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민주국가
민주공화국
공화제
공화국가
국가
남아프리카공화국
남아프리카
뉴스
"
공화국
"(으)로 총 730건 검색되었습니다.
지구 최북단 영구동토 탐험… 맘모스 세포 찾아 인류기원 밝힌다
2015.10.23
유전자를 일부 조작하는 방식으로 매머드를 복원할 수 있다. 연구진은 매머드와 사하
공화국
야쿠츠크 현지 주민의 유전적 연관성도 조사할 계획을 세웠다. 이를 위해 러시아 현지 연구진의 도움을 받아 야쿠츠크 주민 20명의 머리카락을 가져왔다. 배 교수는 “인간과 매머드는 서로 종은 다르지만 ... ...
“와이파이도, GPS도 기초 과학 결과물”
2015.10.21
건립 사업은 2018년 공식적으로 첫 삽을 뜰 예정이다. 호주 뉴질랜드 남아프리카
공화국
등 3개국에 나눠 들어선다. 다이아몬드 단장은 “스카 프로젝트는 최고 감도의 전파수신기 수천 개를 달아 마치 타임머신을 타고 우주의 과거로 향하듯 은하계 생성 당시 우주의 생김새와 지구를 비롯한 태양계 ... ...
300만 년 전 살았던 새 인류, ‘호모 날레디’
2015.10.07
개의 뼈 조각이 발견되면서 새 인류 ‘호모 날레디’의 존재가 확인됐다. 남아프리카
공화국
, 미국 등 국제연구진은 지난달 호모 날레디의 존재를 공식 발표하며 호모 날레디는 고릴라만 한 뇌를 가지고 직립보행을 하며 약 300만 년 전에 살았던 인류인 것으로 추정했다. 최근 연구팀은 호모 ... ...
최초의 인류진화 역사 바뀔까
과학동아
l
2015.09.27
속 후보다. 남아프리카
공화국
비트바터스란트대 인류학과 리 버거 교수팀은 남아프리카
공화국
수도 요하네스버그에서 북서쪽으로 50km 떨어진 곳에 위치한 라이징스타(떠오르는 별이라는 뜻) 동굴에서 2013년 발굴한 새로운 인류 화석을 연구한 뒤, 이들이 초기 호모 속일 가능성이 있다고 9월 10일 ... ...
호모 날레디, 고인류학을 비추는 별이 될까
2015.09.14
종의 호모속 인류 ‘호모 날레디(Homo naledi)’에 관한 내용이다. 날레디는 남아프리카
공화국
의 세소토어로 별이라는 뜻이다. 굳이 번역하자면 ‘별의 인간’인 셈이다. 남아공 비트바테르스란트대의 고인류학자 리 버거 교수가 이끄는 공동연구팀은 학술지 ‘이라이프(eLife)’에 발표한 논문 두 ... ...
사람의 폭력성은 진화의 산물일까
2015.08.09
고릴라 사회뿐 아니라 사람 사회에서 벌어지는 참상도 알게 된다. 르완다와 콩고민주
공화국
등에서 벌어진 내전을 직접 목격하게 된 것이다. 그 뒤 저자는 ‘잔인한 폭력의 뿌리가 어디서 왔을까’하는 의문을 품게 된다. 영장류 학자인 저자는 의문에 대한 답을 구하기 위해 다시 고릴라와 ... ...
[2015 세계과학기자대회] “디지털 도구 활용해 새로운 스토리 발굴해야”
과학동아
l
2015.06.11
자유기고가 만디 스몰호른, 나이트국제저널리즘스쿨의 레이몬드 조셉 교수, 남아프리카
공화국
로드대 보건저널리즘센터 해리 더그모어 교수가 참석해 각자의 경험을 공유했다 ... ...
[메르스 업데이트] 인간은 바이러스를 어떻게 막아내는가
2015.06.06
에볼라 바이러스 중에서도 가장 위험한 종으로 불리는 자이르 바이러스는 1976년 콩고민주
공화국
에서 처음 발견된 당시 환자가 열흘 내에 장기가 녹아 목구멍으로 피를 쏟으며 죽게 만들었다. 치사율은 90%에 육박했다. 반면 지난해 서아프리카에서 창궐한 에볼라 바이러스는 자이르 바이러스와 ... ...
24시간 외계행성 찾는 ‘3개의 눈’ 완공
2015.04.24
광학망원경을 짓는 ‘외계행성탐사시스템(KMTNet)’을 진행해왔다. 칠레, 남아프리카
공화국
, 호주 등 3개국에 망원경을 1기씩 건설해 24시간 릴레이로 쉬지 않고 우주를 관측하겠다는 계획이다. 지난해 9월 칠레 북부 토롤로 산에는 지름 1.6m 거울과 3억4000만 화소 카메라가 달린 KMTNet 1호 망원경이 ... ...
[한미 원자력협정 타결] 의료용 동위원소 생산…의료 안정화·수출 효과 1석 2조
2015.04.23
I)-131이나 몰리브덴-99같은 의료용 방사성 동위원소를 일부 생산하고 있지만 남아프리카
공화국
등에서 1차로 생산한 동위원소를 가져와 일부 성분을 조정해 사용하는 식이었다. 이 밖에 부족한 물량은 캐나다 등 해외에서 수입해왔다. 국내 의료용 동위원소는 사실상 전량을 수입에 의존해 왔던 ... ...
이전
64
65
66
67
68
69
70
71
7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