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골
뼈대
뼈다귀
뼉다귀
뉴스
"
뼈
"(으)로 총 993건 검색되었습니다.
11만 년 전 동아시아에는 머리가 아주 큰 사람이 살았다
2017.03.14
거리다. 그리고 10만 년 전이면 한반도는 반도가 아니었다. 우리나라에서 데니소바인의
뼈
가 나왔다는 소식이 들릴 날을 꿈꿔 본다. ※ 필자소개 강석기. 서울대 화학과와 동대학원을 졸업했다. LG생활건강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근무했으며, 2000년부터 2012년까지 동아사이언스에서 기자로 일했다. ... ...
[카드뉴스] 혹시 내가 왜소증이면 어떡하지?
동아사이언스
l
2017.03.11
수술을 받으면 체형이 망가질 수 있습니다. 흉터뿐 아니라
뼈
와 피부의 염증, 근육이
뼈
의 성장을 따라가지 못해 까치발 변형이 생기거나 다리가 휘는 부작용도 있을 수 있죠. 키는 정규분포를 이루고 있는 인간 신체의 한 요소일 뿐입니다. 평균보다 작은 사람, 큰 사람이 있는 것은 당연하지요. ... ...
‘킹콩’을 유전공학으로 만들 수 있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17.03.10
콩: 스컬아일랜드의 한 장면 - 예고편 동영상 캡처 제공 ‘괴수영화’의 양대 캐릭터가 등장하는 작품 두 편이 동시에 개봉했다. 미국 괴수 ... 기린처럼 목만 긴 경우다. 허 연구원은 “동물이 이 이상 몸집이 커지면 어떤 종류든
뼈
와 근육이 자기 체중을 견디지 못할 것”이라고 말했다. ... ...
[카드뉴스] 새콤달콤 과일 처방전
동아사이언스
l
2017.03.09
사과는 변비에 가장 좋은 과일로 꼽히죠. 과일을 많이 섭취하면 성인병을 예방하고
뼈
도 튼튼하게 만들 수 있다고 합니다. 새콤달콤한 과일로 맛있게 건강을 지켜보세요! - 참고: 과학동아 2006년 05월호 '새콤달콤한 건강 가꾸기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아킬레스건의 재료과학
2017.03.07
단백당 분자들이 서로 가까워지면서 정전기적 반발력이 커져 버티는 것이다. 힘줄
뼈
부착부위가 큰 힘을 받아도 짜부라지지 않고 구조를 유지할 수 있는 이유다. ※ 필자소개 강석기. 서울대 화학과와 동대학원을 졸업했다. LG생활건강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근무했으며, 2000년부터 2012년까지 ... ...
이빨을 흉내낸 튼튼한 나노구조체를 개발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3.02
아니라 공룡, 바다 속 성게까지 다양한 종의 치아에서 이러한 구조가 발견된다. 갈비를
뼈
째로 뜯어도 치아가 손상되지 않은 이유는 치아의 기계적 물성이 강하기 때문이다. 기계적 물성은 탄성(강성도)와 진동에 버티는 정도(감쇠계수)를 종합적으로 평가한 조합수치를 이용한다. 치아의 ... ...
비타민C, 잘못 먹으면 오히려 치아건강에 ‘악영향’
포커스뉴스
l
2017.02.28
건강을 지킬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비타민 C는 혈관과 조직세포 재생을 돕고
뼈
와 치아를 튼튼하게 해 구강건강에 필요한 영양제지만, 자신의 치아 상태에 맞는 복용법으로 적당량 섭취하는 것이 좋다”고 덧붙였다 ... ...
암투병하는 10살 아들의 사진 ‘눈물’
팝뉴스
l
2017.02.28
겪는 것 같다. 힘이 없어 기대었다. 사진은 모든 것을 다 말해준다. 아직 어린 아이는
뼈
밖에 남지 않았다. 아이에게 콩 한 알도 물 한 모금도 먹기 힘들어 한다. 혼자 자다 죽을 것 같다며 공포감을 호소하니 엄마가 함께 자야 한다. 또 하루에 44 알의 약을 먹어야 한다. 11살 생일을 맞지 못할 것 ... ...
얼굴 이식 수술을 받은 남자
팝뉴스
l
2017.02.28
12월 재수술을 통해 얼굴 주변의 피부를 팽팽하게 만들고 눈의 함몰 정도를 줄이기 위해
뼈
를 세우기도 했다. 수술 결과는 놀랍다고. 외모가 변화했을 뿐 아니라 환자는 냄새를 다시 맡고 숨도 정상적으로 쉴 수 있게 되었다. 또 이전에는 먹지 못했던 피자와 사과도 먹는다고 한다. 앤디 샌드니스는 ... ...
[개소리 칼럼] 강아지 발톱이 길어서 닿을 때 아파요!
동아사이언스
l
2017.02.25
걷거나 길 때 발바닥 전체와 손바닥 전체를 짚지만 개 다리를 해부학적으로 보면 발가락
뼈
끝만 닿아있는 모양새입니다. 흔히 ‘젤리’라고 부르는 볼록살이 충격을 흡수하는 역할을 하고, 발톱은 땅을 박찰 때 힘을 실어주는 역할을 합니다. 어린 시절에 볼 수 있었던 삥끄 젤리…! 산책을 자주 ... ...
이전
64
65
66
67
68
69
70
71
7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