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배치
정리
배합
정돈
순서
배포
병치
뉴스
"
배열
"(으)로 총 687건 검색되었습니다.
차세대 디스플레이 핵심기술 개발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9.03
없이도 가공이 쉽고 원하는 방향으로 분자들을
배열
시킬 수 있다. 분자가 같은 방향으로
배열
되면 전하 이동 속도는 그만큼 빨라진다. 연구진이 액정형 유기반도체를 유기트랜지스터 소자에 적용해 실험한 결과, 기존 공정방식으로 제작된 소자에 비해 전하의 속도가 6배 이상 빠른 것으로 ... ...
[신나는 공부]시간을 경영하라…명사와 위인들의 ‘시간관리법’
동아일보
l
2013.08.20
참석하지 않으면 다시는 할 수 없기 때문이다. 우선순위를 일의 중요도가 아니라 시간
배열
로 판단하는 것. 고 변호사는 “요즘도 일정관리를 할 때 다른 사람들과 함께해야 하는 활동을 우선적으로 배정한 다음 빈 시간이나 자투리 시간을 활용해 일을 한다. 오늘도 점심식사를 마치고 들어와 오후 ... ...
전자의 회전이 만들어내는 놀랍도록 신기한 세계
동아사이언스
l
2013.08.11
표현하는 단위)에서 3.25T까지 변형시켰다. 그 결과 재료 표면에 길쭉하게
배열
됐던 자기
배열
이 동그랗게 소용돌이 치며 스커미온으로 바뀌었다가 사라지는 현상을 발견한 것이다. 연구에 참여한 로날드 비젠당에르 박사는 "스커미온의 상태를 생성과 소멸, 즉 '1'과 '0'으로 이해할 수 있다"며 ... ...
영문 오타 줄이는 스마트폰 키패드 개발
동아일보
l
2013.08.07
입력할 수 있다. 김 교수가 제안한 새로운 키패드(그림 2 참조)는 알파벳과 숫자가 함께
배열
된 12개의 버튼을 사용한다. 두 버튼을 양손으로 동시에 누르면 입력이 되는 방식이다. 키패드에서 A 버튼과 1 버튼을 동시에 누르면 a가 입력되고 A와 2를 동시에 누르면 b가 입력된다. 오른쪽 하단의 ‘Aa’는 ... ...
삼성 ‘3D 반도체’로 또 메모리 혁명
동아일보
l
2013.08.07
뚫어 필요한 내부 설비를 갖추는 방식으로 생산성을 높이고 비용은 절감했다. 기존 평면
배열
방식에서 가장 큰 문제였던 간섭현상은 건물로 치면 소음에 비유할 수 있다. 삼성전자는 이를 한 층 한 층 넓게 설계한 고층빌딩 방식으로 해결했다. 삼성전자는 10년간 3차원 수직구조 낸드플래시메모리 ... ...
수학과 잡지 덕분에 노벨상 탔어요!
수학동아
l
2013.08.05
수학자들에게 도움을 청했더니, 제 생각처럼 5각형 12개와 6각형 20개가 구 모양으로
배열
된 축구공 모양의 분자구조라는 걸 알려 주더군요.” 풀러렌은 오각형 하나가 다섯 개의 육각형으로 둘러싸인 축구공 모양의 분자구조를 이루고 있다. - (주)동아사이언스 제공 잡지와 수학자들의 도움 덕분에 ... ...
치아교정, 12∼16세가 가장 적기
동아일보
l
2013.07.22
나 있는 상태지만 잇몸 뼈가 성인만큼 단단하지 않다. 그래서 치아를 이동시키거나 재
배열
하기 쉽고 통증이 성인에 비해 한결 덜하다. 또 성인이 돼 교정 치료를 시작하면 간혹 치아가 다시 뒤틀리기도 한다. 어린이는 치료 후에도 교정 위치가 잘 유지되는 편이다. 성장기에는 치아와 턱의 성장이 ... ...
탱크봇은 어떻게 육각형으로 움직일까?
과학동아
l
2013.06.20
로봇들이 장기를 뽐냈다. 레고 마인드스톰을 활용하면 이렇게 다양한 로봇을 아이콘
배열
만으로 만들 수 있다. 관람객들은 100줄에 이르는 프로그램이 아이콘 한 줄로 구현되는 것을 보고 놀라워했다. 유성식 씨(한양대 기계공학과 4학년)는 “마인드스톰으로 만든 미니 공장을 인터넷에서 봤는데 ... ...
사라진 퍼즐 조각을 찾아라?!
수학동아
l
2013.06.12
보이지만, 사실은 조각마다 기울기가 제각각인 엉터리 퍼즐인 셈이다. 따라서 이 퍼즐은
배열
을 달리하면 기울기의 오차로 인해 빈틈이 생기게 된다. ... ...
탄소나노튜브로 만든 인공 두뇌 나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5.30
것이다. 연구팀은 지름이 1나노미터(nm=10억분의 1m)인 탄소나노튜브를 무작위로
배열
해 얇은 층을 만들었다. 그리고 나노 크기의 티타늄과 금을 곳곳에 코팅한 뒤 수소이온이 함유된 폴리에테르 화합물을 얹어 소자를 만들었다. 이렇게 만들어진 소자에 반복적으로 전기자극을 가하면 ... ...
이전
64
65
66
67
68
6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