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흐름"(으)로 총 2,209건 검색되었습니다.
- 북대서양 ‘꼬마’ 폭풍, 지구 열 순환 돕는다과학동아 l2013년 01호
- 열을 품은 상태로 형성된 뒤 북극해 부근까지 이동해 보유하고 있던 열을 배출했다. 이 흐름에 따라 해류와 바람도 바뀌었다.렌프류 교수는 “이 폭풍의 역할을 밝혀낼 수 있었지만 언제, 어떻게, 얼마나 자주 폭풍이 나타나는지 예측할 수 있을 정도로 시뮬레이션 모델이 정교하지는 않다”말했다 ... ...
- 3D 전자블록 딱킷으로 통한다어린이과학동아 l2012년 23호
- 딩동댕. 파이프처럼 생긴 입체 전기 회로라서 물의 흐름을 보듯 더 쉽고 생생하게 전기의 흐름이나 부품의 기능을 배울 수 있지. 간단히 LED를 켜는 조립을 해 보자. 이렇게 건전지 모듈에 I자형 연결관과 L자형 연결관, LED를 연결하면….으잉, 빛이 안 들어오잖아요!하하, LED는 극성이 있단다. ... ...
- 세라피아에서는 도자시도 융합스타일~어린이과학동아 l2012년 21호
- 세라피아는 세계 도자기 문화의 중심이라고 할 수 있지. 이곳에 오면 세계의 최신 도자기 흐름을 알 수 있거든. 도자기도 과학처럼 융합이 대세!이거 도자기 맞아? 호박 같은데, 도자기라고 하고, 동물 같은데 도자기 주전자라 하고….이건 기계장치 같은데 도자기로 모양을 낸 거라니… ... ...
- 녹조비상! 물을 지켜라어린이과학동아 l2012년 17호
- 녹조 현상의 네 박자!녹조는 풍부한 영양물질과 높은 수온, 많은 일사량(햇빛), 느린물 흐름 네 박자가 맞았을 때 잘 나타난다고 해. 분뇨나 비료, 동식물의 사체에는 질소와 인이 많은데, 이들이 강이나 호수로 흘러들면 영양물질이 넘치는 부영양화 상태가 돼. 이러면 영양물질을 먹고 자라는 조류가 ... ...
- 혼자서 깜빡깜빡 스마트 램프어린이과학동아 l2012년 17호
- 트랜지스터의 작용으로 반대가 됐군요!섭섭박사 : 딩동댕. 트랜지스터가 전류의 흐름을 조절해 빛감지센서의 작용을 반대로 바꾸어 버렸단다.선재 : 스마트 램프가 혼자 깜빡깜빡했던 것은 섭섭박사님이 아니라 빛 때문이었네요.섭섭박사 : 무슨 소리야? 네가 손으로 센서를 계속 건드리고 있잖아~ ... ...
- 펭귄들이 추위를 견디는 방법은 이기심이 아닌 수학!수학동아 l2012년 12호
- 행동 방식과 각자 추위를 견디는 정도의 차이, 그리고 시시각각 변하는 바람의 세기와 열 흐름이 모두 각양각색이라는 점을 고려해야 했다.이런 요소를 모두 고려해 열 분포를 계산한 결과, 놀랍게도 모든 펭귄이 거의 같은 열을 나눠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각자 자신만을 위해 움직이는 것처럼 ... ...
- Part 2 . 새끼흑점의 서바이벌과학동아 l2012년 12호
- 의문을 풀 수 있는 가장 적합한 관측기가 최근 우리나라 기술로 개발됐다. 채층의 물질흐름을 관측할 수 있는 고속태양영상분광기(Fast Imaging Solar Spectrograph)다. 이 분광기는 2010년부터 세계 최대 태양망원경인 미국 빅베어 천문대의 신태양망원경(NST)에 달려 있으며 새끼흑점을 포함한 태양의 미세 ... ...
- 지구 자기장, 1000년 만에 역전된다과학동아 l2012년 12호
- 작은 흐름들이 아무런 규칙도 없는 비쌍극자 자기장을 만든다. 그런데 만약 외핵 물질의 흐름이 변하면 어떻게 될까. 도성재 교수는 “외핵 속에서 일어나는 알 수 없는 변화가 누적되면 쌍극자 자기장의 힘이 점점 약해진다”며, “쌍극자 자기장의 세기가 비쌍극자 자기장만큼 약해지면 자기장이 ... ...
- 바닷속 골칫덩어리에서 특별한 요리로!어린이과학동아 l2012년 12호
- 한국 바다로 찾아왔답니다.우리나라 바다가 더워졌다는 말이니?지구온난화로 바닷물의 흐름이 달라져 한국 바다가 더워졌어요. 과거에 비해 남해로 흘러들어오는 따뜻한 바닷물의 양이 많아졌거든요. 특히 제주도를 중심으로 바다의 수온이 높아졌어요. 그래서 원래 한국 바다에 살던 대구와 명태 ... ...
- 입에서 항문까지 소화 여행과학동아 l2012년 12호
- 이뤄져 있지 않다. 움직임이 없으니 섭취할 수 있는 먹이에도 제한이 있다. 보통 물의 흐름에 따라 들어온 미생물들이 영양염류 등을 섭취한다. 이보다 좀 더 진화한 해파리, 히드라와 같은 유즐동물, 자포동물은 소화관과 순환계가 하나로 돼 있다. 약간의 분화를 보이지만 역시 몸의 분화가 거의 ... ...
이전646566676869707172 다음