두고 괴담 나돌아
연합뉴스
l
2020.12.03
입장을 밝혔다. 유산된 태아의 세포조직이 백신에 들어있다는 괴담도 나온다. 이는
실험실
에서 배양된 배아세포 조직을 이용해 백신의 성능을 테스트하는 과정에서 비롯된 것으로 추정된다. 브리스톨 대학의 데이비드 매슈 교수는 "태아 세포의 흔적은 백신에서 완전히 제거된다"고 말했다. ... ...
타고난 텔로미어 너무 길면, 암 생길 위험 커진다
연합뉴스
l
2020.12.03
eLife)'에 실렸다. 네덜란드 출신인 더랑어 교수는 오래전부터 세포 생물학 유전학 랩(
실험실
)을 이끌며 텔로미어 조절 기제를 연구해 왔다. [록펠러대 세포 생물학 유전학 랩 홈페이지 캡처 / 재판매 및 DB 금지] 2일 미국 과학진흥협회(AAAS) 사이트(www.eurekalert.org)에 공개된 논문 개요 등에 따르면 ... ...
이전
64
65
66
67
68
69
70
71
7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